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베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베일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공군 조종사로, 약 30대의 항공기를 격추한 것으로 기록되었으나, 일부 전과는 이탈리아 및 독일 측 기록과 일치하지 않아 논란이 있다. 그는 1914년 영국에서 태어나 영국 공군에 입대하여 정비사, 기총사수를 거쳐 조종사로 복무했다. 전쟁 초기 리비아, 그리스, 크레타 등지에서 전투에 참여했으며, 무공 십자 훈장과 공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전쟁 후에는 비행 교관으로 활동하다가 1946년 영국 공군에서 퇴역했으며, 1981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왕립공군 소령 - 도널드 애치슨
    도널드 애치슨은 영국의 의사이자 공무원으로, 영국 정부 의료수석을 역임하며 에이즈와 광우병 문제 해결에 기여했고, 건강 불평등에 관한 애치슨 보고서를 작성했다.
  • 1981년 사망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1981년 사망 - 베아트리스 틴슬리
    베아트리스 틴슬리는 은하 진화와 우주론 연구에 기여한 뉴질랜드 출신 천문학자로, 여성 과학자로서 어려움을 극복하고 예일 대학교 최초 여성 천문학 교수가 되었으며, 가속 팽창 우주 연구 등의 업적과 함께 여성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인물이다.
윌리엄 베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윌리엄 베일
별명체리
출생일1914년 6월 3일
출생지채텀, 켄트 주, 잉글랜드
사망일1981년 11월 29일
사망지브래클리, 노샘프턴셔 주, 잉글랜드
군사 경력
소속영국
군종영국 공군
복무 기간1931년–1946년
최종 계급공군 편대장
부대제33비행대대
제80비행대대
참전제2차 세계 대전
훈장
훈장Distinguished Flying Cross & Bar
Air Force Cross
Mentioned in Despatches

2. 어린 시절과 경력

윌리엄 베일은 1914년 영국 켄트주 채텀에서 태어나 서포크(Suffolk)의 프람링엄(Framlingham)에서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는 영국 해군 해병대 대위 출신 퇴역 군인이어서 어린 베일은 일찍부터 군대 문화를 체득하며 자랐다. 그는 학창 시절 운동선수로 상당한 소질을 보였다.

"체리(Cherry)"라는 별명으로 불리던 베일은 1931년 17세의 나이로 영국 공군(RAF)에 사병(군번 565293)으로 입대하여[1] 정비사로 근무했다. 얼마 후 기총사수로 보직을 변경한 그는 1935년 이집트에 주둔하던 제33 비행대대(No. 33 Squadron RAF)에 배치되었다. 1936년 아부 수웨이르(Abu Suwayr)에 있는 제4비행학교(No. 4 Flying Training School)에서 조종사 훈련을 받은 그는 1937년 말 하사관 조종사로 제33비행대에 복귀했다. 1938년 3월, 이 부대는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로 기종을 전환했다.

3.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윌리엄 베일은 이집트에서 비행중사로 복무하며 리비아 국경 상공에서 비행 임무를 수행했다.[1] 1940년 6월 24일, 정식 전투조종사로 보직을 명받고 공군 조종사 기장을 달았다.[1]

베일은 1940년 7월부터 1941년 2월까지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를 타고 10대의 이탈리아 공군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지만, 이탈리아군의 전투 보고서가 멸실되어 일부 승리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후 호커 허리케인으로 기종을 전환하여 1941년 3월부터 6월까지 20기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나, 이 기록 또한 검증이 까다롭다. 예를 들어 1941년 3월 4일 알바니아 상공에서 피아트 G.50을 격추했다는 주장은 이탈리아 공군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다.

비시 프랑스에 맞서 시리아 상공에서도 비행했으며, 격추 전과 중 3대는 비시 프랑스 공군기였다. 1941년 6월, 베일은 프랑스 공군의 포테즈 63 쌍발 폭격기에 피해를 입혔고, 다음날 하이파 근처에서 2대의 드보아틴 D.520 전투기를 격추시켰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그리스와 크레타 전투에서 영국 공군의 공식 기록이 파괴되면서 베일의 격추 주장은 일부 입증이 불가능해졌다. 베일이 북아프리카와 그리스 전역, 크레타 전투에서만 공중전을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남은 기간 동안 실전에 참가하지 않았다는 점은 그의 격추 기록에 대한 논란을 더욱 가중시킨다.

3. 1. 주요 전투 및 전과

베일은 1940년 7월 1일부터 1941년 2월 28일까지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를 조종하며 이탈리아 왕립 공군기 10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지만, 일부 전과는 이탈리아 측 기록과 교차 검증되지 않는다.[1]

1940년 7월 1일 포트 카푸초 상공에서 피아트 CR.32를 격추하며 첫 승리를 거두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자료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데, 이 기종을 운용하는 유일한 부대인 제50 ''스토르모''는 이날 어떠한 손실도 입지 않았기 때문이다.[2] 7월 15일, 방어 순찰 중 메르사 마트루흐 근처에서 사보이아-마르케티 SM.79를 공동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나, 관련된 이탈리아 부대가 알려져 있지 않아 이탈리아 측 기록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2]

1940년 7월, 제80비행대에 배속된 그는 1940년 말과 1941년 초에 걸쳐 그리스와 발칸 반도 상공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1941년 5월에는 크레타 섬 방어를 위해 크레타 섬 상공을 비행했다.

