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린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린튼은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48년간 의료 및 교육 선교 활동을 펼친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이다. 전주 신흥학교와 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신사참배를 거부하고 자진 폐교했으며, 광복 후에는 한남대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총장을 지냈다. 그는 1912년 조선에 파송되어 군산영명학교에서 한국어와 영어를 가르쳤고, 3.1 운동을 지원했다. 린튼은 1960년 사망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럼비아 신학대학원 동문 - 조지 애시모어 피치
    조지 애시모어 피치는 중국에서 활동한 미국 장로교 선교사이자 YMCA 간사로서, 난징 대학살 당시 난징 안전지대 국제위원회 이사로 활동하며 민간인 보호와 학살 참상 기록에 헌신했고, 한국 독립운동 지원 및 YMCA 재건에 기여하여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을 수여받았다.
  • 순천 인씨 - 인요한
    인요한은 미국 국적의 의사이자 정치인으로, 5·18 민주화 운동 당시 통역 활동, 대한민국 의료 시스템 개선, 대북 의료 지원 등의 활동을 했으며, 한국 국적을 취득 후 국민의힘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나 과거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순천 인씨 - 휴 린턴
    미국 선교사 휴 린턴은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전쟁에 참전 후 등대선교회를 설립, 전남 순천을 중심으로 도서 지역 교회 개척과 결핵 퇴치에 헌신했으며 그의 활동은 아들 인요한에게 영향을 주었다.
윌리엄 린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인돈
원어 이름印敦 (Ihn Don)
영어 이름William Alderman Linton
직함장로
출생일1891년 2월 8일
출생지미국 조지아주 토머스빌
사망일1960년 8월 13일
사망 장소미국 테네시주 녹스빌
거주지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
종교개신교 (장로회)
학력
학사미국 조지아공대 전기공학 (1912년)
석사컬럼비아대 사범대학원 교육학 (1921년)
석사컬럼비아대 신학대학원 신학 (1930년)
박사미시시피 벨헤븐대학교 교육학 (1957년)
가족
배우자인사례 (Charlotte Witherspoon Bell Linton)
자녀슬하 4남 (셋째 아들 인휴, 막내 아들 인도아)
경력
직업선교사 출신 대학 교수
기타 정보
훈장201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친척존 알더만 린턴 (손자)

2. 주요 이력

윌리엄 린튼은 1912년 21세 때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로 일제 강점기 조선에 파송되어 48년간 의료, 교육, 선교 활동을 했다. 전주 신흥학교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학교를 자진 폐교했다.[3] 광복 후 다시 대한민국을 찾아 한남대학교(당시 대전대학)를 설립하여 초대 총장을 역임했다.[4][5] 그는 한국에서 교육 선교사가 되기 위해 한국어 발음 훈련을 받고, 컬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과 컬럼비아 신학대학에서 추가 학위를 취득했다.[2]

3. 생애

윌리엄 앨더먼 린턴은 1891년 2월 8일 조지아주 토머스빌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형제자매를 잃고 부모의 이혼을 겪는 등 불우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주일학교 교사였던 신시아 맥클린과 M.M. 헐은 그의 초기 삶에 영향을 주었으며, 린턴은 대학 시절 헐의 집에서 살면서 존 페어먼 프레스턴을 만나 한국 선교사의 길을 걷게 되었다.[1]

3. 1. 초기 생애와 교육 (1891-1912)

윌리엄 린튼은 1891년 2월 8일 미국 조지아주 토머스빌에서 부농 집안의 셋째로 태어났다. 두 살 때 누나 모드가 죽고, 2년 후에는 형 와이츠 2세도 죽었으며, 8살 때는 여동생 칼리도 장티푸스로 사망하는 등 유년 시절은 불행하였다. 10세 때에는 부모가 이혼하였고, 1908년 조지아 공대에 입학한 이듬해 어머니가 오랜 병고 끝에 사망하였다. 그의 어머니는 감리교 신자였으며 윌리엄도 세례는 장로교가 아닌 감리교에서 받았다.[1]

