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대어는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주변 언어와 접촉하면서 형성된 다양한 언어 변종을 통칭한다. 고대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각 지역의 비유대 언어와 결합하여 독특한 특징을 갖게 되었다. 유대 언어는 히브리어 문자를 사용하거나 현지 문자를 변형하여 사용하며, 이디시어, 라디노어 등이 대표적이다. 유대 언어는 종교, 문화적 교류를 통해 발전해 왔으나, 20세기 이후 세속주의와 대규모 인구 이동, 특히 홀로코스트의 영향으로 사용 인구가 감소했다. 현재는 영어, 현대 히브리어, 러시아어가 유대인 사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이디시어를 보존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아스포라 - 펜실베이니아 더치
펜실베이니아 더치는 17~18세기 독일 등지에서 미국으로 이주하여 펜실베이니아를 중심으로 정착한 독일어 사용 이민자들을 지칭하며, 독자적인 언어, 문화, 종교를 형성했고, 아미쉬와 메노나이트를 포함한 플레인 더치는 전통적인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디아스포라 - 데시 (인도 아대륙)
데시는 남아시아인과 디아스포라 공동체 사이에서 정체성과 소속감을 나타내는 힌두스탄어 유래 용어로, 자국을 의미하는 '스와데시'와 관련되며, 자부심 표현 및 연대의 수단으로 사용되지만 지역 다양성 간과 비판이 있고, 역사적으로는 "토착" 또는 "전통"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 유대어 - 이디시어
이디시어는 중세 고지 독일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히브리어, 아람어, 로망스어, 슬라브어 어휘를 흡수하며 발전한 유대인들의 언어로, 동유럽에서 번성했으나 20세기 이후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현재는 특정 공동체에서 사용되며 일부 국가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 유대어 - 현대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는 히브리어의 현대적인 형태로, 닿소리는 여러 음운으로 분류되고, 홀소리는 전설, 중설, 후설 모음으로 분류되며,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음운과 다양한 발음 변화를 보인다.
유대어 | |
---|---|
개요 | |
유형 | 언어 집합 |
사용 지역 | 유대인 디아스포라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인도유럽어족 튀르크어족 기타 |
언어 수 | 약 30개 |
주요 언어 | |
히브리어 | 미슈나 히브리어 성경 히브리어 현대 히브리어 |
아람어 | 유대 아람어 타르굼 |
유대-아랍어 | 다양한 방언 |
이드어 | 서부 이드어 동부 이드어 |
라디노어 | 하케티아 테투아니 라디노어 |
예반어 | 그리스계 유대인 언어 |
카탈로니아 유대어 | 카탈루냐 유대인 언어 |
이탈키안어 | 이탈리아 유대인 언어 |
카나안어 | 슬라브계 유대인 언어 |
유대-조지아어 | 조지아 유대인 언어 |
카라임어 | 튀르크계 유대인 언어 |
지디 | 이란계 유대인 언어 |
부호리어 | 타지크계 유대인 언어 |
주후리어 | 페르시아계 유대인 언어 |
자르파티크어 | 프랑스계 유대인 언어 |
유대-골파예가니어 | 골파예간 유대인 언어 |
유대-시라지어 | 시라즈 유대인 언어 |
유대-하메다니어 | 하메단 유대인 언어 |
슈아디트어 | 프로방스 유대인 언어 |
유대-마라티어 | 마라티 유대인 언어 |
유대-베르베르어 | 베르베르 유대인 언어 |
유대-말라얄람어 | 말라얄람 유대인 언어 |
