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시 (인도 아대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시는 인도 아대륙 출신 또는 그 디아스포라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산스크리트어 '데샤'에서 유래되었으며, '국가' 또는 '지역'을 의미한다. 남아시아인들이 자신을 지칭하거나, 남아시아계 미국인 커뮤니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데시는 시골 출신, 전통적인 남아시아 문화에 몰두한 사람을 나타내기도 하며, 퓨전 문화, 음식, 음악 등 다양한 문화적 현상을 포괄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시아의 문화 - 히즈라 (젠더)
히즈라는 남아시아 지역에서 제3의 성으로 여겨지며, 역사적으로 사회적 지위를 가졌으나 식민 시대 이후 차별과 소외를 겪고 있으며, 종교적 혼합주의를 실천하고 사회적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존재이다. - 디아스포라 - 펜실베이니아 더치
펜실베이니아 더치는 17~18세기 독일 등지에서 미국으로 이주하여 펜실베이니아를 중심으로 정착한 독일어 사용 이민자들을 지칭하며, 독자적인 언어, 문화, 종교를 형성했고, 아미쉬와 메노나이트를 포함한 플레인 더치는 전통적인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디아스포라 - 유대어
유대어는 유대인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주변 비유대어와 접촉하며 발생한 다양한 언어 변이체로, 히브리어와 유대 아람어 어휘를 공통으로 사용하며 이디시어, 유대 스페인어, 유대 아랍어 등이 존재한다. - 인도의 문화 - 인도 고전 음악
인도 고전 음악은 인도 아대륙의 전통 음악으로 베다에서 기원하여 힌두스타니 음악과 카르나틱 음악으로 나뉘어 발전했으며, 라가와 탈라를 기반으로 다양한 악기와 창법을 통해 연주되고 세계 각지에서 보존 및 발전되고 있다. - 인도의 문화 - 구루
구루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하여 삶의 지혜와 영적 깨달음을 이끄는 존재를 뜻하며, 힌두교에서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른 종교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서구에서는 영적 지도자로서 관심이 높아졌으나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데시 (인도 아대륙) | |
---|---|
데시 관련 정보 | |
정의 | 남아시아와 그 문화, 제품, 디아스포라 |
어원 | 힌두스타니어 |
관련 국가 |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 |
로마자 표기 | desi (데이시, 데씨) |
다른 언어 표기 | 힌디어: देसी (데시) 우르두어: دیسی (데시) 벵골어: দেশী (데시) 싱할라어: දේශී (데시) 타밀어: தேசி (데시) 텔루구어: దేశి (데시) 구자라트어: દેશી (데시) 말라얄람어: ദേശി (데시) 칸나다어: ದೇಸಿ (데시) 오디아어: ଦେଶୀ (데시) 몰디브어: ދޭސީ (데시) 종카어: ཁ་བྱང་ཀི་དེ། (데시) 버마어: ဒေစီ (데시) |
2. 어원
'데시'는 해당 민족이 스스로를 부르는 내부 명칭 (민족 명칭)의 한 종류이다. '데시'(देसीhi/دیسیur ''desī'')는 '국가의' 또는 '지역의'를 의미하는 힌두스탄어 단어로, 궁극적으로는 산스크리트어 ''deśīy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지역, 지방, 국가'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deśa''(देशsa)에서 파생된 말이다.[10]
이 산스크리트어 단어가 문헌상 처음 사용된 것은 기원전 200년경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나트야 샤스트라』이다. 이 문헌에서는 ''deśa''를 인도 전역에서 통용되는 고전적(classical) 형식인 '마르기'(margi)와 대비하여, 각 지역 고유의 특색을 지닌 민속 공연 예술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했다. 이러한 어원에 따라 산스크리트어에서 ''svadeśa''(स्वदेशsa)는 '자신의 나라' 또는 '고향'을 의미하며, ''paradeśa''(परदेशsa)는 '다른 나라' 또는 '외국'을 가리킨다.
