위즈돔 (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즈돔은 스마트 모빌리티를 개발, 운영하는 기업으로, 2009년에 설립되었다. B2B(통근버스), B2C(페스티벌, 관광지 셔틀), B2G(광역버스 예약 플랫폼 MiRi) 등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통합운영관제시스템 AIBOS를 통해 효율적인 노선 관리 및 실시간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스마일버스
스마일버스는 2010년 강동구에서 설립되어 송파구에 본사를 둔 마을버스 회사로, 현대 뉴 카운티와 그린시티 버스를 운영하며 노선 정보는 별도 문의가 필요하다. - 201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빛운수
한빛운수는 2010년 설립되어 광진05번 노선을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광진구의 마을버스 회사로, 현대 그린시티, 뉴 슈퍼에어로시티, 범한 E-STAR 11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버스 교통 - 서울시티투어버스
서울시티투어버스는 서울의 주요 관광지를 순환하며 도심 순환, 청계·고궁, 서울파노라마 등 다양한 테마 코스와 야간 코스를 제공하는 시티투어 버스 서비스로, 2층 버스와 트롤리 버스를 포함한 다양한 버스들이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교통 - 가평군의 농어촌버스
가평군의 농어촌버스는 가평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시내버스 체계로, 가평교통이 주요 운행 업체이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받고, 각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망과 서울 방면 노선, 직행좌석 및 간선급행버스 노선도 포함한다. - 종류별 버스 - 시내버스
시내버스는 도시 내에서 정해진 노선을 따라 승객을 수송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한국에서는 1920년대 최초 운행 이후 다양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정액제와 거리/구간제 요금 체계, 그리고 다양한 지불 방식을 제공한다. - 종류별 버스 - 셔틀버스
셔틀버스는 정해진 노선을 반복적으로 운행하며 특정 장소 간의 승객 이동을 돕는 버스를 의미하며, 공항, 대학교, 기업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된다.
위즈돔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위즈돔 |
원어 | Wizdome |
![]() | |
산업 | 기타 여행보조 및 예약 서비스업 |
창립 | 2009년 10월 23일 |
창립자 | 한상우 |
장소 |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95, 세신옴니코아빌딩 8층 |
서비스 | 통근 및 셔틀버스 관제시스템/AIBOS |
매출액 | 약 763억 (2023) |
웹사이트 | 위즈돔 공식 웹사이트 |
2. 상세 내용
스마트 모빌리티를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개발, 운영하는 유일한 기업이다. 법을 전공한 한상우 대표를 필두로 버스 산업의 틈새를 찾아내어 버스업계의 헤게모니를 무너뜨리며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해나갔다.
2010년, 위즈돔의 신규 버스 사업에 대해 기존 버스 업계의 반발과 시비에 휘말리며 1년도 안 돼 사업을 중단했다.[3] 광역버스부터 마을버스까지, 운영되는 모든 버스가 노선 설계와 관련해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아 운영되는데, 이용자들의 수요에 따라 노선을 만들고 전세버스를 공급하는 위즈돔 사업이 사실상 대중교통 체계의 근간을 흔들 수도 있다는 우려로 이어졌다.
한상우 대표는 비슷한 유영의 사업 모델이 불법이 아니라는 대법원 판례를 찾아내서 정부를 상대로 문제를 제기했고 승소를 거두게 되었다.[4]
2011년, 위즈돔은 정부로부터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개정을 이끌어냈다.
2013년, 위즈돔은 정부로부터 한정면허를 받은 모빌리티 기업 1호가 되었다.
2. 1. B2B (통근버스)
위즈돔은 2010년 SK그룹 통근버스를 시작으로 한화, CJ, 주식회사 카카오, SK하이닉스, HD현대, 한국타이어, 세메스, 천안산업단지[5] 등 176개사에 맞춤형 통근버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통합운영관제시스템(AIBOS)을 통해 효율적인 노선 관리 및 실시간 관제 서비스를 제공한다.AIBOS 시스템은 위즈돔에서 직접 제작, 운영하고 있다. 자체적인 시스템 기획 및 개발을 통해 노선, 고객, 버스사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통해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고 고객의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
이는 AIBOS 시스템에 사용자 플랫폼(기업별 어플[6])과 운전기사 플랫폼(미쓰고[7])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위즈돔은 사용자 플랫폼을 통해 고객들의 수요를 분석하고 세분화된 고객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운전기사 플랫폼을 통해 운행 및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를 토대로 고객 수요에 맞춘 노선 설계를 진행하고 노선을 운행하며 효율성을 분석한다.
호율성 측면과 고객의 수요 데이터를 통해 노선을 재설계하거나 보완하는 형태로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24 / 7 고객 문의, 응대 센터인 Contact Center를 운영한다. 챗봇, 실시간 채팅, 콜센터, 이메일 등을 통해 고객들의 문제 발생에 즉각 대응이 가능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분실물, 결제 및 환불, 노선 변경 등의 탑승객 민원사항에 대해서도 대처 및 보상정책이 확실하다.