크림차크어 | 크림 유대인 언어 |
언어학적 특징 | |
특징 | 히브리어, 아람어 차용 현지 언어와 결합 독특한 발음 및 문법 유대교 관련 어휘 풍부 |
사회언어학적 측면 | |
사회적 역할 | 유대인 공동체 의사소통 유대교 문화 및 정체성 유지 외부 세계와 차별화 |
사용 감소 | 홀로코스트 이주 동화 정책 |
참고 | |
같이 보기 | 유대 문화 이스라엘 언어 디아스포라 유대인 |
2. 역사
기원전 2천년 후반, 요르단강과 지중해 사이 가나안 지역에서 히브리어가 별도의 언어로 발전했다.[3] 가장 초기에 발견된 히브리어 글자는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4][5]
기원전 첫 번째 천년 초, 이스라엘 부족들은 가나안에 왕국을 세웠으나, 왕위 계승 분쟁으로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6] 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2년 앗시리아에 의해 멸망했고, 유다 왕국은 기원전 586년 바빌로니아에 정복당해 제1 성전이 파괴되고 상류층이 추방되었다.[6][7] 바빌로니아 유수 이후, 아람어가 추방된 유대인들의 주요 언어가 되었으며, 기원전 5세기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된 두루마리에서 유대/유대 아람어의 첫 증거가 발견되었다.[11] 이후 페르시아는 유다를 주로 만들고 유대인 유배자들의 귀환과 제2 성전 재건을 허락했다.[6] 아람어는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 사마리아)에서 공용어가 되었지만, 히브리어는 아람어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유다에서 계속 사용되었다.[7]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2년 유다를 정복하여 헬레니즘 지배 시대를 열었다.[7] 헬레니즘 시대 동안 유대아는 하스몬 왕조 하에서 독립했지만, 로마인들이 헤로데 대왕을 총독으로 임명하면서 독립을 잃었다.[6] 로마에 대한 유대인의 반란은 기원후 70년 제2 성전 파괴로 이어졌고, 기원후 132–135년 바르 코흐바의 난으로 유대아 유대인 인구는 대규모로 이탈했다.[6] 제2 성전 시대 이후의 성경 히브리어는 미쉬나 히브리어로 발전했으며, 기원후 200년경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문어체 언어로 발전했다.[8]
디아스포라 이후 유대교 공동체는 세계 각지로 흩어졌으며, 이웃 언어의 새로운 변종을 개발하기도 했는데 이를 통칭하여 "유대 언어"라고 한다.[11] 이들은 히브리어와 유대-아람어 어휘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지며, 대부분 히브리 문자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한다.[11]
20세기 초, 세속주의와 대규모 인구 이동으로 유대 언어에서 비유대 언어로의 전환이 시작되었으나,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유대인 대부분, 그리고 북아메리카와 팔레스타인 유대인의 많은 이민자들은 여전히 유대 언어를 사용했다. 홀로코스트는 특히 이디시어를 포함한 유대 언어 사용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왔으나,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이디시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인기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다.[12][13]
중세 시대에 라인란트에서 발달하기 시작한 ייִדיש|이드시yi어는 מאַמע־לשון|마메-로슌yi(어머니의 말)이라고도 불린다.
