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슨의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슨의 정리는 10세기 이븐 알하이삼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고, 1770년 에드워드 워링에 의해 제자 존 윌슨이 발견했다고 발표되면서 윌슨의 정리로 명명되었다. 이 정리는 소수 p에 대해 (p-1)! + 1이 p로 나누어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며, 윌슨의 정리는 소수 판별법으로 이론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계산 복잡성으로 인해 실용적이지 않다. 또한, 윌슨의 정리는 p-adic 감마 함수를 정의하거나 가우스의 일반화를 통해 확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수에 관한 정리 - 산술의 기본 정리
산술의 기본 정리는 1보다 큰 모든 양의 정수를 소수의 곱으로 유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정리이다. - 소수에 관한 정리 - 소수 정리
소수 정리는 소수 계량 함수 π(x)와 함수 x / ln x의 비율이 x가 무한히 커질수록 1에 수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수의 분포에 대한 점근적 법칙이다. - 모듈러 산술 - 이산 로그
이산 로그는 유한군에서 이산 거듭제곱의 지수를 찾는 역함수로, 소수 p를 법으로 하는 정수 모듈러 곱셈 그룹에서 계산적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이며, 현대 암호 시스템의 안전성 기반이지만 양자 알고리즘으로 효율적 해결이 가능하여 양자 내성 암호 연구가 필요하다. - 모듈러 산술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는 여러 개의 연립 합동식의 해 존재성과 유일성에 대한 정리이며, 정수론, 대수학,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이항 정리
이항 정리는 이변수 다항식 (x + y)ⁿ을 전개하는 공식으로, 이항 계수를 사용하며, 조합론적 증명과 수학적 귀납법을 통해 증명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이항 급수, 다항 정리 등 일반화된 형태가 존재한다. - 계승과 이항식 주제 - 감마 분포
감마 분포는 형상 모수와 척도 모수로 정의되는 연속 확률 분포로, 확률 밀도 함수가 감마 함수로 표현되며, 베이즈 통계학에서 켤레 사전 분포로 활용되고, 형상 모수가 양의 정수일 때는 얼랑 분포를 나타낸다.
윌슨의 정리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윌슨의 정리 |
로마자 표기 | Wilsoneuijeongni |
분야 | 정수론 |
내용 | |
정리 내용 | p가 소수라면 (p − 1)! ≡ −1 (mod p)가 성립한다. |
역 | 정수 p > 1에 대해 (p − 1)! ≡ −1 (mod p)라면, p는 소수이다.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소수 |
2. 역사
윌슨의 정리는 10세기 페르시아의 수학자 이븐 알하이삼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2] 유럽에서는 오랫동안 알려지지 않다가, 1770년 영국의 에드워드 워링이 그의 제자 존 윌슨이 발견했다고 발표하면서 "윌슨의 정리"라는 이름이 붙었다.[3][9][10] 1771년에 조제프 루이 라그랑주가 처음으로 증명을 제시했다.[4]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도 한 세기 전에 이 결과를 알고 있었지만, 발표하지는 않았다.[5][9]
2부터 30까지의 각 ''n'' 값에 대해, (''n'' − 1)!의 값과 (''n'' − 1)!을 ''n''으로 나눈 나머지를 나타내는 표이다. (모듈러 산술 표기법에서, ''m''을 ''n''으로 나눈 나머지는 ''m'' mod ''n''으로 표기한다.) 배경색은 ''n''이 소수일 경우 파란색, 합성수일 경우 금색이다.
윌슨의 정리는 쌍조건문(필요충분조건)이므로, 증명은 이 소수일 때 등식이 성립함을 보이는 부분과 이 합성수일 때 등식이 성립하지 않음을 보이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3. 예시
2 1 1 3 2 2 4 6 2 5 24 4 6 120 0 7 720 6 8 5040 0 9 40320 0 10 362880 0 11 3628800 10 12 39916800 0 13 479001600 12 14 6227020800 0 15 87178291200 0 16 1307674368000 0 17 20922789888000 16 18 355687428096000 0 19 6402373705728000 18 20 121645100408832000 0 21 2432902008176640000 0 22 51090942171709440000 0 23 1124000727777607680000 22 24 25852016738884976640000 0 25 620448401733239439360000 0 26 15511210043330985984000000 0 27 403291461126605635584000000 0 28 10888869450418352160768000000 0 29 304888344611713860501504000000 28 30 8841761993739701954543616000000 0
4. 증명
4. 1. 필요조건의 증명 (n이 소수이면 (n - 1)! ≡ -1 (mod n))
가 소수이면, 의 기약잉여계 는 에 대한 가환환을 이룬다.
이는 의 임의의 원소 에 대하여, 이 성립하는 역원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만약 이면,
:
이와 같이 과 만이 자기 자신을 곱의 역원으로 가지고, 나머지 원소들은 자신이 아닌 다른 원소를 역원으로 갖는다.