2. 1. 1. AIBOS 시스템
AIBOS 시스템은 위즈돔에서 직접 제작, 운영하고 있다. 자체적인 시스템 기획 및 개발을 통해 노선, 고객, 버스사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실시간 관제 시스템을 통해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하고 고객의 탑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이는 AIBOS 시스템에 사용자 플랫폼(기업별 어플[6])과 운전기사 플랫폼(미쓰고[7])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위즈돔은 사용자 플랫폼을 통해 고객들의 수요를 분석하고 세분화된 고객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운전기사 플랫폼을 통해 운행 및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를 토대로 고객 수요에 맞춘 노선 설계를 진행하고 노선을 운행하며 효율성을 분석한다.
효율성 측면과 고객의 수요 데이터를 통해 노선을 재설계하거나 보완하는 형태로 지속적인 관리를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24 / 7 고객 문의, 응대 센터인 Contact Center를 운영한다. 챗봇, 실시간 채팅, 콜센터, 이메일 등을 통해 고객들의 문제 발생에 즉각 대응이 가능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분실물, 결제 및 환불, 노선 변경 등의 탑승객 민원사항에 대해서도 대처 및 보상정책이 확실하다.
2. 2. B2C (Play&Festa)
위즈돔은 국내 다양한 페스티벌과 관광지의 모빌리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Festa
- * 2018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패럴림픽
- ** 위즈돔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공식 모빌리티로 선정되어 올림픽 기간(18.2.10-18.2.25)과 페럴림픽(18.3.9 - 18.3.18) 기간 동안 서울광장과 평창·강릉 올림픽경기장을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로 운행[8]
- * 울트라 코리아
- *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 * 멜론 뮤직 어워드
- * Electric Daisy Carnival Korea
- * 월드 DJ 페스티벌
- * S2O Korea Songkran Music Festival[9]
- * GS25뮤비페[10]
- * 서울모터쇼
- * 송도맥주축제
- * 스파르탄 레이스[11]
- * 이스케이프[12]
- * 하겐다즈[13]
- * 레인보우[14]
- * 구스아일랜드[15]
2. 2. 1. 주요 협력 행사
위즈돔은 B2C 사업으로 국내 다양한 페스티벌과 관광지의 모빌리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Festa
- * 2018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패럴림픽
- ** 위즈돔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과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공식 모빌리티로 선정되어 올림픽 기간(18.2.10-18.2.25)과 페럴림픽(18.3.9 - 18.3.18) 기간 동안 서울광장과 평창·강릉 올림픽경기장을 오가는 무료 셔틀버스로 운행[8]
- * 울트라 코리아
- * 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
- * 멜론 뮤직 어워드
- * Electric Daisy Carnival Korea
- * 월드 DJ 페스티벌
- * S2O Korea Songkran Music Festival[9]
- * GS25뮤비페[10]
- * 서울모터쇼
- * 송도맥주축제
- * 스파르탄 레이스[11]
- * 이스케이프[12]
- * 하겐다즈[13]
- * 레인보우[14]
- * 구스아일랜드[15]
2. 3. B2G ('MiRi')
2017년, 위즈돔은 국토교통부 산하 대도시권광역 교통 위원회, 로카모빌리티와 함께 경기도 광역버스 예약 플랫폼 App ‘MiRi’[19]를 출시했다.MiRi는 모바일 앱을 통해 광역버스 좌석을 미리 예약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류소 대기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가격은 일반 광역버스와 비슷하며, 수도권통합환승할인도 적용된다.[20]
2017년 7월부터 국토교통부와 경기도는 M버스(M6117, M4403)와 경기도 광역버스(8100, G6000)를 이용하는 승객 대상으로 좌석예약서비스를 시범 운행했는데, 3개월간 이용 만족도가 75% 정도로 나타났으며 평균 5 ~ 20분 이상의 출근 시간 단축 효과가 있었다.
2022년 이태원 압사 사고 이후 과거에 사라졌던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가 승객의 안전을 이유로 부활하였다. 정부와 경기도에서 광역버스 증편, 2층 버스 도입 같은 대책을 내놓았지만, 윤석열 정부의 안일한 대응으로 인해 승차난이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좌석예약서비스로 인해 어느 정도의 승차난이 해결되고 버스 노선 증편을 통해 지속적으로 불편한 부분들이 해소되고 있다.[21]
2. 3. 1. MiRi 서비스 개요
MiRi는 모바일 앱을 통해 광역버스 좌석을 미리 예약하고, 정해진 시간에 정류소 대기 없이 바로 탑승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가격은 일반 광역버스와 비슷하며, 수도권통합환승할인도 적용된다.[20]2017년 7월부터 국토교통부와 경기도는 M버스(M6117, M4403)와 경기도 광역버스(8100, G6000)를 이용하는 승객 대상으로 좌석예약서비스를 시범 운행했는데, 3개월간 이용 만족도가 75% 정도로 나타났으며 평균 5 ~ 20분 이상의 출근 시간 단축 효과가 있었다.
