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무비 메이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동영상 제작 및 편집 소프트웨어로, 윈도우 운영체제에 기본 또는 윈도우 필수 패키지를 통해 제공되었다. 2000년 윈도우 Me에 처음 포함된 이후, 윈도우 XP, 비스타, 윈도우 라이브 등을 거치며 다양한 버전으로 출시되었으며, 2017년 지원이 중단되었다.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프로젝트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며, 이미지 및 동영상 가져오기, 자르기, 특수 효과 추가, 자막 삽입, 파일 내보내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했다. 윈도우 무비 메이커의 지원 중단 이후, 가짜 프로그램이 등장하는 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 VirtualDub
VirtualDub은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무료 오픈 소스 비디오 캡처 및 처리 유틸리티이며, AVI 파일을 주로 처리하고 플러그인을 통해 다른 파일 형식도 지원하며, 동영상 캡처, 편집, 비디오 처리 및 필터 기능을 제공한다. -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 샷컷
샷컷은 다양한 편집 기능과 하드웨어 연동을 제공하며, FFmpeg를 통해 여러 형식을 지원하고 휴대용 앱으로 실행 가능한 오픈 소스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다. - 중단된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로, 2005년 MSN 메신저에서 브랜드 변경 후 출시되어 오프라인 메시징, 테마 변경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여러 플랫폼을 지원했으나 2013년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기능만 이용 가능하다. - 중단된 마이크로소프트 소프트웨어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운영 체제와의 통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으나, 웹 표준 문제와 보안 취약점으로 비판받으며 2015년 엣지에 자리를 내주고 2022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엣지의 IE 모드로 레거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 윈도우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맥스 (소프트웨어)
맥스는 시각적 프로그래밍 기반의 실시간 음향 및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로, MSP와 Jitter 모듈 추가를 통해 기능이 확장되었으며, 음악 제작, 사운드 디자인, 인터랙티브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Ableton Live와의 통합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 윈도우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 밴시 (미디어 플레이어)
밴시는 플러그인을 통해 기능을 확장할 수 있으며, Mac OS X, 리눅스, 윈도우를 지원하는 미디어 플레이어이다.
윈도우 무비 메이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발사 | 마이크로소프트 |
출시일 | 2000년 9월 14일 |
단종 여부 | 예 |
최종 버전 | 16.4.3528.0331 |
최종 출시일 | 2016년 1월 10일 |
프리뷰 버전 | 2012 |
프리뷰 출시일 | 2012년 4월 16일 |
운영체제 | 윈도우 7 윈도우 8 윈도우 8.1 윈도우 10 윈도우 11 |
포함 운영체제 | 윈도우 Me 윈도우 XP 윈도우 비스타 |
플랫폼 | IA-32 x64 |
지원 언어 | 64개 |
종류 |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
라이선스 | 프리웨어 |
대체 소프트웨어 | 마이크로소프트 사진 (윈도우 10) Clipchamp (윈도우 11) |
웹사이트 | 윈도우 필수 패키지 지원 |
관련 정보 | |
대체 소프트웨어 | 윈도우 라이브 무비 메이커 |
기타 | |
로마자 | Windows Mubi Meikeo |
2. 역사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2000년 Windows Me에 처음 포함되어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영상 트리밍과 같은 기본적인 편집 기능 위주였으나, 이후 윈도우 XP 버전을 거치며 점차 기능이 개선되었다. 특히 버전 2.0부터는 다양한 시청각 효과와 자막 추가 기능이 강화되어 간단한 동영상 편집 작업에 널리 사용되었다.