따라서, 과 을 제외한 원소들을 모두 곱하면 법 에 대해 1과 합동이 되고, 의 원소들을 모두 곱한 값, 즉 의 값은 −1과 합동이 된다.
예를 들어, 인 경우:
:
로 성립하며, 인 경우 가 된다.
: (단, 는 소수들의 집합)
이 증명은 소수를 법(modulus)으로 하는 잉여류가 유한체를 이룬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p = 2일 때는 결과가 자명하므로, p가 3 이상의 홀수 소수라고 가정한다. p를 법으로 하는 잉여류는 체를 이루므로, 0이 아닌 모든 잉여 a는 유일한 곱셈적 역원 a⁻¹을 갖는다. 유클리드의 보조정리에 의해 a ≡ a⁻¹ (mod p)인 a의 값은 a ≡ ±1 (mod p) 뿐이다. 따라서 ±1을 제외하고 (p - 1)!의 전개된 형태의 인수들은 각 쌍의 곱이 1 (mod p)가 되도록 서로소인 쌍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 = 11일 때, 다음과 같다.
:
4. 2. 충분조건의 증명 ((n - 1)! ≡ -1 (mod n)이면 n은 소수)
인 합성수 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이 합성수이므로 인 의 약수 를 잡을 수 있다.
즉, 는 과 의 공약수인데, 이는 과 가 서로소임에 모순된다.
따라서 귀류법을 통해 조건을 만족하는 은 모두 소수임을 알 수 있다.
4. 3. 다양한 증명 방법
Edward Waring영어은 1770년에 이 정리를 증명 없이 발표했으며, 그의 제자인 John Wilson (mathematician and judge)영어이 발견했다고 언급했다.[3] Joseph Louis Lagrange프랑스어는 1771년에 처음으로 증명을 제시했다.[4]
5. 따름 정리
임의의 소수 에 대해,
:
가 성립한다.
6. 응용
윌슨의 정리는 큰 n영어에 대해 (''n'' − 1)! mod ''n''을 계산하는 것이 계산적으로 복잡하고 훨씬 더 빠른 소수 판정법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소수 판정법으로서는 쓸모가 없다.[1]
반대로, 큰 계승의 다음 수의 소수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하면 매우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이것은 활용도가 제한적이다.[2]
윌슨의 정리를 이용하면, 임의의 홀수 소수 ''p'' = 2''m'' + 1에 대해, 다음 식의 좌변을 재배열할 수 있다.
:1·2⋯(''p''−1) ≡ −1 (mod ''p'')
이는 다음과 같은 등식을 얻는다.
:1·(''p''−1)·2·(''p''−2)⋯''m''·(''p''−''m'') ≡ 1·(−1)·2·(−2)⋯''m''·(−''m'') ≡ −1 (mod ''p'').
이는 다음과 같이 된다.
:
또는
:(''m''!)2 ≡ (−1)''m''+1 (mod ''p'').
이 사실을 이용하여 ''p'' ≡ 1 (mod 4)인 모든 소수 ''p''에 대해, 수 (−1)은 ''p''를 법으로 하는 제곱잉여이다. 이를 위해, 어떤 정수 ''k''에 대해 ''p'' = 4''k'' + 1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위에서 ''m'' = 2''k''를 취할 수 있으며, (''m''!)2이 (−1)과 합동임을 (mod ''p'') 결론지을 수 있다.
윌슨의 정리는 소수 공식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너무 느려서 실용적인 가치가 없다.
윌슨 정리는 p-adic 감마 함수를 정의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7. 가우스의 일반화
Carl Friedrich Gauss|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de[7]는 다음을 증명했다.
:
여기서 ''p''는 홀수 소수이고, 는 양의 정수이다. 즉, ''m''보다 작고 ''m''와 서로소인 양의 정수들의 곱은 ''m''이 4이거나, 홀수 소수의 거듭제곱이거나, 홀수 소수의 거듭제곱의 두 배일 때 ''m''의 배수보다 1 작고, 그렇지 않으면 ''m''의 배수보다 1 크다. 곱이 -1인 ''m''의 값은 모듈로 ''m''에 대한 원시근이 존재하는 값들이다.
참조
[1]
서적
The Universal Book of Mathematics
[2]
웹사이트
Abu Ali al-Hasan ibn al-Haytham
[3]
서적
Meditationes Algebraicae
https://books.google[...]
Cambridge, England
[4]
간행물
Demonstration d'un théorème nouveau concernant les nombres premiers
https://books.google[...]
[5]
간행물
Sui manoscritti inediti di Leibniz
https://books.google[...]
[6]
서적
two proofs of thm. 78
[7]
서적
DA, art. 78
[8]
웹사이트
Abu Ali al-Hasan ibn al-Haytham
[9]
웹사이트
John Wilson
[10]
문서
WilsonsTheor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