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윈도우 모바일 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윈도우 모바일 센터는 모바일 기기 관련 장치 설정을 표시하는 기능으로, 2004년 윈도우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컨퍼런스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윈도우 비스타에 포함되었으며, 8가지 정보와 관련된 구성 요소를 직사각형 형태로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밝기 조절, 소리 조절, 배터리 상태, 무선 네트워크 상태, 화면 방향, 외부 디스플레이, 동기화 센터, 프레젠테이션 설정 등의 칸을 포함하며, 시스템에 따라 표시되는 칸은 달라진다. 제어판에서 접근하거나 윈도우 키+X 키를 눌러 실행할 수 있으며, OEM은 추가 타일 및 회사 브랜딩으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도우 비스타 - 퍼블 플레이스
    퍼블 플레이스는 짝맞추기, 손과 눈의 협응력, 암호 해독 등 다양한 종류의 세 가지 미니 게임(퍼블 페어스, 컴피 케이크, 퍼블 숍)으로 구성된 게임 모음집이다.
  • 윈도우 비스타 - 윈도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델
    윈도우 비스타부터 도입된 윈도우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모델(WDDM)은 성능 향상, 안정성, 새로운 기술 지원을 목표로 개발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아키텍처로, 가상화된 비디오 메모리, GPU 스케줄링, 프로세스 간 Direct3D 표면 공유, 향상된 오류 허용성 등의 특징을 가지며 데스크톱 윈도우 관리자(DWM)를 통한 합성 데스크톱 환경 구현에 필수적이다.
  • 윈도우 구성 요소 -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웹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윈도우 운영 체제와의 통합으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했으나, 웹 표준 문제와 보안 취약점으로 비판받으며 2015년 엣지에 자리를 내주고 2022년 지원이 종료되었지만, 엣지의 IE 모드로 레거시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 윈도우 구성 요소 -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RDS)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의 데스크톱 환경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며,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 서버 구성 요소,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윈도우 모바일 센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윈도우 모바일 센터 아이콘
윈도우 모바일 센터 아이콘
윈도우 11의 윈도우 모바일 센터 애플리케이션 스크린샷
윈도우 11의 윈도우 모바일 센터 애플리케이션
개발
개발자마이크로소프트
출시
출시일2006년 11월 30일
운영 체제
운영 체제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윈도우 8
윈도우 8.1
윈도우 10
윈도우 11

2. 역사

윈도우 하드웨어 엔지니어링 컨퍼런스에서 2004년에 처음 선보인 모바일 기기 관련 장치 설정을 표시하는 모빌리티 센터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중단한 윈도우 "넵튠"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액티비티 센터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며, 코드명 "롱혼"으로 알려졌던 윈도우 비스타에 포함될 예정이었다.[1][2]

3. 기능 및 인터페이스

윈도우 모바일 센터의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설정, 배터리 수명 및 전원 관리 방식, 화면 밝기, 무선 네트워크 강도 및 상태 등 각 구성 요소와 관련된 정보와 설정을 담고 있는 사각형 타일로 구성되어 있다.[3][4] 인터페이스에 나타나는 타일은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장치 드라이버에 따라 다르다.

윈도우 모바일 센터는 Windows 제어판에 있으며, 윈도우 비스타 및 7에서 + 키를 눌러 실행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데스크톱 컴퓨터에서는 윈도우 모바일 센터를 사용할 수 없지만, 레지스트리를 수정하여 이 제한을 우회할 수 있다.[5]

윈도우 모바일 센터는 확장 가능하다. OEM은 인터페이스에 추가 타일 및 회사 브랜딩을 넣어 사용자 지정할 수 있다.[4]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하지는 않지만, 개별 개발자가 인터페이스용 타일을 만들 수도 있다.[6]

3. 1. 기본 제공 타일

윈도우 모바일 센터의 인터페이스는 여덟 가지 정보를 보여주며, 각 정보는 직사각형 타일에 포함되어 있다. 표시되는 타일은 시스템에 따라 다르다. 윈도우 비스타는 다음 타일을 포함하고 있다.

기본 제공 타일



이 밖에도 휴대용 컴퓨터 제조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맞는 고유 기능을 위해 다른 타일을 추가하기도 한다.[3][4]

3. 2. OEM 추가 기능

휴대용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자사의 제품에 맞는 고유의 기능을 윈도우 모바일 센터에 추가하기도 한다.[4]

4. 실행 방법

+ 키를 눌러서 윈도우 모바일 센터를 실행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가 아닌 환경에서는 실행할 수 없다.[5]

수정 후:

+ 키를 눌러 윈도우 모바일 센터를 실행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가 아닌 환경에서는 실행할 수 없다.[5]

5. 지원 버전

윈도우 모바일 센터는 윈도우 비스타의 홈 베이직, 홈 프리미엄, 비즈니스, 엔터프라이즈, 얼티밋 에디션에서 사용할 수 있다.

6. 확장성

윈도우 모바일 센터는 확장할 수 있다. OEM은 인터페이스를 추가 타일 및 회사 브랜딩으로 사용자 지정할 수 있다.[4]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지원하지는 않지만, 개별 개발자도 인터페이스용 타일을 만들 수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WinHEC 2004 'Longhorn' Prototypes Gallery http://winsupersite.[...] Penton Media 2015-06-01
[2] 웹사이트 WinHEC 2004: Microsoft Merges Tablet PC Future into Wider Mobile Computing Vision http://windowsitpro.[...] Penton 2015-06-06
[3] 웹사이트 Using Windows Mobility Center http://windows.micro[...] 2015-05-24
[4] 웹사이트 Windows Mobility Center - Extensibility http://www.istarteds[...] Microsoft 2015-05-24
[5] 웹사이트 How to Enable Windows Mobility Center on a Desktop Computer http://www.vistax64.[...] Designer Media Ltd 2015-05-24
[6] 웹사이트 Extending the Windows Mobility Center with third party tiles – Rafael releases 'Display Off' tile http://www.istarteds[...] 2015-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