윈도우 비스타에서는 버전 6.0으로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효과와 HDV 캠코더 지원 등이 추가되었으나, 아날로그 비디오 소스로부터 동영상을 가져오는 기능은 제거되었다.[35] 구형 시스템 사용자를 위해 이전 버전 기반의 2.6 버전이 별도로 제공되기도 했다.[36]
이후 윈도우 라이브 브랜드 전략에 따라 '윈도우 라이브 무비 메이커'로 이름이 바뀌고, 윈도우 필수 패키지의 일부로 배포되었다. 이 시기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 유사한 리본 인터페이스가 도입되었고, 유튜브 등으로 직접 동영상을 내보내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8] 하지만 영상 안정화나 크로마 키 같은 일부 고급 기능은 제거되기도 했다.[40]
마지막 주요 업데이트인 윈도우 무비 메이커 2012는 H.264/MP4 형식을 기본 내보내기 포맷으로 지원하고, 이전에 제거되었던 보이스오버 녹화 기능 등을 다시 추가했다.[41]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2017년 1월 10일부로 윈도우 필수 패키지 전체 제품군과 함께 공식적인 지원 및 배포가 중단되었다.[13] 현재 윈도우 10에서는 사진 앱에 내장된 비디오 편집 기능이,[30] 윈도우 11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인수한 Clipchamp이 실질적인 후속 프로그램 역할을 하고 있다.
2. 1. 초기 버전 (무비 메이커 1.0 ~ 2.5)
윈도우 무비 메이커의 첫 번째 버전은 2000년 Windows Me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출시되었다. 다만, 윈도우 미 출시 몇 달 전에 나온 윈도우 2000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초기 버전은 기능이 부족하여 주로 캡처한 영상을 잘라내는(트리밍) 정도의 기본적인 작업만 가능했다.이후 버전들은 다음과 같이 발전했다.
- 버전 1.1 (2001년): 윈도우 XP에 포함되었으며, DV AVI 포맷과 WMV 8 파일 생성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 버전 2.0 (2002년): 2002년 11월에 무료 업데이트로 공개되었다. 이 버전부터 시청각 효과나 자막 추가 등 다양한 신기능이 추가되어, 비교적 간단한 동영상 편집은 다른 소프트웨어 없이도 가능해졌다.
- 버전 2.1 (2004년): 윈도우 XP 서비스 팩 2에 포함된 마이너 업데이트 버전이다. 무비 메이커 2가 처음 나왔을 때는 단독 설치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2.1 버전은 서비스 팩 2와 함께 제공되는 형태여서 단독으로 구하기는 어려웠다.
- 버전 2.5 (2004년):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2005에 포함되었다. 더 많은 전환 효과와 DVD 굽기 기능이 추가되었다.
초기 버전들은 어도비 프리미어와 같은 전문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와 비교하면 기능이 제한적이었다. 특히 고급 영상 제작이나 세부적인 설정 변경에는 한계가 있었고, PC 사양에 따라 이미지 삽입 제한이 심하거나 프로그램이 멈추는(프리징)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등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GUI가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워 동영상 편집을 처음 시작하는 사용자에게는 다른 상용 소프트웨어보다 편리하다는 장점도 있었다. 간단하게 영상을 자르고 저장하는 등의 기본적인 작업은 매우 쉽게 할 수 있었다.
지원하는 파일 형식은 WMA, WMV 외에도 AVI, BMP, JPEG, GIF, MPEG(호환 코덱 필요), WAV 등을 불러올 수 있었다. 출력은 WMV 또는 DV 코덱의 AVI 형식으로 제한되었지만, 동영상 품질 설정이 가능하여 로컬 감상용 고화질이나 이메일/인터넷 공유용 저화질 등으로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IEEE 1394(DV 단자)를 통해 캠코더에서 영상을 직접 가져오는 기능도 지원했다.