현대에 와서 '데시'는 남아시아 지역에 뿌리를 둔 사람들을 폭넓게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언어 | 표기 |
---|---|
아삼어 | দেশীas |
벵골어 | দেশিbn |
구자라트어 | દેશીgu |
힌디어 | देसीhi |
칸나다어 | ದೇಸಿkn |
말라얄람어 | ദേശിml |
마라티어 | देशीmr |
싱할라어 | ඩේසිsi |
오리야어 | ଦେଶୀor |
펀자브어 | ਦੇਸੀpa |
타밀어 | தேசிta |
텔루구어 | దేశీయుడుte |
우르두어 | دیسیur |
말레이어 | desams |
"데시(Desi)"라는 단어는 남아시아인과 남아시아 디아스포라를 포함한 사람들이 자신들을 묘사할 때 널리 사용된다. 특히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등 남아시아 출신 사람들은 이 용어를 사용하여 남아시아인으로서의 자부심을 "주장하거나 되찾는 수단"으로 삼으며, 이는 세계 각지에서 소수 민족에 대한 인종차별, 차별, 낙인에 맞서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된다.[11]
"데시(Desi)"라는 단어는 '국가'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단어 "데시(Desh)"에서 유래했다. 원래는 "그 나라 출신"을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지역의 사람, 문화, 제품(예: 데시 음식, 데시 달력, 데시 의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확장되었다.[19]
3. 용법
헬렌 김은 '데시'라는 용어의 사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11]
"데시니스(Desiness)는 국가, 계급, 종교를 초월하는 더욱 융합된 범남아시아계 미국인 공동체를 상상한다. 대신, '데시(desi)' 남아시아계 미국인 공동체는 비백인 '타자'로 위치 지어지는 공통된 경험을 통해 결속되며, 종종 카스트, 계급, 종교, 성별의 차이를 넘나든다. 영국에서는 '데시(desi)'라는 용어가 음악, 문학,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은 영국 남아시아 문화 생산 형태를 묘사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BBC와 BBC 아시안 네트워크에서 방영되는 ''데시 DNA(Desi DNA)''와 같은 쇼는 패션과 스타일을 포함하여 영화, 음악, 시각 예술과 같은 모든 최신 영국 남아시아 대중 문화를 다룬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방그라와 남아시아 힙합과 같은 남아시아 음악을 선보이는 클럽 나이트는 종종 '데시(desi)' 나이트로 불린다. 젊은 남아시아 청취자 수와 문화적 중요성 측면에서 BBC 아시안 네트워크와 경쟁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DesiHits.com은 모든 최신 남아시아 히트곡을 재생하며, 이를 통해 '데시 비트', '볼리우드', '힙합'과 같은 범주에서 아티스트 및 장르별로 온라인 검색이 가능하다."
인도 아대륙에 조상의 뿌리를 둔 십 대들 사이에서 "데시(Desi)"라는 용어는 "미국 내 남아시아인들의 새로운 포괄적 정체성을 설명하기 위해 받아들여지며, 이들은 '독특하고 널리 유통되는 문화적, 언어적 형태의 공공 소비자와 생산자'로 참여한다."[12] 이를 위해 MTV 데시(MTV Desi)와 같은 채널은 "데시(Desi) 청소년 문화, 작가, 제작자 및 VJ의 초국가적 특성"을 인식하고 "남아시아와 전 세계 남아시아 디아스포라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공유해 왔다.[13]
그러나 "데시(Desi)"는 일부 남아시아 출신 이주민들 사이에서 불쾌하게 여겨지기도 한다.[14] 이들은 이 용어가 남아시아 공동체 내 문화적 정체성의 다양성을 지우고,[15] 주로 지배적인 북인도 공동체를 식별하면서 다른 남아시아 집단을 배제한다고 주장한다.[14][16] 일부는 역사적인 인도 제국주의와 문화적 헤게모니를 언급하며 이 용어에 저항하기도 한다.[14] 그들은 "데시(Desi)"와 같은 용어가 획일적인 정체성을 강요하고 남아시아 공동체의 다원적 특성을 인정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16] "남아시아" 또는 "브라운"과 같은 대안이 제안되었지만, 이들 역시 한계가 있으며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배타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16] 일부 개인은 "남아시아"라는 용어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다고 느끼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이 용어가 자신의 특정 배경을 완전히 포착하지 못한다고 느낀다.[14] 디아스포라의 복잡성과 다양성은 여러 정체성을 인식하고 특정 공동체를 획일화하거나 지우려는 경향에 저항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16]
디아스포라가 아닌 남아시아인들 사이에서 "데시(Desi)"라는 용어는 때때로 그 사람이 시골 출신이고, 외국이나 현대 문화에 노출되지 않았으며, 토착 남아시아 문화에 더 깊이 몰두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7][18]
4. 역사
이 단어는 힌두스탄어의 '빌라야티'(vilāyati)와 대조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빌라야티'는 '외국'을 의미하며,[20] 특히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는 '유럽인' 또는 '영국인'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21] 벵골어에서 사용된 이 단어는 페르시아어 'vilāyatī'(ولایاتیfa)에서 차용한 것으로, 이는 '이란', 나중에는 '유럽' 또는 '영국'을 의미하는 'vilāyat'(ولایتfa)에서 파생되었다.[22] 이 단어의 궁극적인 어원은 '주'나 '지방'을 뜻하는 아랍어 'wilāyah'(ولايةar)이다.