어머니 사망 후 대학교 3학년 때부터 기숙사에서 나와 남장로회 노스애비뉴 교회 장로이자 의사였던 M. M. Hull 박사 댁에서 기거했는데, 이 인연으로 존 페어먼 프레스턴을 만나 한국 선교사가 되라는 초대를 받았다.[1]

3. 2. 일제 강점기 선교 및 교육 활동 (1912-1940)

윌리엄 린튼은 1912년 미국 남장로회 선교사로 일제 강점기 조선에 파송되어 48년간 교육 선교 활동을 했다. 군산영명학교에서 한국어로 성서와 영어를 가르쳤다.[2] 1919년 전라북도 군산의 만세시위 운동을 배후에서 지도했고, 미국에서 3.1 운동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지지를 호소했다.[2]

1922년, 윌리엄 린튼은 남장로교 선배 선교사인 유진 벨(한국명 배유지)의 딸 샬럿 벨(한국명 인사례)과 일본 고베에서 결혼했다. 샬럿 벨은 목포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은 미국에서 보냈다.[2]

윌리엄 린튼은 전주신흥학교기전여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중,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반대하여 1940년 학교를 자진 폐교하고 미국으로 추방되었다.[2] 그는 한국 학생들이 계속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조선총독부 학무국과 협상했다.[3]

3. 3.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의 활동 (1945-1960)

한국 전쟁 중에도 전라북도 전주에 남아 성서학교를 운영하였고, 전쟁 막바지에는 경상남도 부산에서 선교 활동을 하였다.[2] 그러나 이때부터 건강이 악화되었고 1948년에 수술을 받기위해 미국 버지니아를 다녀왔으며, 1956년에도 역시 수술을 위해 일본 동경을 다녀왔다.[2] 건강이 여의치 않는 와중에도 1956년 대전기독학관을 설립했고 1959년 대전대학(현, 한남대학교)으로 인가를 받아 초대학장에 취임했으나,[2] 이듬해 으로 인한 건강악화로 1960년 6월 학장직을 사임하고 차남 유진이 의사로 일하고 있던 미국 테네시주 녹스빌로 귀국하였으나 8월에 사망하였다.[2] 린튼은 1956년 대전광역시에 대전대학을 설립하고 초대 총장을 지냈으며,[4][5] 이 대학은 1982년 한남대학교로 개칭되었다.[4][5]

4. 가족

유진 벨(한국명 배유지(裵裕祉))의 딸 샬럿 벨(한국명 인사례)과 결혼하여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윌리엄 린튼의 가족
배우자샬럿 벨 (한국명 인사례)
장남윌리엄 린튼 2세
차남유진 린턴
3남인휴(Hugh MacIntyre Linton) - 전라남도 지역에 600여 개 교회 개척, 인천상륙작전 참전, 결핵 진료소 설립.[6]
4남인도아(Thomas Dwight Linton) - 광주광역시 지역 교회 설립, 한국기독교 친구들 이사.[7]
3남 인휴의 아들인요한 (연세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 세브란스병원 원장), 인세반 (유진 벨 재단 회장)[11]


5. 평가 및 유산

윌리엄 린튼은 일제강점기 조선에 파송되어 48년간 의료 및 교육 선교 활동을 펼쳤다. 전주 신흥학교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학교를 폐교하는 등 민족적 자존심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 3·1 운동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려 지지를 호소하는 등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고,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하여 2010년 윌리엄 린튼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12]

해방 이후, 린튼은 대전대학(현 한남대학교)을 설립하여[4][5] 한국의 고등 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조선총독부의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학교 인가를 위해 힘썼다.[3]

한남대학교에는 윌리엄 린튼이 아내 인사례와 함께 살았던 생가가 보존되어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여러 건물이 있다. 아내 인사례의 이름을 딴 '인사례 교양관'과 '사례교'라는 다리도 교내에 있다.