연도 | 버전 | 탑재 윈도우 | 주요 특징 / 비고 |
---|---|---|---|
2000년 | 1.0 | 윈도우 미 | 최초 버전, 기본적인 편집 기능 |
2001년 | 1.1 | 윈도우 XP | DV AVI, WMV 8 파일 작성 지원 |
2002년 | 2.0 | 윈도우 XP (무료 업데이트) | 다양한 효과 및 기능 추가 (시청각 효과, 자막 등) |
2004년 | 2.1 | 윈도우 XP 서비스 팩 2 | 마이너 업데이트 |
2004년 | 2.5 | 윈도우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 2005 | 더 많은 전환 효과, DVD 굽기 지원 |
2. 2. 윈도우 비스타 버전 (무비 메이커 6.0)
윈도우 비스타에 기본 포함된 새로운 버전의 무비 메이커는 윈도우 비스타와 동일한 버전 번호 6.0.6000을 사용했다. 이 버전은 새로운 효과와 전환 효과를 포함했으며, 윈도우 미디어 센터의 기본 TV 녹화 형식인 DVR-MS 파일 포맷과 Xbox 360에서의 재생을 지원했다.[5] 윈도우 비스타 프리미엄 및 얼티밋 에디션의 HD 버전은 HDV 캠코더로부터의 캡처 기능도 지원했다. 캡처 마법사는 HDV 테이프에서 DVR-MS 형식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버전에서는 아날로그 캠코더, VCR, 웹캠과 같은 아날로그 비디오 소스로부터 동영상을 가져오는 기능은 제거되었다.[6][35]일부 구형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6.0 버전을 실행할 수 없었기 때문에, 마이크로소프트는 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센터에서 윈도우 비스타용으로 업데이트된 이전 버전 2.6을 배포했다. 버전 2.6은 기본적으로 윈도우 무비 메이커 2.1과 동일하며 이전의 효과와 전환을 포함했지만, 동영상 캡처 기능은 제공하지 않았다. 이 버전은 윈도우 비스타에만 설치 가능하며, 하드웨어 가속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를 위해 만들어졌다.[7][36]
한편, 윈도우 프레젠테이션 파운데이션(WPF) 기반의 윈도우 무비 메이커 버전도 초기 윈도우 비스타(당시 코드명 "롱혼") 개발 빌드에 포함되었으나, 2004년 8월 개발 재설정 과정에서 제거되었다.[8][37]
2. 3. 윈도우 라이브 무비 메이커
윈도 라이브 무비 메이커 2009(Windows Live Movie Maker 2009)는 2008년 9월 17일 베타 버전으로 처음 공개되었고, 2009년 8월 19일에 윈도우 라이브 필수 패키지 제품군의 일부로 공식 출시되었다.[38] 이 버전은 이전 버전의 무비 메이커와 호환되지 않아, 이전 버전에서 만든 프로젝트 파일을 읽거나 사용자 지정 전환 효과를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실상 완전히 새로운 응용 프로그램이었다.인터페이스는 오피스 2007과 유사하게 리본 도구 모음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으며, '자동 동영상'(Auto Movie) 기능과 DVD 및 유튜브로 직접 동영상을 내보내는 기능이 추가되었다.[38][9] 반면, 영상 안정화, 크로마 키, 보이스오버(음성 해설) 녹화 기능 등 일부 고급 기능은 제거되었다.[40][11]
윈도우 라이브 무비 메이커 2009는 윈도우 비스타와 윈도우 7을 지원했다. 윈도우 7부터는 운영 체제에 무비 메이커가 기본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에, 윈도우 라이브 필수 패키지를 통해 설치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었다.[31][39][4][10] 다만 일부 PC 제조사는 새 PC에 미리 설치하여 제공하기도 했다.