길라드 주커만은 2003년 저서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1]와 2014년 논문 《Jewish Language Contact》[2]에서 현대 히브리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2. 1. 고대 히브리어와 아람어
초기 북서 셈어 자료는 청동기 시대 말기인 기원전 2350년부터 1200년까지 나타난다.[1] 이 초기 단계에서 성경 히브리어는 우가리트어 및 아마르나 가나안어와 같은 다른 북서 셈어와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철기 시대(기원전 1200–540년)에 뚜렷한 차이가 발생했다.[2] 히브리어는 기원전 2천년 후반에 요르단강과 지중해 사이, 즉 가나안 지역에서 별도의 언어로 발전했다.[3]가장 초기에 발견된 히브리어 글자는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발견되었으며 기원전 10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4][5] 기원전 첫 번째 천년 초에 이스라엘 부족들은 가나안에 왕국을 세웠고, 이후 왕위 계승 분쟁으로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분열되었다.[6]
이스라엘 왕국은 기원전 722년에 앗시리아인에 의해 멸망했고, 유다 왕국은 기원전 586년에 바빌로니아인에게 정복당하여 상류 계층이 추방되었고 제1 성전이 파괴되었다.[6][7] 아람어는 바빌로니아로 추방된 유대인들의 주요 언어가 되었으며, 유대/유대 아람어의 첫 번째 증거는 기원전 5세기의 두루마리에서 발견되었다. 이는 엘레판틴 섬에서 발견되었다.[11] 이후 페르시아는 유다를 주로 만들고 유대인 유배자들의 귀환과 제2 성전 재건을 허락했다.[6] 아람어는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와 사마리아에서 공용어가 되었지만, 히브리어는 아람어의 영향을 받아 유다에서 계속 사용되었다.[7]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2년에 유다를 정복하여 헬레니즘 지배 시대를 시작했다.[7] 헬레니즘 시대 동안 유대아는 하스몬 왕조 하에서 독립했지만, 나중에 로마인들이 그들의 독립을 끝내고 헤로데 대왕을 그들의 총독으로 임명했다.[6] 로마에 대한 유대인의 반란은 기원후 70년에 제2 성전의 파괴로 이어졌고, 기원후 132–135년의 두 번째 바르 코흐바의 난은 유대아 유대인 인구의 대규모 이탈로 이어졌다.[6] 제2 성전 시대 이후의 성경 히브리어는 미쉬나 히브리어로 발전했으며, 기원후 200년경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문어체 언어로 발전했다.[8]
2. 2. 유대 언어의 발전
유대-로마 전쟁 이후, 유대교 공동체는 세계 각지로 흩어졌다. 일부는 이웃의 언어를 채택했지만, 많은 이들이 이 언어들의 새로운 변종을 개발했는데, 이를 통칭하여 "유대 언어"라고 한다.[11] 유대인들이 비유대인들의 언어에서 독특한 유대 언어를 개발하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였다. 유대인들은 강제적인 게토화(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와 엄격한 내혼 등으로 인해 비유대인 사회에 제한적으로 노출되었고, 그 결과 유대 언어는 정착 지역의 비유대 언어와 별도로 분화, 발전했다. 잦은 유대인 추방과 이주로 인해, 단일 유대교 공동체는 언어 접촉을 통해 여러 지역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이디시어는 중고 독일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로망스어와 슬라브어 요소도 가지고 있다.[10]유대 언어는 다양한 계통 언어에 속하지만,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유대 언어학이라는 비교 언어학의 독특한 분야를 형성한다. 공통점은 히브리어와 유대-아람어 어휘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는 점인데, 이는 글쓰기와 전례에서 함께 사용했기 때문이다. 많은 유대 언어는 비유대 언어와 구별되는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특징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기록된 유대 언어는 "히브리화"되어 있는데, 이는 히브리 문자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언어는 이미 인정된 이름(예: 이디시어, 라디노어)이 없는 한, "유대-"라는 접두사가 붙는다(예: 유대-이탈리아어, 유대-아랍어, 유대-페르시아어, 유대-아람어, 유대-마라티어, 유대-말라얄람어 등).[11]
20세기 초, 세속주의와 대규모 인구 이동으로 유대 언어에서 비유대 언어로의 전환이 시작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라시아와 아프리카 유대인 대부분, 그리고 북아메리카와 팔레스타인 유대인의 많은 이민자들은 여전히 유대 언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홀로코스트는 특히 이디시어를 포함한 유대 언어 사용의 급격한 감소를 가져왔다. 이후, 특히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이디시어를 배우는 것에 대한 인기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했으며,[12] 온라인 이디시어 학습 자료 등록이 급증했다.[13]
유대어는 보통 디아스포라 유대인 공동체가 주변의 비유대어와 접촉하면서 나타난 독특한 언어 변이체(언어학)로 정의된다.[11] 언어는 비유대계 자매 언어와의 거리와 차이가 다양하다.[11] 유대 예멘 아랍어는 일부 비유대계 예멘 아랍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이디시어는 게르만어이며 현대 독일어 방언과는 상당히 다르다. 히브리어와 아람어가 지속적으로 종교 및 문학적으로 사용되면서 유대인 공동체는 자연스럽게 이중 언어 사용 상태에 있었다.[14] 대부분의 유대인은 토착 유대어와 함께 히브리어로 읽고 쓸 수 있었는데, 이는 토라를 배우고 가르치라는 종교적 계명을 이행하는 데 필요했다. 또한 종교적 해설(''타르굼'')의 언어이자 카디시를 포함한 많은 기도문의 언어인 유대-아람어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기대되었다. "거룩한 언어"인 히브리어는 이러한 공동체에서 전례와 연구에 사용되는 가장 높은 언어 레지스터였다. 히브리어-아람어는 모든 유대어가 공유하는 유일한 애드스트라텀이다.[11]
일부 유대어는 여러 레지스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이디시어와 유대-스페인어는 구어체, 문어체, 학술-전례 등 세 개의 언어 레지스터를 가진다.
