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훈 (야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동훈은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장충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를 졸업하고 1999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04년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구속되기도 했으며, 2008년 복귀 후 KIA 타이거즈에서 마무리 투수로 활약하며 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2012년 FA 자격을 얻어 KIA 타이거즈와 계약했으나, 무릎 부상으로 은퇴했다. 은퇴 후 지도자 연수를 거쳐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등에서 코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 - 권광민
권광민은 2008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시카고 컵스, 질롱 코리아, 스코어본 하이에나들을 거쳐 2022년 한화 이글스에 재입단하여 1군 무대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서울청구초등학교 동문 - 김동규 (야구 선수)
김동규는 2023년 LG 트윈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 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했으며, 서울청구초등학교, 영남중학교, 성남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23년과 2024년 두 시즌 동안 6경기에 출전한 대한민국 야구 선수이다. - 홍은중학교 동문 - 채상병
채상병은 2002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야구 선수로 활동한 대한민국 야구 선수로, 2002 인터컨티넨탈컵 국가대표, 두산 베어스 주전 포수, 삼성 라이온즈 선수로 활동했으며 연세대학교 출신 야구 국가대표팀 출신으로 2015년부터 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로 활동했다. - 홍은중학교 동문 - 권광민
권광민은 2008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시카고 컵스, 질롱 코리아, 스코어본 하이에나들을 거쳐 2022년 한화 이글스에 재입단하여 1군 무대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이다. - 중구 (서울특별시) 출신 - 손혜원
손혜원은 대한민국의 디자이너이자 정치인으로, 크로스포인트를 공동 설립하여 '처음처럼', '참이슬' 등 유명 브랜드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나전칠기 수집가로서 전통 공예 현대화에 힘썼고,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 후 열린민주당을 거쳐 녹색당 창당에 참여했다. - 중구 (서울특별시) 출신 - 김경응 (배우)
김경응은 1985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영화, 드라마, 성우,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며, 199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 후 KBS 드라마, 특히 역사극에서 활약하며 《용의 눈물》, 《왕과 비》, 《태조 왕건》, 《무인시대》, 《대조영》 등의 작품에서 주요 역할을 맡았다.
유동훈 (야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선수명 | 유동훈 |
원어명 | Yoo Dong-Hoon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생년월일 | 1977년 2월 12일 |
신장 | 183 |
체중 | 83 |
수비 위치 | 투수 |
투구 | 우 (언더) |
타석 | 우 |
프로 입단 | 1999년 |
드래프트 순위 | 1999년 2차 1라운드 (기아 타이거즈) |
선수 경력 | |
선수 | 해태 타이거즈 (1999년 ~ 2000년) KIA 타이거즈 (2001년 ~ 2014년) |
코치 경력 | |
코치 | KIA 타이거즈 체력코치 (2015년 ~ 2016년) KIA 타이거즈 2군 불펜코치 (2016년 ~ 2018년) LG 트윈스 육성군 재활코치 (2019년 ~ 2020년) LG 트윈스 3군 투수코치 (2021년)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야구부 코치 (2022년 ~ 현재) |
기타 정보 | |
첫 출장 | KBO / 1999년 |
마지막 경기 | KBO / 2013년 9월 26일 광주 대 롯데전 구원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1997년 타이베이 |
2. 선수 시절
장충고등학교와 성균관대학교를 거쳐 1999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했다. 1년차에는 7승 9패로 무난한 성적을 거뒀지만, 26개의 홈런을 허용했다. 이듬해부터는 단조로운 투구 패턴을 간파당해 어려움을 겪었다.
2004년에는 68경기에 등판해 병역 비리 혐의로 체포되기 전까지 120이닝을 던져 평균자책점 2점대를 기록하며 팀의 4강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이후 병역 비리 혐의로 8개월의 실형을 선고받고 사회 봉사 활동을 했다.
2008년 기아 타이거즈에 복귀하여 2년 연속 50경기 이상 등판을 기록했다. 2009년에는 마무리 투수로 발탁되어 평균자책점 0점대로 22세이브를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연봉이 대폭 인상되었다.
그러나 2010년에는 세이브 실패가 잦았고, 팀의 부진으로 14세이브에 그쳤다. 2012년에는 1승 6세이브로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2012년 오프시즌에 FA를 행사하여 기아와 2년 계약을 체결했고, 2014년 무릎 부상으로 은퇴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장충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94년 8월에 김건덕, 손지환 등과 함께 청소년 국가대표에 선발돼 한·미·일 국제 고교야구 대회에 출전해 일본과 공동 우승하는 데 기여했다.1995년 성균관대학교 체육학과에 입학했고, 1997년 5월에 생애 첫 국가대표팀[1]에 선발돼 제 19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 한국의 우승에 공헌했다. 그 후 팀 후배 김병현과 함께 졸업 시즌인 1998년까지 성균관대학교 야구 팀의 막강 투수진을 형성했다.