2010년 8월 17일에는 업데이트 버전인 윈도우 라이브 무비 메이커 2011(Windows Live Movie Maker 2011)이 공개되었다. 이 버전에는 웹캠을 이용한 영상 캡처 기능, 고선명 비디오 지원, 웹 API를 통해 SkyDrive, 페이스북, 유튜브로 직접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기능, 네트워크 공유 폴더에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프로젝트에 추가하는 기능 등이 새롭게 추가되었다.[40][11]
2. 4. 윈도우 무비 메이커 2012
윈도우 라이브 브랜드가 중단되고 윈도우 필수 패키지로 이름이 바뀌면서, 윈도우 무비 메이커 2012가 2012년 4월에 공개되었다.[41][12] 이전 버전에서 제거되었던 보이스오버(음성 해설) 녹화 기능이 다시 지원되기 시작했으며, 오디오 믹서 기능과 여러 무료 스톡 음악 서비스와의 통합 기능도 추가되었다.[41][12]기본 내보내기 형식은 H.264/MP4로 변경되었지만, 기존의 WMV 형식도 계속 사용할 수 있었다.[12] 동영상 공유 플랫폼인 비메오로 직접 업로드하는 기능이 도입되었고, 이후 윈도우 8.1에서는 더 많은 사이트가 추가되었다.[12] 또한 윈도우 8 사용자를 위한 특별 기능으로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한 비디오 흔들림 보정(안정화) 기능이 추가되었다.[41][12]
2. 5. 지원 중단 및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2017년 1월 10일, Windows Essentials 제품군의 지원을 종료하면서 윈도우 무비 메이커의 공식 지원을 중단하고 다운로드 제공을 중단했다.[13]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안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지원 중단 이후, 윈도우 10에서는 Microsoft 사진 앱에 포함된 비디오 편집기가[13][30], 윈도우 11에서는 Clipchamp이 무비 메이커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21년 9월 8일 웹 기반 비디오 편집 앱인 Clipchamp을 인수했으며,[14] 2022년 3월 9일 윈도우 11의 기본 앱으로 통합했다. Clipchamp은 기존 무비 메이커에서 사라졌던 타임라인 편집 방식을 다시 도입했으며, Microsoft Azure 기반의 음성 합성 기능과 Microsoft OneDrive 연동 등 새로운 기능들을 제공한다.[15]
다만 Clipchamp은 윈도우 11에 처음 포함되었을 때 무료 사용자의 동영상 내보내기 해상도를 480p로 제한하여 사용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후 마이크로소프트는 2022년 3월 29일, 무료 사용자도 1080p 해상도로 동영상을 내보낼 수 있도록 업데이트했다.[16]
3. 기능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어도비 프리미어와 같은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윈도우 미에 처음 탑재되었을 때는 단순히 영상을 자르는 트리밍 정도의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했으며, 윈도우 XP 버전에서도 큰 변화는 없었다.
버전 2.0부터 시청각 효과나 자막 추가 등 기능이 강화되어 비교적 간단한 동영상 편집은 가능해졌다. 하지만 고급 편집 기능은 부족했고, PC 사양에 따라 이미지 삽입 제한이나 프리징 같은 안정성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UI가 직관적이어서 동영상 편집 초보자가 사용하기 쉬운 장점이 있었다.
WMA, WMV, AVI, BMP, JPEG, GIF, MPEG(호환 코덱 필요), WAV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을 불러올 수 있었고, DV 단자(IEEE 1394)를 통해 캠코더 영상 가져오기도 지원했다. 편집한 영상은 주로 WMV나 AVI 형식으로 저장했으며, 이후 버전에서는 MP4 형식 출력도 가능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영상 품질 조절도 가능했다.
윈도우 비스타 출시 이후 개발이 중단되었고, 후속으로 나온 Windows Live 무비 메이커는 기능이 더욱 단순화되었다. 현재 윈도우 10에서는 "사진" 앱[30]의 "비디오 편집기", 윈도우 11에서는 Clipchamp이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3. 1. 레이아웃
레이아웃은 '스토리보드 보기'와 '타임라인 보기', 가져온 비디오를 정리하는 컬렉션, 그리고 미리 보기 창으로 구성된다. '스토리보드 보기'에서는 비디오 프로젝트가 각 장면을 클립으로 보여주는 필름 스트립 형태로 나타난다. 스토리보드/타임라인은 하나의 '비디오'(함께 제공되는 '오디오' 막대 포함), 하나의 '음악/오디오' 막대, 그리고 하나의 '자막/크레딧' 막대로 구성된다. 각 막대에 클립을 추가하여 편집할 수 있다(예: WAV 음악 파일은 '음악/오디오' 막대에 속한다). 스틸 이미지도 타임라인에 가져와 원하는 길이만큼 표시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비디오 및 음악/오디오 막대는 여러 개의 짧은 구간으로 "자를" 수 있다. 이 구간들은 자연스럽게 이어져 재생되지만, 편집 시에는 개별적으로 다룰 수 있어 특정 구간의 음악 볼륨만 잠시 낮추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3. 2. 영상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
