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모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니티 모듈은 국제 우주 정거장(ISS) 조립을 위해 1998년 발사된 모듈로, 자랴 모듈과 최초로 결합하여 ISS 건설의 시작을 알렸다. 2개의 축 방향과 4개의 방사형 공용 결합 기구 포트를 통해 자랴, 데스티니, 퀘스트 에어록, 트랭퀼리티, 큐폴라, Z1 트러스, 다목적 물류 모듈 등 다양한 모듈과 연결되어 ISS의 핵심 연결 허브 역할을 한다. 길이는 5.49m, 직경은 4.57m이며,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8년 우주 개발 - 존 글렌
존 글렌은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정치인으로, 1962년 최초로 지구 궤도 비행을 한 미국인이며, 해병대 조종사, 시험 조종사, NASA 우주비행사로서 활약했고, 이후 오하이오주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77세에 두 번째 우주 비행을 한 인물이다. - 1998년 우주 개발 - 딥 스페이스 1호
NASA의 딥 스페이스 1호는 뉴 밀레니엄 계획에 따라 개발되어 이온 추진 엔진과 자동 항법 시스템 등 미래 심우주 탐사에 필요한 신기술을 시험하고 브라유 소행성 탐사 후 보렐리 혜성 탐사에 성공했다. - 1998년 발사한 우주선 - STS-95
- 1998년 발사한 우주선 - 딥 스페이스 1호
NASA의 딥 스페이스 1호는 뉴 밀레니엄 계획에 따라 개발되어 이온 추진 엔진과 자동 항법 시스템 등 미래 심우주 탐사에 필요한 신기술을 시험하고 브라유 소행성 탐사 후 보렐리 혜성 탐사에 성공했다. - 국제우주정거장의 부품 - 알파 자기 분광기
알파 자기 분광기(AMS)는 우주에서 반물질, 암흑 물질, 우주선을 탐색하는 입자 검출기로, 국제 우주 정거장(ISS)에 설치되어 암흑 물질의 증거를 찾고 우주선의 특성을 측정하여 우주의 기원을 연구한다. - 국제우주정거장의 부품 - ISS 추진 모듈
ISS 추진 모듈은 국제 우주 정거장의 고도 유지, 우주 쓰레기 회피, 자세 제어를 위한 백업 추진 시스템으로 계획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개발이 취소되었다.
유니티 모듈 | |
---|---|
개요 | |
모듈 | 유니티 |
![]() | |
국제 우주 정거장 | 국제 우주 정거장 |
발사 | 1998년 12월 4일, 08:35:34 (UTC) |
발사체 | 105 |
도킹 | 1998년 12월 6일 (자랴 전방) |
언어별 명칭 | |
영어 | Unity |
2. 발사 및 초기 결합
1998년 12월 6일, STS-88 임무를 통해 우주왕복선 엔데버 호에 의해 발사되었다. 발사 직후, 엔데버 호의 승무원들은 유니티 모듈 후방 도킹 포트에 부착된 가압 결합 어댑터(PMA)를 이용하여 이미 궤도에 있던 자랴 모듈의 전방 해치와 결합시켰다. 자랴는 미국이 자금을 지원하고 러시아가 제작한 모듈로, 유니티 모듈 발사 며칠 전 러시아의 프로톤 발사체를 통해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 기지에서 발사되었다. 이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최초의 두 모듈 간의 결합이었다.
유니티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핵심 모듈 중 하나로, 다른 모듈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총 6개의 결합 포트를 가지고 있어 ISS의 여러 모듈들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한다.[1]
3. 다른 모듈과의 연결
자랴 모듈을 시작으로, 데스티니 실험실 모듈, 퀘스트 에어록, 트랭퀼리티 노드 3, 큐폴라 관측 모듈 등 다양한 모듈들이 유니티에 연결되어 ISS의 기능을 확장해왔다.
유니티의 각 포트별 연결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모듈 간 연결은 ISS의 거주 공간을 넓히고, 다양한 과학 실험 및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
4. 세부 사항
유니티는 길이 5.49m, 직경 4.57m의 원통형 모듈로,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작되었다.[3] 내부에는 5만 개 이상의 기계 부품, 216개의 유체 및 가스 배관, 총 6마일(약 9.7km) 길이의 전선 등이 복잡하게 배치되어 있다.[2] 이러한 시스템은 국제우주정거장 전체에 전력, 데이터, 유체 등을 공급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엔데버''에 탑재되기 전, 원추형의 가압 결합 어댑터(PMAs)가 ''유니티''의 후방 및 전방 계류 메커니즘에 부착되었다.[2] ''유니티''와 두 개의 결합 어댑터의 총 중량은 약 11600kg이었다. 어댑터를 통해 우주왕복선과 러시아 모듈에서 사용하는 도킹 시스템을 노드의 해치 및 계류 메커니즘에 부착할 수 있다.[2] PMA-1은 현재 ''유니티''를 자랴에 영구적으로 부착하고, PMA-2는 우주 왕복선 도킹 포트를 제공했다. PMA-1 외부에 부착된 컴퓨터, 즉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MDMs)는 ''유니티''의 초기 명령 및 제어를 제공했다. ''유니티''는 또한 휴스턴 미션 관제소와 데이터, 음성 및 저속 데이터 비디오를 사용할 수 있는 초기 통신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초기 정거장 조립 활동 동안 러시아 통신 시스템을 보완했다.
- 전장: 5.49m
- 직경: 4.57m
- 질량: 11612kg
5. 기타 노드와의 비교
국제우주정거장(ISS)에는 유니티 외에도 여러 연결 모듈(노드)이 추가되었다. 대표적인 모듈로는 하모니(노드 2)와 트랜퀼리티(노드 3)가 있다. 이 모듈들은 유니티보다 더 많은 결합 포트와 탑재 공간을 제공하여 ISS의 기능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하모니와 트랜퀼리티는 유럽 우주국(ESA)과의 협력을 통해 이탈리아의 알레니아 에어로스파지오에서 제작되었다. 이 두 모듈은 유니티보다 약간 더 긴 6.4m이며, 6개의 도킹 포트와 8개의 국제 표준 탑재물 랙(ISPR)을 수용할 수 있다. 반면 유니티는 4개의 ISPR만 수용 가능하다.[1] ESA는 콜럼버스 실험실 모듈 및 기타 ESA 장비의 발사 비용을 부분적으로 상쇄하는 대가로 노드 2와 3을 제작했다.
유니티의 연결 현황은 다음과 같다.
위치 | 연결된 모듈 |
---|---|
전방 | PMA-2를 통해 데스티니 (2001년~현재) |
후방 | PMA-1을 통해 자랴 (1998년~현재) |
우현 | 퀘스트 (2001년~현재) |
좌현 | 트랭퀼리티 (2010년~현재) |
천정 | Z1 트러스 (2000년~현재) |
하부 | 레오나르도 PMM (2011년~2015년) 및 시그너스 보급선 (2015년 이후 간헐적) |
참조
[1]
웹사이트
NASA - PMA-2 Move Readies Station for Harmony Relocation
https://www.nasa.gov[...]
2021-01-24
[2]
웹사이트
Unity Node
http://www.nasa.gov/[...]
NASA
2013-11-08
[3]
웹사이트
NASA Facts: ''Unity'' Connecting Module: cornerstone for a Home in Orbit
http://spaceflight.n[...]
NASA
1999-01
[4]
웹사이트
Space Station Science Picture of the Day: Speed Limit
http://www.spaceref.[...]
2022-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