윌리엄 린튼의 가족은 기독교 선교, 의료, 공공 봉사 분야에서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3남 인휴는 전라남도 도서지역에 600여 개의 교회를 개척했으며,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다.[6] 인휴의 아들 인세반은 유진 벨 재단 회장으로 북한 의료지원 사업을 하고 있으며, 다른 아들 인요한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으로 앰뷸런스를 북한에 보내는 등 북한 의료지원에 힘썼다.[8][9] 4남 인도아는 광주광역시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하였다.[7]

5. 1. 긍정적 평가

윌리엄 린튼은 일제강점기 조선에 파송되어 48년간 의료 및 교육 선교 활동을 펼쳤다. 전주 신흥학교기전여학교 교장을 역임하며, 신사참배 강요에 맞서 학교를 폐교하는 등 민족적 자존심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3]

특히, 1919년 전북 군산의 만세시위 운동을 지도하고 3·1 운동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려 지지를 호소하는 등 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하였다.[12]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공로를 인정하여 2010년 윌리엄 린튼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12]

해방 이후, 린튼은 대전대학(현 한남대학교)을 설립하여[4][5] 한국의 고등 교육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린튼은 한국 학생들의 교육받을 권리를 위해 노력했으며, 조선총독부의 압력에도 굴하지 않고 학교 인가를 위해 힘썼다.[3]

5. 2. 유산

한남대학교에는 윌리엄 린튼이 아내 인사례와 함께 살았던 생가가 보존되어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여러 건물이 있다. 아내 인사례의 이름을 딴 '인사례 교양관'과 '사례교'라는 다리도 교내에 있다.

윌리엄 린튼의 가족은 기독교 선교, 의료, 공공 봉사 분야에서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3남 인휴는 전라남도 도서지역에 600여 개의 교회를 개척했으며,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다.[6] 인휴의 아들 인세반은 유진 벨 재단 회장으로 북한 의료지원 사업을 하고 있으며, 다른 아들 인요한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으로 앰뷸런스를 북한에 보내는 등 북한 의료지원에 힘썼다.[8][9] 4남 인도아는 광주광역시에서 의료봉사 활동을 하였다.[7]

대한민국 정부1919년 전북 군산의 만세시위 운동을 지도하고, 3·1운동의 실상을 국제사회에 알린 공로를 인정하여 2010년 3·1절에 윌리엄 린튼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하였다.[12]

참조

[1] 서적 An American's vision for Korea in action: Dr. William Alderman Linton, founder of Hannam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Press 2006
[2] 서적 William Alderman Linton: 지지 않은 태양 인돈. Baul 2012
[3] 서적 A Biography of William A. Linton: His mission and his life Jisik-Sanup Publications 2003
[4] 서적 William Alderman Linton: 지지 않은 태양 인돈. Baul 2012
[5] 웹사이트 Brief History http://www.hannam.ac[...] 2014-02-22
[6] 뉴스 Linton family has century-old history of service to Korea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4-02-22
[7] 웹사이트 Thomas Dwight Linton Obituary http://www.obitsforl[...] Obits for Life 2014-02-22
[8] 웹사이트 Ihn Yo-han: American-Korean doctor in love with Korea https://www.koreatim[...] 2023-09-01
[9] 웹사이트 Love for Korea over 4 generations https://www.korea.ne[...] 2023-09-01
[10] 뉴스 American doctor gains Korean citizenship http://english.chosu[...] The Chosunilbo 2014-02-22
[11] 웹사이트 Eugene Bell's Roots http://www.eugenebel[...] 2014-02-22
[12] 뉴스 린튼 선교사에 건국훈장 애족장… 21세부터 48년간 복음화·독립운동 헌신 http://news.kukinews[...] 국민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