프로그램에 영상을 가져올 때는 '비디오 캡처'(카메라, 스캐너 등 장치 이용) 또는 기존 비디오 파일을 사용자 컬렉션으로 가져오는 '컬렉션으로 가져오기'를 선택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져올 수 있는 형식은 WMV/ASF, MPEG-1, AVI (DV-AVI), WMA, WAV, 그리고 MP3이다.[17] Windows Vista Home Premium 및 Ultimate 버전에서는 MPEG-2 Program stream 및 DVR-MS 형식 가져오기도 지원했다.[17] 시스템이 Windows 7 이상이고 필요한 코덱이 설치되어 있다면 MP4/3GP, FLV, MOV, AAC 같은 다른 컨테이너 형식의 파일도 가져올 수 있다.[18]XP 버전에서는 VCR, 테이프 기반 아날로그 캠코더, 또는 웹캠과 같은 아날로그 소스에서 비디오를 가져와 실시간으로 캡처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 기능은 Windows Image Acquisition을 기반으로 했으나, Windows Vista에서는 Windows Image Acquisition의 비디오 지원이 제거되어 아날로그 영상 가져오기가 불가능해졌다.[19][6]
DV 테이프에서 영상을 가져올 때 XP 버전에서는 "완료 시 클립 만들기" 옵션을 선택하면 각 장면의 시작을 자동으로 표시하여 편집 화면에 짧은 클립 모음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었다. 이는 실제 하드 드라이브 녹화는 하나의 연속 파일이지만, 편집 편의성을 높이는 기능이었다. 이 기능은 하드 드라이브에 이미 있는 파일을 가져올 때도 제공되었다. 그러나 Windows Vista 버전에서는 이 옵션이 제거되고, 캡처 과정 중에 클립이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변경되었다.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카메라에서 디지털 비디오를 가져올 수 있지만, USB 1.0만 지원하는 구형 카메라는 결과물의 화질이 좋지 않다. USB 2.0을 사용하는 최신 카메라는 훨씬 나은 결과를 제공한다. FireWire (IEEE 1394) 인터페이스 카메라를 사용하면 비디오를 DV AVI 파일로 저장할 경우 원본과 동일한 품질로 녹화 및 재생이 가능하지만, 디스크 공간을 약 5분에 1GB(시간당 12GB) 정도 차지한다.
가져오기 및 편집 과정의 효율성은 하드 디스크의 파일 단편화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안정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스크래치 공간 전용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포맷하거나 조각 모음을 하는 것이 좋다. 조각난 AVI 파일은 편집 화면에서 끊김 현상을 유발하고 최종 렌더링 시간을 늘릴 수 있다.
편집된 영상은 WMV 형식 또는 DV 코덱의 AVI 형식으로 내보낼 수 있다. 동영상 품질 설정이 가능하여 로컬 컴퓨터 감상용 고화질 또는 이메일이나 인터넷 공유용 저화질 등으로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Windows Movie Maker 2012 버전부터는 H.264/MP4가 기본 내보내기 형식이 되었으며(WMV도 여전히 사용 가능), 최대 50Mbps 비트레이트로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음성은 192kbps로 제한된다.[12]
그 외 가져올 수 있는 파일 형식은 다음과 같다.
파일 종류 | 지원 형식 |
---|---|
이미지 파일 | bmp, dib, emf, gif, jfif, jpe, jpeg, jpg, png, tif, tiff, wmf |
비디오 파일 | asf, avi, dvr-ms, m1v, mp2, mp2v, mpe, mpeg, mpg, mpv2, wm, wmv |
오디오 파일 | aif, aifc, aiff, asf, au, mp2, mp3, mpa, snd, WAV, wma |
3. 3. 편집 기능
캡처한 비디오 클립은 타임라인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배치할 수 있다. 타임라인에 배치된 클립은 복제, 분할, 위치 변경, 편집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자동 동영상' 기능은 미리 정의된 편집 스타일(제목, 효과, 전환 포함)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동영상을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편집 과정에서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된 원본 카메라 파일은 변경되지 않는다. 무비 메이커의 프로젝트 파일은 원본 파일을 어떻게 편집할지에 대한 지침만을 담고 있어, 원본 영상 하나로 여러 버전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오디오 트랙 역시 편집하고 게시할 수 있다. 만약 비디오나 이미지가 없다면, Windows Media Audio 형식으로 오디오 클립만 내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무비 메이커는 어도비 프리미어와 같은 전문 영상 편집 소프트웨어와 유사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윈도우 미에 처음 탑재되었을 때는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캡처한 영상을 단순히 자르는(트리밍) 정도만 가능했다. 윈도우 XP 버전도 큰 변화는 없었다. 하지만 버전 2.0부터는 시청각 효과나 자막 추가 기능이 강화되어, 비교적 간단한 동영상 편집 작업은 다른 소프트웨어 없이도 가능해졌다.