2022년 이태원 압사 사고 이후 과거에 사라졌던 광역버스 입석금지 제도가 승객의 안전을 이유로 부활하였다. 정부와 경기도에서 광역버스 증편, 2층 버스 도입 같은 대책을 내놓았지만 승차난이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좌석예약서비스로 인해 어느 정도의 승차난이 해결되고 버스 노선 증편을 통해 지속적으로 불편한 부분들이 해소되고 있다.[21]
3. 법적 분쟁 및 제도 개선
4. 연혁
(주)위즈돔은 2009년에 창립되었다. 2010년 e-BUS를 런칭하고, 2011년에는 운영시스템 AIBOS 1.0을 개발하였으며, SK그룹 통근버스 운영을 시작하였다. 2013년에는 법령개정으로 e-BUS가 정부 면허를 획득하였고, 한화그룹 통근버스 운영을 시작하였다. 2014년에는 웰리힐리파크에서 레저형 셔틀 버스를 운영하였다.
2015년에는 한국스마트버스협동조합을 설립하고, CJ그룹 통근버스와 채드윅국제학교 스쿨버스를 운영하였다. 2017년에는 카카오 통근버스 운영을 시작하고, AJ플릿링크를 설립하여 차량 관리를 시작하였다. 또한 광역버스 좌석예약 플랫폼 MiRi를 개발하였다. 2018년에는 2018년 동계 올림픽과 2018년 동계 패럴림픽의 공식 모빌리티로 선정되었으며, SK하이닉스 통근버스 관제를 담당하였다.
2019년에는 서울모터쇼, 한국민속촌, 울트라코리아, EDC, 자라섬재즈페스티벌, 에버랜드, MMA의 공식 모빌리티로 선정되었으며, KDB 산업은행 통근버스를 운영하였다. 2020년에는 한국타이어그룹 통근버스, 경기프리미엄버스 MiRi+를 개발하였고, 인천국제공항 상주인원 통근버스와 FIT 셔틀버스를 운영하였다.
2021년에는 서울아산병원, 삼성SDS 통근버스를 운영하고, 경기프리미엄버스 10개 노선 36대를 수주하였다. 2022년에는 HD현대GRC 스마트통근 운영을 시작하고, 통합운영시스템 AIBOS 4.0을 개발하였으며, 한국타이어금산공장에 AIBOS Mini를 운영하였다. 2023년에는 SK하이닉스, 현대중공업 울산, 천안산업단지 스마트통근 운영을 시작하였다. 또한 광역버스예약플랫폼 MiRi App V3를 런칭하고 노선을 확대하였으며, 스마트앱어워드 공공서비스 대상을 수상하였다. 2024년에는 세메스 스마트통근을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문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람과 물류의 이동을 위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통수단과 인프라의 통합서비스
[2]
문서
2024년 1월 기준
[3]
웹인용
'e버스' 단속 대상에 포함돼
https://www.bntnews.[...]
[4]
웹인용
'버스업계 이단아' 한상우 위즈돔 대표 "소비자가 버스 노선 만드는 시대 올 것"
https://www.sedaily.[...]
[5]
문서
[[듀폰]], [[아드반테스트]]코리아, [[ABB]]코리아
[6]
웹인용
SK하이닉스 통근버스 어플
https://play.google.[...]
[7]
웹인용
구글플레이스토어 미쓰고 기사용
https://play.google.[...]
[8]
웹인용
울트라 코리아 웹페이지
http://umfkorea.com/
2024-01-18
[9]
웹인용
S20 송크란 뮤직페스티벌 홈페이지
https://www.s2okorea[...]
[10]
웹인용
2023 뮤비페
https://www.shinailb[...]
[11]
웹인용
스파르탄 레이스 홈페이지
https://spartanracek[...]
[12]
웹인용
이스케이프: 사이코 서커스
https://kr.escapehal[...]
[13]
웹인용
하겐다즈 Let's Peach Party
http://jtbctmm.com/l[...]
[14]
웹인용
레인보우 뮤직 & 캠핑 페스티벌
http://www.rainbowfe[...]
[15]
웹인용
구스아일랜드 옥토버베스트 축제
https://www.hankooki[...]
[16]
웹인용
『캐비셔틀』 에버랜드 왕복셔틀버스 운행
https://www.withever[...]
[17]
웹인용
『캐비셔틀』 에버랜드 왕복셔틀버스 운행
https://www.withever[...]
[18]
웹인용
캠프통 아일랜드 셔틀버스
https://m.blog.naver[...]
[19]
웹인용
구글플레이스토어 'MiRi'어플
https://play.google.[...]
[20]
웹인용
미리 홈페이지
https://cdn.e-bus.co[...]
[21]
웹인용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경기도 광역버스 좌석 서비스 확대
https://molit.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