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제켄도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제켄도프는 미국의 부동산 개발업자였다. 그는 뉴욕 이스트 강변 부지를 매입하여 "꿈의 도시"를 건설하려 했고, 20세기 폭스로부터 센추리 시티 부지를 인수하여 개발하는 등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크라이슬러 빌딩과 호텔 아스토르를 소유했으며, 시카고 대학교에 로비 하우스를 기증했다. 1965년 회사가 파산하기 전까지 루즈벨트 비행장 개발과 롱아일랜드 대학교 발전에 기여했다. 제켄도프는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사망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976년 사망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뉴욕 출신 - 재러드 쿠슈너
재러드 쿠슈너는 미국의 사업가, 투자자, 부동산 개발업자, 신문 발행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사위이며 전 미국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 쿠슈너 컴퍼니즈 CEO로서 부동산 사업을 확장하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분야에 관여했으며, 현재는 투자 회사 애피니티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 뉴욕 출신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뉴욕 대학교 동문 - 루돌프 줄리아니
루돌프 줄리아니는 뉴욕 시장 재임 시절 범죄율 감소를 이뤘지만 인종차별 논란도 있었고, 9.11 테러 때는 지도력을 발휘했으나 이후 트럼프 대통령 변호사로 활동하며 여러 스캔들에 연루되어 비판받는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이다. - 뉴욕 대학교 동문 - 재러드 쿠슈너
재러드 쿠슈너는 미국의 사업가, 투자자, 부동산 개발업자, 신문 발행인이자 도널드 트럼프의 사위이며 전 미국 대통령 수석 고문으로, 쿠슈너 컴퍼니즈 CEO로서 부동산 사업을 확장하고 트럼프 행정부에서 다양한 정책 분야에 관여했으며, 현재는 투자 회사 애피니티 파트너스를 설립하여 투자 활동을 하고 있다.
윌리엄 제켄도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윌리엄 제켄도프 시니어 |
원어 이름 | William Zeckendorf Sr. |
![]() | |
출생일 | 1905년 6월 30일 |
출생지 | 미국 일리노이주 패리스 |
사망일 | 1976년 9월 30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
직업 | 부동산 개발업자 |
알려진 업적 | 플레이스 빌 마리 개발 |
가족 | |
배우자 | Irma Levy (이혼) Marion Griffin (사망 시까지) Alice Odenheimer Bache Louise Betterly Malcolm (미망인) |
자녀 (Levy와 사이에서) | 윌리엄 제켄도프 주니어 Susan Zeckendorf Nicholson |
2. 생애
윌리엄 제켄도프는 일리노이주 파리에서 태어났다. 1946년 12월 42번가와 48번가 사이 이스트 강변 17 에이커(69,000 m²) 부지를 850만달러에 매입하여 록펠러 센터에 필적하는 "꿈의 도시" 개발을 추진했다.[3] 이 부지는 이후 월리스 해리슨과 넬슨 록펠러를 거쳐 존 D. 록펠러 2세가 국제 연합 본부 건립을 위해 기증했다.[5]
제켄도프는 크라이슬러 빌딩, 타임스 스퀘어의 호텔 아스토르 등을 소유했고, 1958년 로비 하우스를 시카고 대학교에 넘기기 전까지 소유했다. 콜로라도주 덴버에 마일 하이 센터, 캐나다 몬트리올에 플레이스 빌 마리를 건설하기도 했다.[7]
1965년 회사 파산 직전까지 찰스 린드버그의 대서양 횡단 비행 출발지인 루즈벨트 비행장 개발, 롱아일랜드 대학교 추진 등 다양한 부동산 거래를 성사시켰으나, 결국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1] 71세의 나이로 뉴욕에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윌리엄 제켄도프는 일리노이주 파리에서 철물점 관리인의 아들로 태어난 유대인이었다.[3][4] 제켄도프의 가족은 그가 세 살 때 뉴욕으로 이주했다.[4] 그는 뉴욕 대학교에 다녔지만, 삼촌인 샘 보차드의 부동산 회사에서 일하기 위해 중퇴했다.[4] 그는 곧 삼촌의 회사를 나와 뉴욕의 작은 건물 관리 및 중개 회사인 웹 앤 크냅에서 일했다.[4]2. 2. 부동산 개발 경력
1946년 12월, 윌리엄 제켄도프는 42번가와 48번가 사이 이스트 강변의 17acre 부지를 850만달러에 매입했다. 이 부지는 록펠러 센터에 필적하는 "꿈의 도시" 개발 가능성이 있는 곳이었다. 저명한 건축가 월러스 해리슨과 넬슨 록펠러가 이 부지를 제켄도프로부터 매입했고, 존 D. 록펠러 2세는 이 땅을 국제 연합 본부 건립을 위해 기증했다.[5]제켄도프는 크라이슬러 빌딩, 타임스 스퀘어의 호텔 아스토르, 코모도어 호텔, 드레이크 호텔, 호텔 맨해튼, 채텀 호텔도 소유했다.[6] 1958년에는 로비 하우스를 구매하여 시카고 대학교에 소유권을 이전했다. 그는 I. M. 페이가 초기에 설계한 다운타운 덴버의 마일 하이 센터(현재 웰스 파고 센터의 일부)와 다운타운 몬트리올의 플레이스 빌 마리를 개발했다.[7]
제켄도프는 시카고의 부동산 거물 아서 루블로프와 제휴하여 미시간 애비뉴의 일부를 매그니피센트 마일로 개발했다.