일부 유대어는 화자들 사이의 언어 이동 역사의 영향을 보여주며, 히브리어-아람어의 영향도 포함된다. 이디시어가 그 예이다. 일부 유대어는 언어 전체의 일부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으로 인해 독특하게 유대적인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늘날 바그다드 유대 아랍어라고 알려진 언어는 원래 바그다드 자체의 아랍어 방언이었고 바그다드의 모든 종교 집단에서 사용되었지만, 나중에 바그다드의 무슬림 주민들은 베두인 아랍어 방언을 채택했다. 마찬가지로, 유대인 화자들이 다른 지역의 방언을 이주하면서 가져왔기 때문에 방언이 유대교로 인식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방언이 일부 지역에서는 "유대교"로 인식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유대어 변종은 부모 언어와의 상호 이해도 때문에 언어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대 말라얄람어와 유대-스페인어가 그 예이다. 유대-스페인어(라디노)는 언어학적으로 스페인어의 방언이며, 다른 스페인어 방언 및 변종과 상호 이해가 가능하지만, 각 스페인어 방언은 차용어와 영향을 다른 원어에서 받는다.
어떤 경우, 유대-스페인어처럼 히브리어-아람어 패턴이 자주 차용되는 성경 번역 및 주석을 위한 레지스터가 개발될 수 있지만, 진정한 히브리어 및/또는 아람어 차용어는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은 유대인들이 비유대인 이웃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지만, 가끔 히브리어-아람어 또는 기타 유대적 요소를 삽입하는 것이다. 이는 유대어에서 비유대어로 전환하는 과도기적 상태이며, 종종 동화의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많은 교육받은 독일 유대인들이 서부 이디시어에서 독일어로 전환하면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했다. 1760년에서 19세기 말(하스칼라) 사이에 사용된 이 독일어는 히브리 문자로 쓰였으며, 소수의 히브리어와 이디시어 차용어를 포함했다. 모세 멘델스존이 히브리 성경을 히브리 문자로 독일어로 번역한 것이 그 예이다.
2. 3.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2년에 유다를 정복하여 헬레니즘 지배 시대를 시작했다.[7] 헬레니즘 시대 동안 유대아는 하스몬 왕조 하에서 독립했지만, 나중에 로마인들이 그들의 독립을 끝내고 헤로데 대왕을 총독으로 임명했다.[6] 로마에 대한 유대인의 반란은 기원후 70년에 제2 성전의 파괴로 이어졌고, 기원후 132–135년의 바르 코흐바의 난은 유대아 유대인 인구의 대규모 이탈로 이어졌다.[6] 제2 성전 시대 이후의 성경 히브리어는 미쉬나 히브리어로 발전했으며, 기원후 200년경에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문어체 언어로 발전했다.[8]2. 4. 중세 시대
ייִדיש|이드시yi어는 중세 시대에 라인란트에서 발달하기 시작했다. מאַמע־לשון|마메-로슌yi이라고도 불리며, "어머니의 말"이라는 뜻이다.2. 5. 현대
길라드 주커만은 2003년 저서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1]와 2014년 논문 《Jewish Language Contact》[2]에서 현대 히브리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3. 주요 특징
유대어는 다양한 계통의 언어에 속하지만,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유대 언어학이라는 독특한 분야를 형성한다.
