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선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 선공은 춘추 시대 위나라의 군주로, 기원전 719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700년까지 재위했다. 그는 형인 위 환공을 살해하고 즉위했으며, 제나라 출신 선강을 첩으로 삼아 아들 수를 낳고, 선강의 모함으로 태자 급이 죽자 삭을 태자로 세웠다. 주변국과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 이자승주 사건으로 불리는 패륜적인 행위로 비판받았다. 선공 사후 삭이 혜공으로 즉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나라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위나라의 군주 - 위 무공
위 무공은 춘추 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강숙의 선정을 본받아 나라를 다스렸다는 기록과 주나라를 도와 공작으로 봉해졌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의 덕을 기리는 송시가 《시경》에 실려 후대에 영향을 주었다. - 기원전 8세기 출생 -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신통기』와 『일과 날』을 통해 신화, 우주론, 농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8세기 출생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위 선공 | |
---|---|
기본 정보 | |
통치자 | 위나라의 통치자 |
재위 기간 | 기원전 718년 - 기원전 700년 |
이전 통치자 | 주우 |
다음 통치자 | 위 혜공 |
성 | 희(姬) |
이름 | 진(晋) |
가문 | 희성(姬姓) |
사망일 | 기원전 700년 |
가계 | |
아버지 | 위 장공 |
어머니 | 미상 |
배우자 | 이강, 선강 |
자녀 | 계자, 수, 삭(위 혜공) |
2. 생애
위 선공(宣公)의 이름은 진(晉)으로[4], 위 장공의 아들이자 위 환공의 동생이다.[4] 기원전 719년, 형 환공이 동생 공자 주우에게 암살당하고, 주우마저 곧 살해되는 혼란 속에서 위나라 군주로 추대되었다.[4][9] 재위 기간 동안 정나라, 송나라, 제나라 등 주변국들과 전쟁과 외교를 반복하며 복잡한 국제 관계를 헤쳐나갔다.
개인적인 삶에서는 도덕적 논란을 일으켰다. 본래 아들 급자의 아내로 맞이하려던 제나라의 공녀 선강을 자신의 부인으로 삼았고[9][4], 이로 인해 급자의 어머니이자 자신의 전 부인이었던 이강은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이 발생했다.[1] 이후 선강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 삭을 태자로 만들기 위해, 급자를 제거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급자를 구하려던 또 다른 아들 수(壽)마저 함께 희생되는 '이자승주' 비극이 일어났다.[1][9]
기원전 700년 11월, 재위 19년 만에 사망하였고[9], 태자로 책봉되었던 삭이 위 혜공으로 즉위하였다.[1]
2. 1. 즉위 과정
위 선공의 이름은 진(晉)으로[4], 위 장공의 아들이자 위 환공의 동생이다.[4] 기원전 719년, 형인 환공이 이복동생 공자 주우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9] 주우는 군주 자리를 찬탈했으나, 1년도 채 되지 않아 석작과 진나라 군주가 꾸민 음모로 살해되었다.[4] 당시 형나라에 머물고 있던 공자 진은 위나라의 요청을 받아 귀국했고,[9] 기원전 719년 12월에 제15대 위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다.[9] 이후 역사 기록에서는 그의 묘호인 선공(宣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2. 2. 초기 통치 (기원전 718년 ~ 기원전 713년)
장공의 아들이다.기원전 719년 9월, 형인 환공을 시해하고 즉위했던 주우가 처형되자, 형 지역에 머물던 희진(선공)이 위나라로 초청받아 그해 12월에 위나라의 군주가 되었다. 이는 형에게서 공위를 찬탈한 주우가 처형된 이후의 일이었다.
선공 원년(기원전 718년) 4월, 즉위 후 미뤄졌던 환공의 장례가 치러졌다. 같은 달, 정나라는 전년도 위나라의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위나라의 목장을 공격했다. 이에 위나라는 북쪽의 연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정나라를 공격했다. 그러나 6월, 정나라는 제나라 군대의 도움을 받아 연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그해 가을, 위나라는 성나라를 침공했다.
선공 3년(기원전 715년) 봄, 선공은 송나라의 상공과 견구에서 회합했다. 같은 해 7월, 제나라 희공의 주선으로 선공과 송 상공은 정나라의 장공과 와옥에서 만나 화평을 맺었다.
선공 6년(기원전 713년) 7월, 정나라 군대가 송나라의 도성을 공격하자, 위나라는 송나라와 함께 연합하여 정나라를 공격했다. 이때 채나라 군대도 합류했다. 그러나 8월, 위·송·채 세 나라 연합군은 정나라 군대에게 패배했다.
2. 3. 주변국과의 관계 (기원전 712년 ~ 기원전 700년)
기원전 712년 (선공 7년), 이웃 나라인 노의 군주 은공이 측근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기원전 710년 (선공 9년)에는 송나라 군주 상공이 태재 화보독에게 살해당했으며, 기원전 709년 (선공 10년)에는 진(晉)나라 곡옥의 장백이 주군인 애후를 살해하는 등 주변국의 정세가 불안정했다. 같은 해 여름, 선공은 제나라 희공과 포 땅에서 회합하였다.기원전 708년 (선공 11년) 가을, 주나라 환왕의 명에 따라 채, 위, 진(陳) 삼국은 주왕의 군대와 함께 정나라를 공격했다. 기원전 705년 (선공 14년)에는 제나라와 함께 정나라를 도와 맹과 향 두 고을을 공격했다.[6]
기원전 702년 (선공 17년) 겨울 12월, 위나라는 제나라, 정나라와 연합하여 노나라를 공격했다.[7][8] 이듬해인 기원전 701년 (선공 18년) 정월에는 제나라, 정나라, 송나라와 맹약을 맺었다.[7][8] 같은 해 9월, 송나라가 정나라의 후계 문제에 개입하여 정 여공을 세우고 정 소공을 축출하자, 위나라는 망명한 정 소공을 받아들였다.[8] 기원전 700년 (선공 19년) 11월, 선공이 사망하였다.