영국령 인도 제국 시기에는 많은 인도 아대륙 출신 사람들이 세계 각지의 영국 식민지로 이주했다. 이들 사이에서는 외국을 '파르데시'(''pardeś''), 자신들의 출신 지역을 '스와데시'(''swadeś'')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미국에서는 1965년 이민 및 국적법 (Immigration and Nationality Act of 1965) 통과 이후 인도 아대륙으로부터의 이민이 급증했다.[31] 인도 출신 유학생들이 늘어나면서, 미국이나 영국 등지에서는 인도를 가리키는 구어체 표현으로 ''deś''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점차 인도와 관련된 모든 것, 심지어 인도 밖에 있는 인도 유래의 것들까지 통틀어 '''데시'''라고 부르게 되었다.
디아스포라 환경 속에서는, 본래 남아시아 내에서 국가별로 명확히 구분되던 여러 공동체가 서로 융합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인도 외 다른 남아시아 국가 출신 이민자 공동체들도 스스로를 '데시'라고 칭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민 2세대, 3세대 중 일부는 자신을 특정 국민, 서브컬처, 또는 카스트에 속한 존재로 규정하기보다, 더 넓은 범주인 남아시아인 (South Asians), 즉 '''데시스'''(desis)로 정체화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4. 1. 네팔
네팔어에서는 '''데시'''(des(h)i)나 이와 관련된 단어인 '''마데시'''(mades(h)i, मधेसी, मधेशीhin)가 사용된다. 이 용어들은 주로 테라이(마데시) 지역, 즉 네팔 남부 평야 지대에 거주하며 인접한 인도 주민들과 언어 및 문화적 공통점을 공유하는 사람들을 지칭한다. 때로는 인도 국적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데시' 또는 '마데시'라는 호칭은 전통적으로 샤 왕조 시기부터 네팔 왕국의 정치를 주도해 온 구릉 및 산악 지대의 파하리를 비롯한 다른 민족 집단과 이들을 구분하는 의미를 내포한다. 네팔이 2008년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국으로 전환한 이후, 마데시 집단은 자치권 확립을 중요한 목표로 삼았으나, 이는 네팔 내에서 새로운 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5. 문화
"데시(Desi)"는 남아시아인과 남아시아 디아스포라가 자신들을 지칭할 때 널리 사용하는 용어이다. 특히 인도인, 파키스탄인, 방글라데시인 등 남아시아 출신 사람들은 이 용어를 통해 남아시아인으로서의 자부심을 표현하고, 전 세계적으로 겪는 인종차별, 차별, 사회적 낙인에 맞서려는 의지를 나타낸다.[11]
헬렌 김은 "데시"라는 용어가 국가, 계급, 종교를 넘어선 범남아시아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데시' 공동체가 비백인 '타자'로 인식되는 공통된 경험을 통해 결속되며, 이는 종종 내부적인 차이를 넘어서는 힘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11] 또한 영국에서는 '데시'가 음악, 문학, TV 프로그램 등 영국 내 남아시아 문화 생산물을 지칭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고 언급했다. 예를 들어, BBC와 BBC 아시안 네트워크에서 방영된 ''데시 DNA(Desi DNA)'' 같은 프로그램이나 방그라, 남아시아 힙합 음악을 선보이는 '데시 나이트'로 불리는 클럽 행사, 인터넷 라디오 방송국 DesiHits.com 등이 이러한 용례에 해당한다.[11]
인도 아대륙에 뿌리를 둔 젊은 세대 사이에서 "데시"는 미국 내 남아시아인들의 새로운 포괄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용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들은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소비하고 생산하는 주체로 참여한다.[12] 이러한 흐름 속에서 MTV 데시와 같은 채널은 데시 청소년 문화의 초국가적 특성을 반영하며 남아시아 및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다양한 이야기를 다루었다.[13]