2. 2. 해태 타이거즈 & KIA 타이거즈 시절
1999년에 입단하여 데뷔 초반에는 선발 투수로 나쁘지 않은 활약을 했다. 하지만, 미들맨으로 보직을 변경한 뒤부터는 가운데로 몰리는 제구력과 느린 직구로 인해 좋은 성적을 올리지 못했다. 그러나 2004년에는 68경기에 구원 투수로 등판해 2점대 평균자책점, 7승 2패, 5세이브, 7홀드를 기록하며 팀의 4강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중간 계투로는 드물게 120.2이닝을 던져 주목받았다.[2]2004년 9월 9일 병역 비리로 경찰에 소환되어 구속되었고, 서울구치소에 수감되었다. 8개월의 실형을 받고 복역 후, 병무청에서 재검을 받고 광주의 사회복지시설에서 공익근무요원으로 대체 복무했다.[2]
2008년 소집 해제 후 4년 간의 공백을 깨고 그라운드로 복귀하여 자신의 직구 구속과 맞먹는 130km/h 초반대의 싱커를 주무기로 리그 최고의 셋업맨 중 한 명으로 부활했다. 2008년 5월 26일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팀 44명 예비 엔트리에 이름을 올렸다.[2]
2009년에는 한기주가 난조를 보이자 그를 대신해 마무리로 등판했으며, 모든 세이브를 기록했다. 특히 후반기에는 평균자책점 0으로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였다. 2009년 7월 30일부터 2009년 9월 19일까지 14경기 연속 세이브 포인트를 올렸다. 이는 KBO 역대 3위에 해당하는 기록이었다. 또한 통산 4번째 0점대 평균자책점, 20세이브 이상을 기록했다. 통산 0점대 평균자책점, 20세이브 이상 기록은 선동열, 정대현 이후 3번째였다.[2]
2009년 10월 24일 한국시리즈 1~7차전 등판 상황에 완벽투를 보여주며 입단 후 첫 우승을 경험했고, 7차전에서는 나지완의 끝내기 홈런에 힘입어 승리 투수가 되었다. 그는 한국시리즈에서 3.2이닝 1피안타, 1피홈런, 1실점, 1자책, 1사사구, 2K, 1승, 2세이브, 평균자책점 2.45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블론 세이브가 많아져 2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2011년에는 3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했지만 0.283의 높은 피안타율과 승계 주자 실점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심동섭, 손영민과 함께 팀의 계투를 책임졌다.[2]
3. 야구선수 은퇴 후
은퇴 후 미국으로 가 볼티모어 오리올스, 미네소타 트윈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고 돌아와 2015년부터 KIA 타이거즈에서 3군 코치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1] 2016년 트레이닝코치 겸 불펜코치로 보직이 변경됐고, 2017년부터 2군 투수코치로 보직이 변경됐다.[1] 2019년부터 2021년까지 LG 트윈스의 코치였다.[1]
4. 트리비아
2004년 대한민국 병역 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구치소에 구속 수감되었을 때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항상 사과를 손에 쥐고 있었다고 한다. 비슷한 경우로 정현욱이 있으며, 구치소에서 하루에 팔굽혀펴기만 1,000개씩 했다고 한다.
5. 별명
뛰어난 투구 내용을 보일 때는 '세일러 유'라고 불린다. 경기에서 부진할 때는 '분식회계의 달인', '휘발유동훈', '유동골뱅이'라고 불린다.[1][2]
6. 출신 학교
7. 통산 기록
연도 | 팀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1999 | 해태 | 4.75 | 40 | 1 | 0 | 7 | 9 | 2 | 0 | 0.438 | 682 | 155 1/3 | 155 | 26 | 59 | 19 | 87 | 87 | 82 |
2000 | 6.71 | 29 | 0 | 0 | 0 | 3 | 0 | 1 | 0.000 | 281 | 56 1/3 | 82 | 9 | 28 | 12 | 21 | 50 | 42 | |
2001 | KIA | 7.38 | 17 | 0 | 0 | 2 | 2 | 0 | 0 | 0.500 | 210 | 42 2/3 | 59 | 4 | 16 | 7 | 24 | 43 | 35 |
2003 | 3.80 | 12 | 0 | 0 | 0 | 0 | 1 | 0 | 0.000 | 92 | 21 1/3 | 21 | 2 | 7 | 2 | 11 | 9 | 9 | |
2004 | 2.98 | 68 | 0 | 0 | 7 | 2 | 5 | 7 | 0.778 | 487 | 120 2/3 | 105 | 10 | 22 | 19 | 65 | 42 | 40 | |
2008 | 3.43 | 55 | 0 | 0 | 6 | 3 | 2 | 8 | 0.667 | 316 | 78 2/3 | 65 | 2 | 18 | 9 | 39 | 32 | 30 | |
2009 | 0.52 | 57 | 0 | 0 | 6 | 2 | 22 | 10 | 0.750 | 256 | 67 1/3 | 37 | 2 | 13 | 7 | 38 | 6 | 4 | |
2010 | 2.85 | 48 | 0 | 0 | 3 | 2 | 14 | 1 | 0.600 | 196 | 47 1/3 | 46 | 1 | 10 | 7 | 32 | 20 | 15 | |
2011 | 3.94 | 47 | 0 | 0 | 3 | 3 | 7 | 2 | 0.500 | 201 | 48 | 51 | 4 | 12 | 4 | 21 | 23 | 21 | |
2012 | 5.29 | 43 | 0 | 0 | 1 | 0 | 6 | 5 | 1.000 | 141 | 34 | 33 | 0 | 10 | 2 | 29 | 20 | 20 | |
2013 | 2.92 | 49 | 0 | 0 | 1 | 3 | 0 | 5 | 0.250 | 226 | 52 1/3 | 56 | 3 | 11 | 8 | 38 | 22 | 17 | |
통산 | 11시즌 | 3.92 | 465 | 1 | 0 | 36 | 29 | 59 | 39 | 0.554 | 3088 | 724 | 710 | 63 | 206 | 96 | 405 | 354 | 315 |
참조
[1]
뉴스
<체육단신> 野協,국가대표 선발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
뉴스
KIA 유동훈, 재활 포기하고 그라운드 떠난다
https://sports.v.dau[...]
한국스포츠
2014-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