-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영향: 모든 유대어는 히브리어와 유대-아람어 어휘를 공유하는데, 이는 글쓰기와 전례에서 이 언어들을 함께 사용했기 때문이다. (자세한 내용은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영향" 참고)
- 문자 체계: 대부분의 유대 언어는 히브리 문자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문자 체계" 참고)
- 언어 변이와 혼합: 유대인들은 강제적인 게토화와 엄격한 내혼 등의 이유로 비유대인 사회와 제한적으로 접촉했기 때문에, 유대 언어는 정착 지역의 비유대 언어와는 다르게 발전했다. 잦은 유대인 추방과 이주로 인해, 단일 유대교 공동체는 언어 접촉을 통해 여러 언어의 영향을 받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언어 변이와 혼합" 참고)

이 외에도, 대부분의 기록된 유대 언어는 히브리 문자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한다. 이러한 언어는 이미 인정된 이름(예: 이디시어, 라디노어)이 없는 한, "유대-"라는 접두사가 붙는다(예: 유대-이탈리아어, 유대-아랍어, 유대-페르시아어, 유대-아람어, 유대-마라티어, 유대-말라얄람어 등).[11]
3. 1. 히브리어와 아람어의 영향
유대-로마 전쟁 이후, 유대교 공동체는 세계 각지로 흩어졌다. 이들은 이웃 언어의 새로운 변종을 개발했는데, 이를 통칭하여 "유대 언어"라고 한다.[11] 유대 언어는 히브리어와 유대-아람어 어휘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이는 이 언어들을 글쓰기와 전례에서 함께 사용한 데서 비롯된다.[11] 대부분의 유대인은 토라를 배우고 가르치라는 종교적 계명을 이행하기 위해 그들의 토착 유대어와 함께 히브리어로 읽고 쓸 수 있었다. 또한, 유대인들은 종교적 해설(''타르굼'')의 언어이자 카디시를 포함한 많은 기도문의 언어인 유대-아람어에 대한 지식을 갖추도록 기대되었다. 히브리어, 즉 "거룩한 언어"는 이러한 공동체에서 전례와 연구에 사용되는 가장 높은 언어 레지스터였다. 히브리어-아람어는 모든 유대어가 공유하는 유일한 애드스트라텀이다.[11]3. 2. 문자 체계
수세기 동안 전 세계의 유대인들은 이주한 지역의 현지 또는 지배적인 언어를 사용했으며, 종종 독특한 방언 형태를 개발하거나 독립적인 언어로 분화되었다. 이러한 언어의 일반적인 발전 과정은 고유한 유대교 개념과 관심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히브리어 단어와 구절을 추가하는 것이었다. 종종 오늘날 히브리어에서 사용되는 블록 문자와 라시 문자를 포함하여 히브리어 문자로 쓰여졌다.반대로, 과거 라시 문자나 솔리트레오로 쓰였던 유대-스페인어는 1920년대 이후 터키에서 터키어 문자와 유사한 철자로 라틴 문자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며, 그리스 문자와 키릴 문자로도 가끔 인쇄되었다.[25]
또한, 일부 이디시어 사용자는 히브리어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것을 채택했다. 이는 주로 특수 히브리어 키보드 없이 인터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3. 3. 언어 변이와 혼합
유대교 공동체는 유대-로마 전쟁 이후 세계 각지로 흩어졌다. 일부는 이웃의 언어를 채택했지만, 많은 이들이 이 언어들의 새로운 변종을 개발했는데, 이를 통칭하여 "유대 언어"라고 한다.[11] 유대인들이 비유대인들의 언어에서 독특한 유대 언어를 개발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었다. 유대인들은 강제적인 게토화와 엄격한 내혼 등의 이유로 비유대인 사회에 제한적으로 노출되었고, 그 결과 유대 언어는 정착한 지역의 비유대 언어와 별도로 분화되고 발전했다. 잦은 유대인 추방과 이주로 인해, 단일 유대교 공동체는 언어 접촉을 통해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지역 언어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이디시어는 중고 독일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로망스어와 슬라브어의 요소도 가지고 있다.[10]유대 언어는 다양한 계통 언어에 속하지만, 히브리어와 유대-아람어 어휘 구성 요소의 존재, 음운론적, 형태론적, 통사론적 특징, 히브리 문자 사용 등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유대 언어학 분야를 형성한다. 대부분의 기록된 유대 언어는 히브리 문자의 수정된 버전을 사용한다. 이러한 언어는 이미 인정된 이름(예: 이디시어, 라디노어)이 없는 한, "유대-"라는 접두사가 붙는다(예: 유대-이탈리아어, 유대-아랍어, 유대-페르시아어, 유대-아람어, 유대-마라티어, 유대-말라얄람어 등).[11]
