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핀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핀칭은 장자커우의 실업가로,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를 한 인물이다. 1924년 장자커우 상공회의소 집행위원을 지냈으며, 1937년 일본의 초청으로 차하얼 평화유지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같은 해 남차하얼 자치정부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몽강연합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1939년 몽강연합자치정부 부주석, 1941년 몽골자치연맹 부주석을 지냈다. 일본을 방문하여 욱일장을 받았으며, 만주국으로부터 경운장을 수여받았다. 1945년 몽강 정권 붕괴 후 체포되어 반역죄로 사형이 선고되었고, 장자커우에서 총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정치인 - 장쉰
    장쉰은 청나라 말기 및 중화민국 초기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청나라 복벽을 시도했으나 실패 후 은퇴하여 사업가로 활동했다.
  • 중화민국의 정치인 - 장쉐량
    장쉐량은 만주 군벌 장작림의 아들이자 동북군 지휘관으로서 만주사변 당시 부저항 정책과 시안 사건 주도를 통해 국공합작을 이끌어낸 인물이며, 그의 삶과 행적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 1886년 출생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1886년 출생 - 오시마 히로시
    오시마 히로시는 일본 육군 중장으로, 주독일 대사로 활동하며 반 코민테른 조약 및 삼국 동맹 조약 체결에 기여했고, 독일의 전쟁 정보를 일본에 보고했으나 연합군에 의해 해독되었으며, A급 전범으로 기소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
  • 1945년 사망 - 존 커틴
    존 커틴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치가이자 노동당 소속 총리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에 독자적으로 선전포고하고 미국과의 동맹 강화, 징병제 도입, 사회 복지 제도 확대 등의 정책을 추진했다.
  • 1945년 사망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20세기 중반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미국의 32대 대통령을 4번 연임하며 뉴딜 정책으로 경제 회복과 사회 안정을 추구하고, 연합국을 이끌어 추축국에 맞서 승리하며 전후 국제 질서 형성에 기여했다.
위핀칭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위핀칭
『최신 지나 요인전』(1941년)
한자 (간체)于品卿
한자 (번체)于品卿
병음Yú Pǐnqīng
주음부호ㄩˊ ㄆㄧㄣˇ ㄑㄧㄥ
일본어 (가나)う ひんきょう
로마자 표기Yü P'ing-ch'ing
인물 정보
출생1886년
사망1945년 12월 24일
사망 장소중화민국 차하르 성 장자커우
출신지청나라 직례성 지저우 난궁 현
직업정치인, 실업가
관련 정보
주요 활동차남 자치 정부 참여
몽고 연합 자치 정부 참여
몽고 자치방 참여

2. 생애

위핀칭은 장자커우에서 활동한 실업가로, 1924년 장자커우 상공회의소 집행위원을 지냈다.[1][2]

1937년 일본군이 장자커우를 점령한 후, 위핀칭은 일본 측의 요청으로 여러 직책을 맡았다. 1939년 9월 몽강 부주석에 임명되었고, 1941년 몽골 자치 연맹으로 개편된 후에도 그 자리를 유지했다.[1][2]

1945년 8월 몽골 자치 연맹이 붕괴되고 팔로군이 장자커우를 점령하면서 위핀칭은 체포되었다. 그해 12월 23일, 특별 재판에서 반역 및 적에게 항복한 죄(즉, 한간)로 사형을 선고받고 다음 날 총살형이 집행되었다.[3]

2. 1. 초기 활동

위핀칭은 장자커우의 실업가였다. 1924년 장자커우 상공회의소 집행위원이 되었다.[1][2] [5][6]

2. 2. 친일 행적

1937년 일본군이 장자커우를 점령하자, 위핀칭은 일본의 초청을 받아 차하얼 평화유지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 같은 해 남차하얼 자치정부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었고,[1] 11월에는 몽강연합위원회 위원이 되었다.[1] 1939년 몽강연합자치정부 부주석에 임명되었으며,[1] 1941년 몽골자치연맹 부주석을 유지했다.[1] 그는 일본을 두 차례 방문하여 욱일장을 수여받았고,[13][14] 1943년에는 만주국 강덕제(아이신 교로 푸이)로부터 경운장을 수여받았다.[15]

2. 3. 체포 및 처형

1945년 8월, 몽강 정권이 붕괴되자 장자커우로 진군해 온 팔로군에 의해 체포되었다.[16] 12월 18일부터 특별 법정에서 재판이 시작되었고,[16] 각계 대표 30명으로 구성된 민중 재판("공심대회")에서 심리가 이루어졌다.[14] 12월 23일, 반역 및 적에게 항복한 죄(즉, 한간)로 사형이 선고되었다.[3] 재판 과정에서 소감을 묻자 "민족을 배신하고 국가를 배신했으니, 죄는 만 번 죽어 마땅하다"라고 대답했다고 전해진다.[14] 판결 다음 날, 장자커우 시내에서 바로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향년 60세였다.[14][17]

3. 평가

위핀칭은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몽강연합자치정부에서 고위직을 맡아 일본 제국의 침략 정책에 적극적으로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의 행적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작업에서 주요 사례로 다루어지고 있다.[1][2][3]

참조

[1] 서적 Xu main ed. (2007), p.30
[2] 서적 Tōa Mondai Chōsakai ed. (1941), p.4
[3] 서적 Wanyan (1995), p.152
[4] 서적 徐主編(2007)、30頁と東亜問題調査会編(1941)、4頁による。完顔(1995)、151頁は1885年とする
[5] 서적 徐主編(2007)、30頁
[6] 서적 東亜問題調査会編(1941)、4頁
[7] 서적 徐主編(2007)、頁
[8] 뉴스 明朗政権確立す 察南自治政府声明 読売新聞 1937-09-05
[9] 뉴스 蒙疆聯合委員会 調印を了す きのう厳粛に挙行 東京朝日新聞 1937-11-23
[10] 뉴스 東京朝日新聞 1937-11-23
[11] 뉴스 蒙古聯合自治政府 きょう晴れの誕生 三政権を打って一丸 東京朝日新聞 1939-09-01
[12] 뉴스 蒙古政府 機構改革 朝日新聞 1941-05-31
[13] 문서 1度目は昭和13年(1938年)10月19日から11月20日で、徳王・夏恭と共に来日、昭和天皇に拝謁して靖国神社も参拝した。2度目は昭和15年(1940年)9月8日で、北白川宮永久王の葬儀に参列した
[14] 서적 完顔(1995)、152頁
[15] 뉴스 汪主席、徳王に勲章御贈進 満州国皇帝陛下 朝日新聞 1943-05-08
[16] 뉴스 前蒙古副主席の裁判 朝日新聞 1945-12-21
[17] 웹사이트 CHN強国網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