다만, 조작성이나 세부 설정 기능에는 한계가 있어 고급 영상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PC 사양에 따라 이미지 삽입 가능한 개수에 제한이 있으며, 이를 초과하면 프로그램이 강제로 종료되거나 프리징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등 안정성 문제가 지적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UI는 직관적이어서 동영상 편집 초보자가 다루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자르기나 저장 같은 기본 기능은 다른 복잡한 소프트웨어에 비해 간편하다.
무비 메이커는 다양한 파일 형식을 지원한다. 읽어들일 수 있는 형식으로는 WMA, WMV, AVI, BMP, JPEG, GIF, MPEG(호환 코덱 필요), WAV 등이 있다. 초기 버전에서는 Windows Media Video 또는 DV AVI 형식으로만 비디오를 내보낼 수 있었으며[20], 사용자가 직접 출력 설정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프로필 기능도 제공했다.[21] Windows XP 미디어 센터 에디션에서는 DVD-비디오 형식으로 프로젝트를 구울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고, Windows Vista에서는 Windows DVD Maker로 프로젝트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Windows Movie Maker 2012 버전부터는 H.264 코덱의 MP4 형식 출력을 기본으로 지원하게 되었다. (최대 50Mbps 비디오, 192kbps 오디오 제한)
편집된 비디오는 카메라가 지원하는 경우 다시 비디오 카메라로 내보낼 수 있으며, 완성된 비디오를 동영상 호스팅 웹사이트에 직접 게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주요 편집 기능은 다음과 같다.
- 프로젝트 단위 데이터 관리
- 기존 이미지 및 동영상 가져오기
- 기존 이미지 및 동영상 자르기 및 연결
- 특수 효과 추가
- 자막 삽입
- 파일 내보내기 (다양한 형식 및 품질 설정 지원)
- 음악 추가
- 내레이션 녹음
- 자동 동영상 생성
3. 4. 효과 및 전환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다양한 제목, 효과, 전환 효과 기능을 제공한다.[22]- '''제목''': 일반적으로 영화의 시작이나 끝에 배치되는 애니메이션 텍스트 화면이지만, 비디오 클립 위에 직접 배치하여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제목과 크레딧은 독립적으로 추가하거나 선택한 클립에 추가 가능하다. 정지된 제목부터 날아오거나(fly in), 점점 밝아지는(fade in) 효과, 뉴스 배너, 회전하는 신문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비디오 클립 위에 배치하여 자막을 만드는 용도로도 활용된다.
- '''전환 효과''': 한 비디오 클립에서 다음 클립으로 넘어갈 때 화면이 바뀌는 방식을 조절한다. 기본적인 페이드(fade)나 디졸브(dissolve) 효과 외에도 더 화려한 전환 효과들을 사용할 수 있다.
