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윌리엄 실리 고셋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실리 고셋은 1876년 영국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화학과 수학을 공부한 후 기네스 맥주 회사에서 38년간 근무한 통계학자이다. 그는 보리 품종 개량을 위한 실험 설계에 통계 지식을 활용하여 소표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스튜던트'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스튜던트 t 분포는 그의 대표적인 업적이다. 고셋은 칼 피어슨과 로널드 피셔와 교류하며 통계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실험계획법에도 영향을 미쳤다. 1937년 기네스 수석 양조사가 되었으나 같은 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통계학자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간호사이자 통계학자, 사회개혁가로서 크림 전쟁 당시 헌신적인 활동으로 '램프를 든 여인'으로 불리며 병원 위생 개선, 통계학 발전, 간호학교 설립, 간호 이론 발전에 공헌하여 현대 간호학과 공중 보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통계학자 - 토머스 베이즈
    토머스 베이즈는 18세기 영국의 수학자이자 장로교 목사로서, 사후 발표된 논문에서 베이즈 정리를 소개하여 확률론과 통계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 잉글랜드의 통계학자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간호사이자 통계학자, 사회개혁가로서 크림 전쟁 당시 헌신적인 활동으로 '램프를 든 여인'으로 불리며 병원 위생 개선, 통계학 발전, 간호학교 설립, 간호 이론 발전에 공헌하여 현대 간호학과 공중 보건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통계학자 - 토머스 베이즈
    토머스 베이즈는 18세기 영국의 수학자이자 장로교 목사로서, 사후 발표된 논문에서 베이즈 정리를 소개하여 확률론과 통계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동문 - 토니 벤
    토니 벤은 작위 계승을 거부하고 하원 의원으로 남은 영국의 노동당 정치인이자 저술가로, 초기 중도 좌파에서 점차 급진적인 사회주의자로 변모하여 국유화, 산업 민주주의, 반전 운동을 지지하며 "벤니즘"이라는 용어로 불리는 정치적 이념으로 영국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동문 - 케이트 베킨세일
    케이트 베킨세일은 1973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배우이자 모델로, 1991년 TV 드라마로 데뷔하여 영화 《헛소동》을 통해 영화 배우로 활동을 시작, 《진주만》, 《세렌디피티》, 《언더월드》 시리즈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액션 스타로 자리매김했다.
윌리엄 실리 고셋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08년 윌리엄 실리 고셋 (32세)
1908년 윌리엄 실리 고셋 (32세)
출생일1876년 6월 13일
출생지영국, 켄트, 캔터베리
사망일1937년 10월 16일
사망지영국, 버킹엄셔,
학력 및 경력
직장기네스 양조장
모교윈체스터 칼리지, 뉴 칼리지, 옥스퍼드
주요 업적스튜던트 t-분포, 통계적 유의성, 실험계획법, 몬테카를로 방법, 품질 관리, 현대적 종합, 농업 경제학, 계량 경제학
가족 관계
자녀5명, 아이작 헨리 고셋 포함

2. 생애

윌리엄 실리 고셋은 1876년 영국 캔터베리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에서 화학수학을 전공했다. 1899년 졸업 후 기네스 맥주회사의 더블린 양조장에 취직하여, 통계학 지식을 양조와 농업(보리 개량)에 적용하는 연구를 했다.[8][1]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칼 피어슨의 연구실에서 연구하기도 했다.

마조리 고셋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1]

윌리엄 실리 고셋의 가족 관계
이름직업 및 기타
해리 고셋 (1907–1965)소아과 의사 (장남)
베르타 마리안 고셋 (1909–2004)지리학자이자 간호사 (둘째 딸)
루스 고셋 (1911–1953)더글러스 로프와 결혼, 다섯 자녀 (막내딸)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윌리엄 실리 고셋은 1876년 영국 캔터베리에서 태어났다.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에서 화학수학을 전공하고, 1899년 졸업 후 기네스 맥주회사의 더블린 양조장에 취직했다.[8][1] 그는 그곳에서 통계학 지식을 양조와 농업(보리 개량)에 적용하는 연구를 했다.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칼 피어슨의 연구실에서 연구하기도 했다.