유대어는 일반적으로 디아스포라 유대인 공동체가 주변의 비유대어와 접촉하면서 나타난 독특한 언어 변이체(언어학)로 정의된다.[11] 언어는 비유대계 자매 언어와의 거리와 차이가 다양하다.[11] 예를 들어, 유대 예멘 아랍어는 일부 비유대계 예멘 아랍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이디시어는 게르만어이며 현대 독일어 방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일부 유대어는 여러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이디시어와 유대-스페인어는 구어체, 문어체, 학술-전례 등 세 개의 언어 레지스터를 가지고 있다.
일부 유대어는 화자들 사이의 언어 이동의 역사의 영향을 보여주며, 히브리어-아람어의 영향도 포함된다. 이디시어가 이러한 언어의 한 예이다. 어떤 경우에는 방언이 일부 지역에서는 "유대교"로 인식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유대어 변종은 부모 언어와의 상호 이해도 때문에 언어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대 말라얄람어와 유대-스페인어가 그 예이다. 유대-스페인어의 경우, 라디노로도 알려져 있으며 언어학적으로 스페인어의 방언이며, 다른 스페인어 방언 및 변종과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유대 파피아멘토어는 아메리카 대륙 고유의 유일한 살아있는 유대 민족언어이며, 크리올어이기도 한 유일한 언어일 가능성이 높다.[15]
4. 종류
유대어는 다양한 지역과 공동체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크게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과 유럽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 유대-아랍어 (미즈라힘과 세파르딤 사용)
- 유대-아람어 (쿠르드계 유대인 사용)
- * 유대교도 현대 아람어
- ** 데니어
- ** 디단어
- ** 노샨어 (아제르바이잔에서 사용)
- 유대-베르베르어 (베르베르계 유대인 사용)
- 부하라어 (부하라 유대인 사용)
- 유대-페르시아어
- 유대-타지크어
- 유대-타트어 (주흐리) (산악 유대인 사용)
- 유대-말라얄람어
- 히브리어[27]
- 사마리아 아람어
- 아람어
- 파라샤어 (베타 이스라엘 사용)
'''유럽 지역'''
- 유대-이탈리아어(이탈키어)
- 유대 영어
- 유대-카탈루냐어(카탈라니토)
- 카라임어 (카라임인 사용)
- 유대-그리스어(예반어)
- 라디노어(유대-스페인어) (세파르딤 사용)
- 유대-타타르어(크림차크어) (크림차크인 사용)
- 유대-체코어(크나안어)
- 유대-독일어(이디시어) (아슈케나짐 사용)[26]
- 유대-프랑스어(차르파티트)
- 유대-프로방스어(슈아디트)
- 유대-라틴어(라아즈)
'''기타 지역'''은 하위 섹션에 이미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4. 1. 유럽 지역
- 유대-이탈리아어(이탈키어)
- 유대 영어
- 유대-카탈루냐어(카탈라니토)
- 카라임어 (화자는 카라임인)
- 유대-그리스어(예반어)
- 라디노어(유대-스페인어) (라디노, 주데즈모) (화자는 세파르딤)
- 유대-타타르어(크림차크어) (화자는 크림차크인)
- 유대-체코어(크나안어)
- 유대-독일어(이디시어) (화자는 아슈케나짐)[26]
- 유대-프랑스어(차르파티트)
- 유대-프로방스어(슈아디트)
- 유대-라틴어(라아즈)
4. 2.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 유대-아랍어 (Judeo-Arabic): 미즈라힘과 세파르딤이 사용한다.