1965년 회사가 파산하기 직전, 제켄도프는 찰스 린드버그가 대서양 횡단 비행을 시작한 루스벨트 필드를 개발하고 롱아일랜드 대학교를 추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제켄도프는 브롱크스에 프리덤랜드 U.S.A.라는 테마파크를 건설했는데, 이 공원은 5년(1960~1964) 동안 운영되었다. 이 테마파크는 습지에 Co-op City라는 세계 최대의 협동 주택 프로젝트 건설 허가를 얻기 위한 "자리 표시자" 역할을 했다고 알려졌다.
2. 3. 20세기 폭스와의 거래, 그리고 센추리 시티
1958년 12월, 윌리엄 제켄도프는 20세기 폭스(20th Century-Fox)의 수장 스파이로스 스코라스(Spyros Skouras)와 계약을 맺고,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 California)에 있는 176에이커(약 176acre) 규모의 역사적인 부지를 4억달러에 센추리 시티, 로스앤젤레스(Century City, Los Angeles)로 개발하는 폭스의 프로젝트를 구매했다.[8] 당시 20세기 폭스는 영화 ''클레오파트라(1963)''의 흥행 참패를 비롯, 여러 값비싼 실패를 겪으면서 심각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스튜디오의 부동산 개발 이사 에드먼드 헤르셔(Edmund Herrscher)의 지휘 아래 구상된 이 프로젝트는 1958년 초에 발표되었고, 같은 해 7월에 착공할 예정이었다.[8]그러나 약속대로 공사가 시작되지 않자, 개발업자 제켄도프가 20세기 폭스의 프로젝트 지분을 5300만달러에 인수하여 프로젝트를 이어받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고, 이는 사실로 확인되었다.[8] 이듬해 3월에는 프로젝트의 수석 건축가 웰튼 베켓(Welton Becket)의 새로운 본사 건설이 그 달에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되었으나,[9] 이 역시 실현되지 않았다. 제켄도프는 프로젝트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뉴욕 홍보 임원 텍 맥크래리(Tex McCrary)를 고용했고, 맥크래리는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잘 알려진 로스앤젤레스 홍보 담당자 찰스 A. 포머란츠(Charles A. Pomerantz)와 계약하여 캠페인을 기획하고 실행하도록 했다.
포머란츠는 자신이 고용한 젊은 홍보 담당자 월리 손(Worley Thorne)에게 조언을 구했다. 손은 언론계 친구들에게 연락하여 여론을 파악했고, 프로젝트의 실제 건설 여부에 대한 깊은 회의론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세기 폭스는 자금 부족으로 제켄도프를 영입했지만, 제켄도프 역시 5,300만 달러의 구매 가격은 물론이고 4억 달러도 지불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였다. 캘리포니아 언론은 이미 센추리 시티에 대한 많은 홍보를 진행했기에, 추가적인 보도는 그들에게 큰 의미가 없었다.