하지만 "데시"라는 용어는 일부 남아시아 출신 이주민들에게 비판을 받기도 한다.[14] 이들은 이 용어가 남아시아 공동체 내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단순화하고[15], 주로 북인도 중심의 문화를 대표하면서 다른 집단을 소외시킨다고 지적한다.[14][16] 일부는 역사적인 인도 제국주의와 문화적 헤게모니를 이유로 이 용어 사용에 반대하기도 한다.[14] 이들은 "데시"와 같은 포괄적 용어가 획일적인 정체성을 강요하고 남아시아 공동체의 다원성을 인정하지 못한다고 본다.[16] "남아시아"나 "브라운" 같은 대안적 용어도 제시되었지만, 이 역시 한계가 있으며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배타적으로 여겨질 수 있다.[16] 디아스포라 공동체의 복잡성과 다양성은 여러 정체성을 존중하고 특정 공동체를 일반화하려는 시도에 저항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16]
한편, 디아스포라가 아닌 남아시아 현지에서는 "데시"라는 용어가 때때로 시골 출신이거나 서구/현대 문화에 익숙하지 않고 토착 문화에 더 깊이 연관된 사람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7][18]
미국, 영국, 캐나다 등지의 데시 디아스포라 커뮤니티에서는 남아시아의 다양한 문화 요소(음식, 패션, 음악 등)가 서로 융합되거나 서구 문화와 결합하는 "퓨전(융합)" 문화가 나타나고 있다.[32] 예를 들어, 어반 데시(urban desi)는 전통적인 인도 음악과 서양의 어반 뮤직(어반 컨템퍼러리)이 결합된 음악 장르이다.[33] 이러한 문화적 흐름 속에서 MTV는 2005년 데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채널 MTV 데시를 개설하기도 했다.[34] 영국에서는 영국 식민 통치 시기부터 시작된 퓨전 문화가 계속 발전하며 영국 사회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BBC 아시안 네트워크와 같이 영국-남아시아인을 위한 전용 라디오 방송국도 있다. 캐나다에서는 온타리오주 브램턴 (토론토 교외)이나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서리 (밴쿠버 교외) 같은 지역에 데시 커뮤니티가 집중적으로 거주하는 민족 앙클라브가 형성되기도 했다.
5. 1. 공연 예술
나트야 샤스트라에서는 지역적인 민속 무용과 음악 요소를 '데시'라고 부른다. 이는 일반 대중을 위한 순수한 오락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인도 전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마르기' 요소는 청중의 정신을 고양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한다.[1][2] 중세 시대 인도 고전 무용과 음악이 발달하면서, 나트야 샤스트라에 명시된 고전적 가라나(gharana|가라나hi) 외에 '데시 가라나'가 도입되었다.[1][2] 이 '데시 가라나'는 더욱 발전하여 오늘날의 다양한 '아다부'(adhavu|아다부ta, 춤의 기본 스텝)를 형성하게 되었다.[1] 또한, 인도 고전 음악의 라가 중 하나는 '데시'라는 이름으로 불린다.[1][2]5. 2. 음식
남아시아 지역에서 음식과 관련하여 ''데시''는 "토착" 또는 "전통"을 의미한다. 이는 주로 산스크리트어에서 파생된 인도아리아어 계열 언어에서 사용되는 표현이다.예를 들어, "데시 치킨"은 토종 닭 품종을 의미하며[35], "데시 기"는 식물성 기름 등으로 만든 가공 식품이 아닌 전통적인 유제품으로 만든 인도식 버터를 가리킨다. 재래종 채소나 기타 농산물 품종도 "데시"로 분류될 수 있다.
"데시 식단"은 전 세계 인도인들이 따르는 식단과 음식 선택을 의미한다. ''데시 다루'' 또는 "데시 샤라브"는 페니, 토디, 아락과 같은 "시골 술"이나 "지방 술"을 의미한다. 이는 인도에서 생산되더라도 위스키, 럼, 보드카와 같이 외국에서 유래한 술과는 구별된다.