1941년 3월 3일부터 1941년 6월 12일 사이에는 호커 허리케인으로 기종을 전환한 후 약 20대의 격추를 추가로 기록했다. 그러나 이 중 일부 승리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1941년 3월 4일, 허리케인 V7589를 조종하며 알바니아의 히마레-발로나 상공에서 피아트 G.50 1대를 파괴했다고 주장했지만, ''이탈리아 왕립 공군''은 G.50형기의 손실을 보고하지 않았다.[2] 1941년 5월 18일, 베일은 크레타 섬에서 이집트로 철수했다.

그 후 비시 프랑스에 맞서 시리아 상공에서 작전을 수행했으며, 3대의 격추는 비시 프랑스 공군 소속 항공기였다. 1941년 6월 11일 베일은 GR II/39의 포테즈 63 1대를 손상시켰다고 주장했다. 다음 날 그는 하이파 근처에서 드보아틴 D.520 전투기 2대를 격추했다고 주장했다.

그리스와 크레타 섬으로부터의 혼란스러운 후퇴로 인해 전투 보고서를 포함한 영국 공군의 공식 기록이 파괴되어, 많은 조종사들이 주장한 적기 격추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그러나 베일의 총 격추 기록은 약 30대 격추, 3대 공동 격추, 6대 손상, 1대 공동 손상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주장 중 최소 7건은 ''이탈리아 왕립 공군''과 ''독일 공군'' 기록으로 확인할 수 없다.[2] 베일은 북아프리카 전역, 그리스 전역 및 크레타 전투에 참전했다.[2]

3. 2. 훈장 수여

William Vale영어은 1941년 3월 28일에 뛰어난 용기와 전투 기량으로 무공 십자 훈장(DFC)을 수여받았다.[1] 1941년 6월 24일, 비행 중위(전시 정규)로 진급했다.[1] 1941년 7월 11일에는 DFC 훈장에 막대(Bar)가 추가되어 2회 수여를 인증받았다.[1] 1944년 9월 1일, 훈련 임무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공군 십자 훈장(AFC)을 수여받았다.[1]

4. 투사에서 교사로

베일은 작전 책임자로서 RAF 하이파에 파견되었고, 1942년 4월 영국으로 돌아와 제59 작전 훈련 부대에서 신참 조종사들을 가르치는 수석 비행 교관이 되었다.[6] 1943년 3월, 베일은 서튼 브리지의 중앙 사격 학교로 옮겨 종전까지 페어우드 커먼에서 제11 AFC를 지휘했다.[7]

5. 전후

1946년, 윌리엄 베일은 웨스트 레이넘에서 사격 및 무기 시험 지휘관으로 근무했지만, 같은 해 10월에 영국 공군에서 퇴역했다. 1959년 6월 3일, 예비역 공군 중령으로 최종 퇴역했다.[8] 이후 노팅엄셔에서 거주하다가 1981년 11월 29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2]

6. 논란

윌리엄 베일의 격추 기록은 일부 이탈리아 및 독일 측 기록과 교차 검증되지 않아 논란이 있다. 특히, 그리스와 크레타 철수 과정에서 영국 공군의 공식 기록이 파기되면서 정확한 격추 수 확인이 어려워졌다.[1] 짧은 실전 기간 동안 과도하게 많은 격추 수를 기록한 점, 그리고 큰 부상 없이 전쟁의 남은 기간 동안 실전에 참가하지 않은 점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1]

그는 전쟁 동안 30대의 적기를 단독으로 격추했음을 인정받았지만, 다른 여러 에이스들과 마찬가지로 추가 전과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1] 또한 격추 외에도 지상에 주기된 적기 3대를 격파했으며, 공중전에서 8대에 피해를 입혔다고 주장했다.[1] 윌리엄 베일은 구식 복엽 전투기인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를 몰고 10대를 격추시키고, 나중에 호커 허리케인으로 갈아탄 후에는 20대의 추축군 항공기를 격추시켜 매우 드문 단엽기 겸 복엽기 에이스로 등극했다.[1] 또한 그가 글래디에이터로 세운 무공은 마마듀크 패틀에 이어 RAF에서 두 번째로 높은 전과였고, 영연방 전체 격추 전과로는 3위에 해당하는 위대한 에이스였다.[1]

참조

[1] 간행물 London Gazette 1940-07-23
[2] 웹사이트 Squadron Leader William "Cherry" Vale http://surfcity.kund[...]
[3] 간행물 London Gazette 1941-07-25
[4] 간행물 London Gazette 1941-03-28
[5] 간행물 London Gazette 1941-07-11
[6] 간행물 London Gazette 1942-02-24
[7] 간행물 London Gazette 1944-08-29
[8] 간행물 London Gazette 1959-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