손은 포머란츠에게 프로젝트의 신뢰도를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실제로 공사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보고했고, 포머란츠는 이 계획을 따랐다. 손은 헤르셔에게 연락하여 베켓 건물을 위한 "기공식"을 시작하기 위해 불도저로 철거할 수 있는 작은 건물이 있는지 문의했다. 헤르셔는 철거 가능한 양철 창고가 있으며 불도저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겠다고 답했다. 맥크래리와 웹 & 냅(Webb & Knapp)의 부사장 윌리엄 제켄도프 주니어(William Zeckendorf, Jr.)도 이를 승인했다. 손은 로스앤젤레스, 비벌리힐스(Beverly Hills), 산타모니카(Santa Monica)의 시장과 정치인, 기타 유력 인사들을 초청하고, 남부 캘리포니아(Southern California) 언론사 전체를 초청하여 성대하게 행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와 포머란츠는 창고를 철거하기 전 샴페인 병을 깨뜨려 프로젝트를 "출범"시킬 스타로 메리 픽포드(Mary Pickford)를 섭외했다. 이는 모두 상징적인 행사에 불과했고, 실제로 공사가 시작된 것은 아니었지만, 아무도 이를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아 매우 극적이고 성공적인 결과를 낳았다. ''로스앤젤레스 타임스(The Los Angeles Times)''는 이 행사에 대한 보도를 거의 세 면이나 할애했다.[10]
자금 부족은 여전했고, 제켄도프는 폭스에 하루 1000USD의 벌금을 지불해야 했다. 1960년, 제켄도프는 알코아(Alcoa)와 합작 투자를 통해 센추리 시티 건설 문제를 해결했으며, 프로젝트는 5억달러 규모로 확대되었다. 새로운 소유주들은 센추리 시티를 "도시 속의 도시"로 구상하고, 아치형 19층 센추리 플라자 호텔(Century Plaza Hotel)을 중심 건물로 삼았다. 이 합작 투자는 주택 커뮤니티, 산업 단지, 사무실 건물을 만들기 위해 토지 "잉여"를 가진 대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했음을 보여주며, 전통적인 산업에서 부동산 투자(real estate investing)로의 첫 번째 움직임을 의미했다.
2. 4. 파산과 말년
1965년 회사가 파산하기 직전, 제켄도프는 찰스 린드버그가 대서양 횡단 비행을 시작한 루즈벨트 비행장을 개발하고 롱아일랜드 대학교를 추진 및 개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등 매혹적인 부동산 거래를 하였다.[11]제켄도프는 경력 초창기부터 취득이나 자금이 모자랐던 건설 기획에 자신의 처리 기능을 이용할 수 있었으나, 자금 부족과 부딪치고 말았다.[11]
3. 개인사
제켄도프는 네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이르마 레비였고, 슬하에 윌리엄 제켄도프 주니어와 수잔 제켄도프 니콜슨 두 자녀를 두었다.[12][13] 이후 이혼했고, 이르마는 음악 평론가이자 역사가인 어빙 콜로딘과 재혼했다. 두 번째 부인은 마리온 그리핀이었는데, 1968년에 사망했다.[14] 1972년, 해럴드 L. 바체의 미망인이었던 앨리스 오덴하이머 바체와 결혼했다.[14][15] 이후 이혼했고, 1975년에 루이스 베터리 말콤과 결혼했다.
1976년 9월 30일, 윌리엄 제켄도프는 뇌졸중으로 파크 애비뉴와 65번가에 있는 자택에서 사망했다.[16]
참조
[1]
뉴스
The U.N.: One Among Many Ideas for the Sit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12-11
[2]
웹사이트
UN Secretariat
https://www.skyscrap[...]
2019-12-11
[3]
뉴스
Paul Reichmann: The genius who reshaped the world's skylines
https://www.thestar.[...]
Toronto Star
2019-12-11
[4]
웹사이트
Zeckendorf: Revisiting the legacy of a master builder
https://therealdeal.[...]
2019-12-11
[5]
뉴스
Legacy: William Zeckendorf: Planner, Dreamer
https://www.newspape[...]
2023-05-06
[6]
간행물
U.S. Hotel on Ave. of the Americas, Toots' $1½ Mil Will Buy Out His Pards
https://archive.org/[...]
2023-05-25
[7]
논문
William Zeckendorf, Place Ville-Marie, and the Making of Modern Montreal
https://id.erudit.or[...]
2019-12-11
[8]
뉴스
Los Angeles Times
1958-01-08
[9]
뉴스
Los Angeles Times
1959-03-05
[10]
뉴스
Los Angeles Times
1959-05-26
[11]
뉴스
William Zeckendorf, Real Estate Developer, 71,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5-22
[12]
뉴스
William Zeckendorf Jr., 1929-2014: Developer, philanthropist left mark on Santa Fe
https://www.santafen[...]
The New Mexican
2019-12-11
[13]
웹사이트
Obituary: Susan Nicholson
https://www.legacy.c[...]
2019-12-11
[14]
뉴스
Mrs. Bache Is Married To William Zeckendorf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9-12-11
[15]
뉴스
Harold Bache, Stockbroker, is Dead at 73
https://www.newspape[...]
1968-03-16
[16]
뉴스
William Zeckendorf, Real Estate Developer, 71 , D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