미국에서는 "데시 푸드" 또는 "데시 요리"라고 하면 인도계 커뮤니티에서 널리 제공되는 요리, 특히 서양화되어 널리 알려진 치킨 티카 마살라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35]
5. 3. 데시 펍
영국에서 "데시 펍"은 인도인이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펍, 또는 펀자브 음식을 제공하는 펍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는 1960년대와 1970년대 일부 영국 펍이 인도인 및 다른 이민자들의 출입을 막기 위해 색깔 차별을 시행했던 역사적 배경 속에서 발전했다. 데시 펍은 특히 블랙 컨트리와 웨스트 미들랜즈 주변 지역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단순히 술을 마시는 장소를 넘어,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이는 지역 사회의 중심이자 만남의 장소 역할을 하며, 인도 이민자가 영국 문화에 성공적으로 통합된 사례 중 하나로 여겨진다.[27][28]참조
[1]
OED
Desi
2024-07-31
[2]
book
Muslim Educators in Americ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IAP
2018-08-01
[3]
book
Boy Cultu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6-17
[4]
웹사이트
Here She Comes, 'Desi' Miss America
https://www.wsj.com/[...]
2020-10-12
[5]
book
Cultural Diversity i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Routledge
2022-02-27
[6]
웹사이트
Who is APIDA?
https://www.csusm.ed[...]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Marcos
2024-01-25
[7]
book
On Access in Applied Theatre and Drama Educ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9
[8]
book
Virtual Homelands: Indian Immigrants and Online Cultures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3-10-15
[9]
웹사이트
desi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0]
book
Hip Hop Desis: South Asian Americans, Blackness, and a Global Race Consciousness
Duke University Press
2010-08-17
[11]
book
Making Diaspora in a Global City: South Asian Youth Cultures in London
Routledge
2014-08-21
[12]
book
Caricaturing Culture in India: Cartoons and History in the Modern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02
[13]
book
Global Communication: New Agendas in Communication
Routledge
2013-09-11
[14]
웹사이트
Is the term 'Desi' offensive? Some South Asian Americans think so
https://scroll.in/gl[...]
2020-12-08
[15]
웹사이트
Is It Time to Kill Off the Word 'Desi'? – The Aerogram
https://theaerogram.[...]
2023-06-23
[16]
웹사이트
Brown, Desi, South Asian: Diaspora reflects on the terms that represent, erase them
https://www.nbcnews.[...]
2021-10-06
[17]
book
Counternarratives from Asian American Art Educators: Identities, Pedagogies, and Practice beyond the Western Paradigm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2-12-26
[18]
웹사이트
Is the term 'Desi' offensive? Some South Asian Americans think so
https://scroll.in/gl[...]
2020-12-08
[19]
학술지
Calendars Tell History: Social Rhythm and Social Change in Rural Pakistan
http://dro.dur.ac.uk[...]
2014-10-20
[20]
백과사전
blighty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Entry for Blighty
http://www.worldwide[...]
World Wide Words
[22]
문서
ولاية
F. Steingass
1892
[23]
웹사이트
Drawn from the same wellspring
https://tribune.com.[...]
The Express Tribune
2020-10-12
[24]
학술지
Anglo-Indians and the Punjab Partition: Identity, Politics, and the Creation of Pakistan
2023
[25]
학위논문
When the East Is in the House: The Emergence of Dance Club Culture among Indian-American Youth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exas
2002
[26]
뉴스
Urban Desi: A Genre on the Rise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8-10-15
[27]
웹사이트
The Triumphant Story of Britain's Desi Pubs
https://www.atlasobs[...]
2022-04-21
[28]
뉴스
Raising a glass to Britain's Indian pubs
https://www.economis[...]
2016-08-22
[29]
book
Boy cultu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6-17
[30]
url
https://books.google[...]
[31]
인용
Humor: A distinctive way of speaking that can create cultural identity
Journal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Research, Vol. 32, No. 3
2003-09
[32]
웹사이트
When the East is in the House: The Emergence of Dance Club Culture among Indian-American Youth
http://uts.cc.utexas[...]
[33]
웹사이트
Urban Desi: A Genre On The Rise
http://www.npr.org/t[...]
[34]
뉴스
I Want My Hyphenated-Identity MTV
http://www.nytimes.c[...]
2005-06-19
[35]
뉴스
The story of desi cuisine: Timeless desi dishes
http://www.thestar.c[...]
2008-02-07
[36]
서적
Muslim Educators in American Communities
https://books.google[...]
IAP
2018-08-01
[37]
서적
Boy Cultu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6-17
[38]
서적
On Access in Applied Theatre and Drama Educ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06-09
[39]
서적
Virtual Homelands: Indian Immigrants and Online Cultures in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3-10-15
[40]
웹인용
Here She Comes, 'Desi' Miss America
https://www.wsj.com/[...]
2013-09-27
[41]
웹인용
desi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