2. 4. 이자승주(二子乘舟)와 관련된 비극
위 선공은 본래 아들 급자를 위해 맞이하려 했던 제나라의 선강을 자신의 부인으로 삼았다.[9][10] 이로 인해 급자의 어머니이자 선공의 전 부인인 이강은 설 자리를 잃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1] 이후 선강은 자신의 아들인 삭을 세자로 만들기 위해 급자를 모함했고, 선공은 이를 받아들여 급자를 제거하려 했다.[9][10] 선공 18년(기원전 701년), 선공의 계획으로 급자와 그를 구하려던 이복동생 수(壽)가 모두 살해당하는 비극이 일어났으며, 결국 삭이 세자로 책봉되었다.[9][10] 이 형제의 비극은 《시경》에 〈이자승주(二子乘舟)〉라는 제목의 시로 기록되어 전해진다.2. 4. 1. 이자승주(二子乘舟) 사건에 대한 평가
위 선공은 아버지 위 장공의 첩이었던 이강과 사통하여 아들 급자를 낳고[9][10], 이후 이강을 정식 부인으로 삼으며 급자를 세자로 책봉하였다. 그러나 제나라에서 세자 급자의 배필로 오기로 한 선강의 미모에 반하여, 선공은 그녀를 자신의 아내로 취하였다.[9][10] 선강에게서 수(壽)와 삭(朔) 두 아들을 얻은 후, 총애를 잃은 이강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재위 18년(기원전 701년), 선강과 아들 삭이 세자 급자를 모함하자, 본래 며느리가 될 여인을 빼앗은 일로 급자를 미워하던 선공은 이 모함을 받아들였다. 선공은 급자를 제나라에 사신으로 보내는 길에 도적을 매복시켜 살해하려 하였다. 이 음모를 알게 된 이복동생 공자 수가 급자를 다른 배(혹은 말)에 몰래 태워 피신시키고 자신이 대신 죽임을 당했다. 뒤늦게 도착한 급자 역시 자신이 급자임을 밝히고 죽음을 피하지 않았다. 이후 선공은 삭을 세자로 삼았다.[9][10] 이 형제의 비극적인 이야기는 《시경》에 '이자승주(二子乘舟)'라는 제목의 노래로 실려 전해진다.
2. 5. 죽음
기원전 700년 11월, 재위 19년 만에 사망하였다.[9] 그의 뒤를 이어 태자였던 삭이 위나라 군주로 즉위하였는데, 이가 위 혜공이다.3. 가족 관계
위 선공은 위나라 장공 1세의 아들이며, 위나라 환공의 동생이다.[4]
선공은 본래 아버지 장공의 첩이었던 의강(懿姜)과 관계하여 아들 희급(姬伋)을 낳았다. 희급이 태자로 책봉된 후, 제나라의 공녀인 선강을 태자비로 맞이하려 했으나, 선공은 선강의 미모에 반해 직접 자신의 첩으로 삼았다. 선강은 선공과의 사이에서 아들 수(壽)와 삭(朔)을 낳았다.[4] 이후 의강은 불분명한 이유로 목을 매 자결하였다.[1]
선강은 자신의 아들 삭을 후계자로 만들기 위해 태자 희급을 제거할 음모를 꾸몄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이복동생 수(壽)는 희급에게 위험을 알렸으나, 희급은 운명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수가 희급을 술에 취하게 한 뒤 대신 죽으려 했으나, 결국 두 형제 모두 선강이 보낸 자객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을 맞았다. 이후 삭이 태자가 되었고, 선공의 뒤를 이어 위나라 혜공으로 즉위하게 된다.[1]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위나라 장공 1세 | |
형 | 위나라 환공 | 이복동생 주유에게 암살됨 |
동생 | 주유 | 형 환공을 암살하고 즉위했으나 곧 살해됨 |
부인 | 의강(懿姜) | 본래 아버지 장공의 첩. 제나라 공녀. 희급의 어머니. 자결함.[1] |
부인 | 선강 | 본래 태자 희급의 약혼녀였으나 선공의 첩이 됨. 제나라 공녀. 수(壽)와 삭(혜공)의 어머니. 이후 소백의 아내가 됨. |
아들 | 희급(姬伋) | 의강 소생. 태자였으나 계모 선강의 모함으로 살해됨.[1] |
아들 | 희검모(姬黔牟) | 급의 동생. |
아들 | 희완(姬頑, 소백) | 검모의 동생. 대공, 문공의 아버지. |
아들 | 희수(姬壽) | 선강 소생. 형 희급을 구하려다 함께 살해됨.[1] |
아들 | 희삭(姬朔) | 선강 소생. 형들을 제치고 태자가 되어 혜공으로 즉위.[1] |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 - 618 C.E
Routledge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From the Origins of Civilization to 221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Worlds of Bronze and Bamboo: Sima Qian's Conquest of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Zuo Tradition'' / ''Zuozhuan'' Reader: Selections from China's Earliest Narrative Histor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5]
문서
국명。国都は現在の河北省邢台県。
[6]
서적
춘추좌씨전
[7]
서적
춘추좌씨전
[8]
서적
춘추좌씨전
[9]
서적
사기
[10]
서적
좌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