2. 2. 기네스 맥주 회사에서의 경력

옥스퍼드 대학교 뉴칼리지에서 화학수학을 전공한 고셋은 1899년 기네스 맥주 회사의 더블린 양조장에 취직했다. 그는 통계 지식을 양조와 농업(보리 개량)에 적용하며 실제적인 연구를 거듭했다.[8][1] 그는 수석 실험 양조사로서 실험 설계, 유의성 검정, 경제적 유의성 분석 등에 핵심적인 새로운 통계적 방법을 개발했는데, 이는 최적의 수확량을 내는 보리 품종을 증명하기 위한 소표본, 계층화, 반복 균형 실험과 같은 것들이었다.[2]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칼 피어슨의 생물 통계 연구소에서 두 학기 동안 연구하며 통계학 지식을 심화했다.[3] 고셋과 피어슨은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3] 피어슨은 고셋의 소표본 연구의 중요성을 거의 이해하지 못했다.[1]

기네스 맥주 회사의 영업 비밀 보호 정책 때문에, 고셋은 ‘스튜던트(Student)’라는 필명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했다.[8][4]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스튜던트 t 분포로 불린다.[1] 1908년 "평균의 오차 확률분포 (The probable error of a mean)"를 비롯해 대부분의 논문이 피어슨이 주재하는 ''Biometrika''지에 발표되었다.[5][10]

1935년, 런던에 새로 설립된 기네스 양조장으로 이동하여 수석 양조사로 승진했다.[8] 1937년에는 모든 기네스의 수석 양조사가 되었으나,[8] 같은 해 영국 비컨스필드에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8]

2. 3. 가족 관계

마조리 고셋과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장남 해리 고셋(1907–1965)은 소아과 의사였고, 둘째 딸 베르타 마리안 고셋(1909–2004)은 지리학자이자 간호사였으며, 막내딸 루스 고셋(1911–1953)은 수학자 더글러스 로프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1]

3. 주요 업적

윌리엄 실리 고셋은 통계학, 특히 소표본 통계 이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스튜던트 t-분포 발견: 작은 표본 크기에서 평균을 추정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튜던트 t-분포를 개발했다. 1908년 "평균의 오차 확률분포"라는 논문을 "스튜던트(Student)"라는 필명으로 발표했다.[10]
  • 소표본 통계 이론 발전: 기네스 맥주 양조장에서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소표본 통계 이론 발전에 기여했다.
  • 실험계획법 기여: 실험계획법에서 평균 수확량뿐만 아니라 환경 변화에 강건한 품종을 육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0]

3. 1. t-분포 (스튜던트 t-분포) 발견

고셋은 칼 피어슨의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1908년 "평균의 오차 확률분포 (The probable error of a mean)"라는 논문을 발표했지만, 피어슨은 이 논문을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10] 이 논문은 작은 표본 문제를 다루었는데, 당시 생물 측정 학자들은 많은 표본을 측정하여 정확한 답을 구하는 것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기네스 맥주회사에서는 영업 비밀 문제로 직원이 논문을 발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셋은 ‘스튜던트(Student)’라는 필명으로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스튜던트 t-분포로 불린다. 이 논문을 비롯한 대부분의 논문은 피어슨이 주재하는 ''Biometrika''지에 발표되었다.[10]

3. 2. 소표본 통계 이론 발전

고셋은 옥스퍼드 대학교 뉴 컬리지에서 화학수학을 공부한 후, 1899년 기네스 맥주회사의 더블린 양조장에 취직했다. 그는 통계 지식을 양조와 농업(보리 개량)에 적용하며 실제적인 연구를 거듭했다. 1906년부터 1907년까지 칼 피어슨의 연구실에서 연구하기도 했다.[10]

당시 생물 통계학자들은 대규모 표본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고셋은 양조 과정에서 소표본을 다뤄야 하는 실용적인 필요성 때문에 소표본 문제(표본의 수는 적지만 가능한 한 정확한 답을 얻는 방법)를 해결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1908년에 발표한 논문이 그 연구 중 하나였지만, 피어슨은 이 논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10]

기네스 맥주사에서는 영업 비밀 문제로 직원이 논문을 발행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고셋은 ‘학생’(Student|스튜던트영어)이라는 필명으로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스튜던트 t 분포로 불린다. 1908년 "평균의 오차 확률분포 (The probable error of a mean)"를 비롯한 대부분의 논문이 피어슨이 주재하는 ''Biometrika''지에 발표되었다.[10]

3. 3. 실험계획법에 대한 기여

고셋은 보리 재배 연구를 통해 실험계획법에서 평균 수확량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토양이나 기후 변화에 영향을 덜 받는 튼튼한 품종을 육종하는 것도 목표로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원리에 주목한 통계학자로는 로널드 에일머 피셔(1920년대)와 다구치 겐이치(1950년대)가 있다.[10]

