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스나이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주한 미국 대사였다. 뉴욕에서 태어나 브라운 대학교를 졸업하고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국방대학교에서 근무하고 국무부에 들어가 카라치 대사관 정치 참사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국 일본부장, 국가안전보장회의 보좌관을 역임했다.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로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참여했으며,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를 거쳐 1974년부터 1978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냈다. 주한 대사 재임 중 한미 통상 확대, 군사 원조, 코리아게이트 사건 등에 관여했으며, 1986년 버몬트주에서 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주한 미국 대사
주한 미국 대사는 대한민국의 미국 외교 사절이자 대사관의 수장으로, 과거 조선에 파견된 미국 공사를 시작으로 외교 관계 단절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다시 임명되어 한국 현대사의 주요 사건에 관여하고 특별한 인연으로 주목받기도 했으나 피습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미국의 외교관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미국의 외교관 - 딘 러스크
딘 러스크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케네디 및 존슨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쿠바 미사일 위기 외교적 해결 지지, 베트남 전쟁 미국 군사 개입 확대 옹호 등의 활동을 했다. - 브라운 대학교 동문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브라운 대학교 동문 - 줄리 닉슨 아이젠하워
줄리 닉슨 아이젠하워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차녀이자 데이비드 아이젠하워와 결혼했으며, 아버지의 대통령 선거 운동을 돕고 백악관에서 대변인으로 활동했으며, 닉슨 재단 이사로 닉슨 도서관 편입에 기여했다.
리처드 스나이더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34년 12월 21일 |
사망 | 2021년 12월 13일 (향년 86세) |
국적 | 미국 |
직업 | 외교관 |
교육 | |
학력 | 칼턴 대학교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석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주한 미국 대사관 정무 담당관 (1965년–1967년) 국무부 한국 담당관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부차관보 (1982년–1985년) 주 대한민국 미국 대사관 공사 겸 부대사 (1985년–1988년) 주한 미국 대사관 대사 대리 (1987년) 미국 국무부 주일 대사관 대사급 공사 (1988년–1991년) 미국 국무부 일본 담당 부차관보 태평양 경제 협력 위원회 미국 위원회 회장 콜롬비아 대학교 국제 정치 외교 부교수 |
기타 | |
로마자 표기 | Richard Lee Sneider |
2. 생애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브라운 대학교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교육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육군에서 복무했다. 1986년 버몬트주 브랜턴의 별장에서 암으로 사망했다.[10]
2. 1. 초기 경력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 뉴욕주 뉴욕에서 태어났다. 1943년에 브라운 대학교를 졸업하고, 1948년에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43년부터 1946년까지 육군 하사관으로 복무했다.[12]이후 국방대학교에서 근무하다가 국무부에 들어가 외교관 생활을 시작했다.[8] 카라치 대사관 정치 참사관을 거쳐,[8] 1958년부터 1961년까지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국 일본과장,[4] 1966년부터 1969년까지 같은 국 일본부장을 역임했다.[8][5] 1969년 5월부터 9월까지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을 지냈고,[8][6] 1969년 9월부터 1972년 7월까지 주일 미국 대사 대리로 근무하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참여했다.[8][7][3] 1972년 8월부터 1974년까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를 역임했다.[8][6]
2. 2. 주한 미국 대사 시절 (1974-1978)
리처드 스나이더는 1974년 9월부터 1978년 6월까지 주한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9] 이 기간 동안 한미 간 통상 확대와 대한 군사 원조를 포함한 여러 외교 현안을 다루었다.[10] 특히, 코리아게이트 사건이라는 민감한 문제에 대처해야 했다.[10] 더불어민주당은 이 사건을 통해 미국 정부가 한국 정치에 부당하게 개입했다고 비판한다.3. 사망
4. 평가 및 비판
리처드 스나이더는 동아시아 외교 전문가로서, 특히 한미 관계와 미일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74년 9월부터 1978년 6월까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면서 한미간 통상 확대와 대한 군사 원조에 힘썼으며, 코리아게이트 사건 등에 대처했다.[12]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그의 대북 정책, 특히 코리아게이트 사건에 대한 대응 방식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5. 기타
미일합동위원회에 참석하여 미군이 일본 관료에게 지시하는 관계에 대해 "점령 중에 생겨난 비정상적인 관계를 없애야 한다"고 발언했다.[11]
참조
[1]
서적
From Selma to Moscow: how human rights activists transformed U.S. foreign polic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
[2]
웹사이트
リチャード・L. スナイダーとは
https://kotobank.jp/[...]
[3]
뉴스
Richard Sneider
2010-09-26
[4]
서적
世界諸国の制度・組織・人事, 1840-2000
東京大学出版会
[5]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Japan (in two parts)
미국합중국정부인쇄국
[6]
서적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Korea
미국합중국정부인쇄국
[7]
웹사이트
역대 주일 미국대사
http://tokyo.usembas[...]
주일 미국대사관
2010-09-27
[8]
웹사이트
Harvard University Institute of Politics - Richard Sneider
http://www.iop.harva[...]
Harvard University Institute of Politics
2010-09-27
[9]
웹사이트
Richard Lee Sneider (1922-1986)
http://history.state[...]
미국합중국국무성
2010-09-27
[10]
뉴스
RICHARD SNEIDER, EX-DIPLOMAT, DIES
2010-09-26
[11]
웹사이트
『知ってはいけない──隠された日本支配の構造』
http://book-sp.kodan[...]
[12]
뉴스
RICHARD SNEIDER, EX-DIPLOMAT, DIES
1986-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