- 유대-아람어 (Judeo-Aramaic): 쿠르드계 유대인이 사용한다.
- * 유대교도 현대 아람어
- ** 데니어 Lishana Deni
- ** 디단어 Lishán Didán
- ** 노샨어 Lishanid Noshan: 아제르바이잔에서 사용한다.
- 유대-베르베르어 (Judeo-Berber): 베르베르계 유대인이 사용한다.
- 유대-페르시아어 (Dzhidi)
- 유대-타지크어
- 유대-타트어 (주흐리) Judæo-Tat: 산악 유대인이 사용한다.
- 유대-말라얄람어 Judeo-Malayalam
- 히브리어[27]
- 사마리아 아람어
- 아람어
- 파라샤어: 베타 이스라엘 (Falasha영어 또는 :en:Kingdom of Semien)이 사용한다.
4. 3. 기타 지역
- 유대-아랍어 (미즈라힘과 세파르딤 화자)
- 유대-아람어 (쿠르드계 유대인 화자)
- * 유대교도 현대 아람어
- ** 데니어
- ** 디단어
- ** 노샨어 (아제르바이잔에서 사용)
- 유대-이탈리아어 (이탈키어)
- 유대 영어
- 유대-카탈루냐어 (카탈라니토)
- 카라임어 (카라임인 화자)
- 유대-그리스어 (예반어)
- 유대-스페인어 (라디노, 주데즈모) (세파르딤 화자)
- 유대-타지크어
- 유대-타타르어 (크림차크어) (크림차크인 화자)
- 유대-타트어 (주흐리) (산악 유대인 화자)
- 유대-체코어 (크나안어)
- 유대-독일어 (이디시어) (아슈케나짐 화자)[26]
- 부하라어 (부하라 유대인 화자)
- 유대-프랑스어 (차르파티트)
- 유대-프로방스어 (슈아디트)
- 유대-페르시아어
- 유대-베르베르어 (베르베르계 유대인 화자)
- 유대-말라얄람어
- 유대-라틴어 (라아즈)
5. 현대의 유대 언어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중앙 유럽과 동유럽의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사용했던 이디시어, 이베리아 반도의 세파르딤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유대 스페인어 등 여러 유대어들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홀로코스트, 아랍권 유대인의 이주 등의 영향으로 많은 유대어들이 쇠퇴하였다.