- '''효과''': 비디오 클립의 시각적인 모습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밝기, 대비, 색조를 조절하거나, 오래된 영화처럼 보이도록 깜빡이는 흑백 효과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윈도우 XP에 포함된 2.x 버전에는 60가지 전환 효과, 37가지 효과, 34가지 제목 및 9가지 크레딧 애니메이션이 포함되어 있었다. 윈도우 비스타 버전에서는 전환 효과와 효과, 제목/크레딧 애니메이션의 종류가 변경되었으며, 일부 이전 버전의 기능은 제외되었다. 총 49가지 효과와 63가지 전환 효과를 제공하며, 끌어서 놓기 방식으로 효과나 전환 효과 폴더에서 원하는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초기 버전(V2 이상)의 윈도우 무비 메이커는 XML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효과나 전환 효과를 만들어 추가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윈도우 비스타 버전은 Direct3D 기반의 효과를 지원했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사용자 지정 효과 및 전환 효과 제작을 위한 SDK 설명서도 제공했다.[22] XML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효과와 전환 효과를 만들어 추가하는 것이 가능했다. 실제로 화면 분할과 같은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많은 사용자 지정 전환 효과들이 상업적으로 판매되기도 했다.
하지만 Windows Movie Maker V6 버전부터는 V2.x 버전과 같은 방식의 효과 및 전환 효과 사용자 지정이 불가능해졌고, 많은 사용자 지정 기능들을 새로 만들어야 했다. V6 이후 버전에서는 사용자 지정 전환 효과와 효과 기능이 완전히 지원되지 않는다.
4. 비판 및 논란
윈도우 미(Windows Me)와 함께 출시된 무비 메이커 1.0은 기능이 부족하고[23] 매우 열악하다는 비판을 받았다.[24]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ASF 파일 형식으로만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는 점도 비판의 대상이었다.[25] 이후 출시된 2.0 및 2.6 버전에 대한 평가는 이전 버전에 비해 다소 긍정적이었다.[24]
2008년 6월에는 2003년 1월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빌 게이츠의 내부 메모가 공개되었다. 이 메모에서 그는 당시 무비 메이커의 다운로드 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다고 강하게 비판했다.[26] 이 메모는 반독점 소송 과정에서 증거로 제출된 것이었다.[27]
Windows Live 무비 메이커 2009 버전은 소프트웨어가 사실상 새로 개발되면서 기존의 많은 기능이 제거되어 오랜 사용자들로부터 실망감을 샀다. 오디오 레벨 시각화와 같은 일부 기능은 이후 업데이트에서 다시 추가되기도 했다.
무비 메이커는 어도비 프리미어와 같은 전문 편집 프로그램과 비교했을 때, 조작성이나 세부 설정 기능이 제한적이어서 고급 영상 제작이나 편집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PC 사양에 따라 이미지 삽입 가능한 개수에 제한이 심하고, 지정된 수를 넘으면 강제로 종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フリーズ|프리징일본어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안정성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다만, GUI는 다른 상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직관적이고 쉬워 동영상 편집 입문자에게는 편리하다는 평가도 있었다.
윈도우 비스타(Microsoft Windows Vista) 출시 이후 무비 메이커의 개발은 중단되었고, 후속으로 나온 Windows Live 무비 메이커는 기능이 크게 축소되고 단순화되어 초보자용으로 특화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버전에서 가능했던 복잡한 동영상이나 이미지 합성은 불가능해졌다. 이 버전은 2017년 1월 10일에 배포와 지원이 공식적으로 종료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Get Movie Maker - Microsoft Windows
http://windows.micro[...]
Windows.microsoft.com
2013-08-24
[2]
웹사이트
Windows Essentials 2012 system requirements
http://windows.micro[...]
Microsoft
2012-12-07
[3]
웹사이트
Windows Essentials: Worldwide Downloads
http://windows.micro[...]
Microsoft
2012-12-07
[4]
웹사이트
Getting ready for Windows Live Wave 3
http://www.liveside.[...]
LiveSide.net
2012-12-08
[5]
웹사이트
Explore the features: Windows Movie Maker and Movie Maker HD
https://web.archive.[...]
2015-05-30
[6]
웹사이트
Windows Movie Maker no longer supports analog capture or webcam capture
https://web.archive.[...]
Windowshelp.microsoft.com
2013-08-24
[7]
웹사이트
Windows Movie Maker 2.6 for Vista
https://web.archive.[...]
Microsoft
2007-04-06
[8]
웹사이트
"Longhorn" Professional Build 4093
https://web.archive.[...]