4. 피어슨 및 피셔와의 관계

로널드 피셔는 고셋의 소표본 연구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t-분포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피셔는 고셋의 z-분포를 자유도로 나누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t-분포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또한 t-분포를 회귀 분석에 응용하는 등 고셋의 연구를 확장했다. 칼 피어슨과 피셔는 논쟁적인 관계였지만, 고셋은 온화한 성격으로 두 사람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4. 1. 칼 피어슨과의 관계

고셋은 칼 피어슨의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1908년 논문을 썼지만 피어슨은 그 논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당시 생물측정학자들은 정확한 측정을 통해 정확한 답변을 요청하는 것을 중요시했기 때문이다. 고셋의 논문 대부분은 피어슨이 주재하는 학술지 ''Biometrika''에 발표되었다.[10]

고셋이 한 소표본 연구의 중요성을 간파한 사람은 피어슨이 아니라 로널드 피셔였다. 피어슨과 피셔는 논쟁적인 관계였지만, 고셋은 온화한 성격으로 양측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4. 2. 로널드 피셔와의 관계

로널드 피셔는 고셋의 소표본 연구의 중요성을 간파하고, t-분포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피셔는 고셋의 z-분포를 자유도로 나누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t-분포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0] 피셔는 t-분포를 회귀 분석에 응용하는 등 고셋의 연구를 확장했다. 고셋은 피셔를 높이 평가하며, 자신의 연구가 피셔에 의해 완성될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고셋과 피셔는 150통 이상의 편지를 주고받으며 긴밀하게 협력했다.

피셔는 고셋의 통계량에 t라는 문자를 할당했다. 고셋은 z\left(={t \over \sqrt{n-1}}\right)을 사용했지만, 피셔는 자신의 자유도 이론에 맞추기 위해 t로 바꿨다. 피셔는 t-분포를 회귀 분석에 응용하기도 했다.[10]

고셋은 칼 피어슨과 피셔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

5. 평가 및 영향

고셋은 칼 피어슨의 연구실에서 연구하여 1908년에 논문을 발표했지만, 피어슨은 이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고셋의 논문은 양조 기술자들이 관심을 갖는 소표본 문제(샘플 수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가능한 한 정확한 답을 얻고 싶다)에 답하는 것이었지만, 당시 생물측정학자(골턴 및 피어슨 등)는 그것보다 가능한 한 많은 측정을 하여 정확한 답을 구하는 것을 중시했다.[10]

기네스 맥주사에서는 기업 비밀 문제로 사원이 논문을 발표하는 것을 금지했기 때문에, 고셋은 'Student(스튜던트)'라는 필명으로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업적은 스튜던트 t-분포라고 불린다. 1908년의 「평균값의 오차의 확률 분포」(''The probable error of a mean'')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논문이 피어슨이 주재하는 ''"Biometrika"''지에 발표되었다.[10]

또한, 고셋은 보리 재배 문제로부터 「실험계획법에서는 평균 수확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토양이나 기후에 영향을 받기 어려운 견고한 성질을 갖춘 다양한 품종의 육종도 목표로 해야 한다」라는 생각에 도달했다. 이 원리에 주목한 통계학자로는 로널드 에일머 피셔(1920년대)와 다구치 겐이치(1950년대)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Y 12.1 William S. Gosset (1876–1937) http://www.swlearnin[...] 2015-01-11
[2] 서적 The Cult of Statistical Significance: How the Standard Error Costs Us Jobs, Justice, and Lives https://www.press.um[...]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3] 학술지 How Large Are Your G-Values? Try Gosset's Guinnessometrics when a Little "p" is Not Enough
[4] 학술지 British Statistics and Statisticians Today https://www.gwern.ne[...]
[5] 학술지 Pseudonymous fame
[6] 학술지 W.S. Gosset and Some Neglected Concepts in Experimental Statistics: Guinnessometrics II https://cpb-us-e1.wp[...]
[7] 학술지 Balanced versus Randomized Field Experiments in Economics: Why W. S. Gosset aka "Student" Matters https://cpb-us-e1.wp[...]
[8] 학술지 Retrospectives: Guinnessometrics: The Economic Foundation of "Student's" T
[9] 서적 The Lady Tasting Tea: How Statistics Revolutionized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Holt Paperbacks 2002
[10] 학술지 The probable error of a mean http://www.york.ac.u[...] 19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