오늘날 유대인들 사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는 영어, 현대 히브리어, 러시아어 순이다.[18] 이스라엘, 미국, 러시아 비로비잔 등에서는 여전히 유대어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5. 1. 현황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중앙 유럽과 동유럽에 살았던 아슈케나지 유대인들이 사용했던 이디시어, 가톨릭 군주의 추방 이전 이베리아 반도에 살았던 세파르딤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유대 스페인어, 유대 아랍어 그룹은 디아스포라에서 발전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대어 중 하나이다.[16][17] 유대 카탈로니아어는 카탈루냐, 발렌시아, 발레아레스 제도의 유대인 공동체가 사용하던 유대어였다. 유대 프로방스어와 유대 가스코뉴어는 역사적으로 프랑스 유대인들이 사용하던 오크어의 두 가지 유대어 변종이었다.[16][17]유대 그루지야어, 유대 아랍어 방언, 유대 베르베르어, 크림차크어, 유대 이탈리아어, 유대 말라얄람어를 포함한 많은 고대 유대어와 독특한 유대어는 유럽 유대인에게 미친 홀로코스트의 영향, 아랍권 유대인의 이주, 초기 이스라엘의 동화 정책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850년대에 가장 많은 유대인이 사용하던 언어는 이디시어였지만, 오늘날 유대인들 사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언어는 영어, 현대 히브리어, 러시아어 순이다.[18] 이디시어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유대어는 영어 또는 프랑스어와 같이 공동 사용 지역의 비유대어 어휘에 기여했다.[19]
이스라엘의 옛 공영 방송국인 콜 이스라엘은 오랫동안 많은 유대어와 방언으로 짧은 일일 뉴스 및 특집 프로그램을 유지해 왔다. 국내 시청자를 위해 아랍어 네트워크에서 유대 이라크 아랍어로 방송하는 한편, 이디시어, 유대 스페인어, 유대 모로코 아랍어, 부하라 유대 타지크 방언 및 유대 타트어로 관련 지역의 국내 및 해외 단파 시청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또한 1970년대 후반부터 20년 이상 매일 30분 분량의 단파 방송을 예멘으로 유대 예멘 아랍어로 송출했다.
라디오 익스테리어 데 에스파냐는 유대 스페인어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를 세파르디라고 부른다.[20]
미국[21][22]뿐만 아니라 러시아 비로비잔에서도 이디시어로 방송되는 지역 라디오 프로그램이 있다.[23][24]
인도의 베네 이스라엘이 사용하는 유대 마라티어는 마라티어의 한 형태로,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된다. 히브리어와 아람어에서 온 많은 차용어를 특징으로 하지만, 마라티어와 구별되는 별개의 언어라고 할 수 없을 수 있다.
5. 2. 보존 노력
길라드 주커만은 2003년에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를 https://www.palgrave.com/gp/book/9781403917232 Palgrave Macmillan에서 출판했다(ISBN 9781403917232 / ISBN 978140338695).[1] 2014년에는 ''Jewish Language Contact''(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nguage 226)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2]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s://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10]
웹사이트
YIDDISH: History and Development
http://www.jewishvir[...]
[11]
서적
Handbook of Jewish Languages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Yiddish on the Rise
https://lifeandlette[...]
University of Texas
2023-11-04
[13]
뉴스
The pandemic and apps are fueling a surge of interest in Yiddish
https://www.washingt[...]
2023-11-04
[14]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Hebrew Language: Hebrew in the Diaspora
http://www.adath-sha[...]
[15]
간행물
A yidishe kreol-shprakh in di Karibishe indzlen [A Jewish creole language in the Caribbean]
https://forward.com/[...]
2023-06-26
[16]
간행물
Diglossia among French Sephardim as a motivation for the genesis of 'Judeo-Gascon'
https://shs.hal.scie[...]
[17]
간행물
Modern Judeo-Provençal as Known from Its Sole Textual Testimony: Harcanot et Barcanot (Critical Edition and Linguistic Analysis)
https://hal.science/[...]
[18]
웹사이트
Jewish Languages
http://www.bh.org.il[...]
Beth Hatefutsoth, The Nahum Goldmann Museum of the Jewish Diaspora
2008-07-03
[19]
문서
[20]
웹사이트
REE programs in Ladino
http://www.rtve.es/p[...]
[21]
웹사이트
American Yiddish Radio
https://blogs.loc.go[...]
2024-09-15
[22]
웹사이트
Station Identification: A Cultural History of Yiddish Radio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jewishbo[...]
2024-09-15
[23]
웹사이트
Yiddish returns to Birobidzhan
https://www.jpost.co[...]
2024-09-15
[24]
웹사이트
Revival of a Soviet Zion: Birobidzhan celebrates its Jewish heritage
https://www.theguard[...]
2024-09-15
[25]
간행물
Los problemas del estudio de la lengua sefardí
https://web.archive.[...]
Ljubljana
[26]
간행물
Jewish Language Contact
https://www.degruyte[...]
[27]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s://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