2016-06-15
[9]
웹사이트
Windows Live Movie Maker: Awesome Slideshows Made Simple
http://www.pcworld.c[...]
2013-07-10
[10]
웹사이트
Windows Live Wave 3: Microsoft's kinder and simpler consumer services strategy?
https://web.archive.[...]
2008-11-12
[11]
웹사이트
Windows Live Movie Maker 2011 review
https://www.pcmag.co[...]
2013-07-10
[12]
웹사이트
Windows 8 Brings Video Stabilisation to Movie Maker
https://www.pcmag.co[...]
2013-07-10
[13]
웹사이트
Microsoft's Story Remix app is Windows Movie Maker on steroids
https://www.theverge[...]
2017-05-25
[14]
뉴스
Microsoft acquires video creation and editing software maker Clipchamp
https://techcrunch.c[...]
2022-04-05
[15]
뉴스
Clipchamp is Microsoft's new video editing app for Windows 11
https://www.theverge[...]
2022-04-05
[16]
뉴스
Microsoft increases free plan for video editor Clipchamp to include 1080p exports
https://www.windowsc[...]
2022-04-05
[17]
웹사이트
Movie Maker Vista File Format Support
http://blogs.msdn.co[...]
2016-06-15
[18]
웹사이트
Windows Movie Maker FAQ (File Types)
https://web.archive.[...]
2014-07-10
[19]
웹사이트
Problems importing files into Windows Movie Maker
https://web.archive.[...]
2016-06-15
[20]
웹사이트
What kind of files can I use in Movie Maker? - Windows Help
https://web.archive.[...]
2016-06-15
[21]
웹사이트
Create custom movie settings for Windows Movie Maker
https://web.archive.[...]
Microsoft
2014-02-28
[22]
웹사이트
Windows Movie Maker and Windows DVD Maker SDK
https://web.archive.[...]
[23]
웹사이트
The 20 Worst Windows Features of All Time
http://www.pcworld.c[...]
[24]
웹사이트
Microsoft Windows Movie Maker HD review
http://www.techradar[...]
[25]
웹사이트
Windows Millennium Edition: All About Me
https://archive.toda[...]
2000-07-24
[26]
웹사이트
An epic Bill Gates e-mail rant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Full text: An epic Bill Gates e-mail rant
http://blog.seattlep[...]
2016-06-15
[28]
웹사이트
Windows Movie Maker - Trial???
https://www.neowin.n[...]
2019-12-12
[29]
뉴스
Windows Movie Maker Scam spreads massively due to high Google ranking
https://www.welivese[...]
2017-11-09
[30]
문서
現在は「フォト レガシ」
[31]
웹인용
Getting ready for Windows Live Wave 3
http://www.liveside.[...]
LiveSide.net
2012-12-08
[32]
웹인용
Getting ready for Windows Live Wave 3
https://web.archive.[...]
2008-05-24
[33]
웹인용
옛 무비 메이커가 그립다고? 윈도 7에 도로 넣어달라.
https://web.archive.[...]
2009-08-12
[34]
웹인용
Windows 도움말 - Windows 필수 패키지
https://support.micr[...]
[35]
웹인용
Windows Movie Maker no longer supports analog capture or webcam capture
http://windowshelp.m[...]
Windowshelp.microsoft.com
2013-08-24
[36]
웹인용
Windows Movie Maker 2.6 for Vista
http://www.microsoft[...]
Microsoft
2007-04-06
[37]
웹인용
"Longhorn" Professional Build 4093
http://www.aeroxp.or[...]
2016-06-15
[38]
웹인용
Windows Live Movie Maker: Awesome Slideshows Made Simple
http://www.pcworld.c[...]
2013-07-10
[39]
웹인용
Windows Live Wave 3: Microsoft's kinder and simpler consumer services strategy?
http://www.zdnet.com[...]
2008-11-12
[40]
웹인용
Windows Live Movie Maker 2011 review
http://www.pcmag.com[...]
[41]
웹인용
Windows 8 Brings Video Stabilization to Movie Maker
http://www.pcmag.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