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디트 (프랑크 왕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디트는 구 벨프 가문 출신으로, 프랑크 왕국의 황제 경건왕 루트비히의 두 번째 부인이자 서프랑크 왕국의 왕인 대머리왕 카를의 어머니이다. 819년 루트비히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아들 카를의 영토 상속을 위해 노력했다. 유디트는 권력 행사와 상속 문제로 귀족들의 반발을 샀으며, 간통 혐의로 추방되기도 했다. 그녀는 아들의 서프랑크 왕국 분할을 위해 노력했고, 843년 베르덩 조약 체결 후 사망했다. 유디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며, 동시대인과 역사가들 사이에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95년 출생 - 로타리우스 1세
    로타리우스 1세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장남으로 공동 황제에 책봉되어 이탈리아를 통치하고, 베르됭 조약으로 중프랑크 왕국을 세웠으나, 사후 왕국이 분할 상속되어 카롤링거 왕조 몰락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로트링겐 지방의 지명으로 남아있다.
  • 795년 출생 - 당 목종
    당 목종은 당 헌종의 아들로 환관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절도사들의 반란과 환관의 득세, 잦은 유희와 방탕한 생활로 당나라 쇠퇴의 원인이 된 제13대 황제이다.
  • 843년 사망 - 가도 (당나라)
    가도는 당나라 시인으로, 승려 생활을 거쳐 환속 후 진사가 되었으며, 한유에게 문장을 배우고, 고심하여 시구를 다듬는 고음으로 평가받았으며, 장강 현 주부와 보주 사창 참군을 역임하다가 쇠고기를 과식하여 사망했다.
  • 843년 사망 - 구사량
    구사량은 당나라 환관으로 감로의 변을 통해 권력을 장악하여 문종과 무종 시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사후 죄상이 드러나 작위 박탈과 재산 몰수를 당하며 권력 남용의 말로를 보여준 인물이다.
유디트 (프랑크 왕비)
기본 정보
유디트 황후, '벨프 가문 연대기' 삽화, 1520년경
유디트 황후, '벨프 가문 연대기' 삽화, 1520년경
가문벨프 가문
아버지슈센가우 백작 벨프 1세
어머니하일비히
출생일795년/807년경
사망일843년 4월 19일
사망 장소투르
매장 장소투르, 생마르탱 대성당
결혼과 자녀
배우자서로마 황제 루트비히 1세
자녀기젤라
샤를 2세
칭호
프랑크 왕비819년 - 840년
서로마 황후819년 - 840년

2. 생애

유디트는 795년 바이에른에서 바이에른과 아르톨프의 백작이자 레겐스부르크의 영주인 구엘프 1세와 그의 부인 작센 출신 헤드비가(Hedwiga, 780-826)의 딸로 태어났다.[21] 루트비히 2세 독일인의 정비가 되는 바이에른의 엠므는 그의 친동생이다.

818년 경건왕 루트비히의 첫 번째 황후 에르망가르트가 병으로 죽자, 왕실 측근들은 루트비히에게 재혼을 권고하였다.[21] 루트비히는 제국의 모든 지역에서 간택된 귀족 처녀들을 검사 한 후, 유디트를 낙점하였다. 819년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바로 아헨에서 정식 대관식을 올렸다. 왕비가 됨과 동시에 황후로 승인되었다. 820년경 그의 여동생인 바이에른의 엠므는 루트비히의 셋째 아들 루트비히 2세 독일인의 왕비가 되었다.

823년 아들 대머리왕 카를이 태어나자, 유디트는 아들의 상속분을 확보하기 위해 남편 루트비히를 설득했다. 또한 성직자들과 자문관들을 통해서도 아들의 영토를 확보하려 노력했다.[22] 817년 루트비히가 발표한 상속령이 개정되면서, 로타르 1세, 루트비히 2세 게르마니크, 피핀 1세는 자신들의 몫이 줄어든 것에 반발하여 830년 유디트를 잡아다가 수녀원에 감금했다.

830년 4월 루트비히가 브르타뉴로 떠나고 유디트가 아헨에 홀로 남은 틈을 타, 로타르와 전 왕비 소생 왕자들의 측근들이 암살을 기도했으나 실패했다. 그해 말 유디트는 푸아티에의 성 라데군다 수녀원으로 보내졌다가 곧 풀려났다.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는 유디트가 타락하고 방종한 생활을 한다고 비판했다. 유디트는 자신을 공격한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를 838년 7월 18일 제일란트의 왈체른에서 암살한다.

왕자들의 측근들은 유디트가 간통, 주술 등을 사용한다고 의혹을 제기했고, 831년 2월 1일에는 법정에 기소되어 재판을 받고 공개적으로 정화 의식을 치렀다.[22]

832년833년 로타르 1세, 독일인 루트비히 2세, 피핀 1세 삼형제는 쿠데타를 일으켜 루트비히를 강제로 은퇴시키고 유디트를 수녀원에 가두었다. 833년 삼형제가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유디트는 탈출하여 이탈리아로 도주했으나, 토르토나에서 독일인 루트비히 2세에게 사로잡혔다.

833년 남편 루트비히는 교황의 지지로 복귀했으나, 그해 롬바르디아의 토르토나 수녀원에 유폐되었다. 834년 유디트는 암살 위협을 피하고 수녀원을 탈출했다. 834년 말 남편 루트비히는 교황의 지지를 얻어 왕위를 되찾았고 유디트도 아헨으로 돌아왔다.

839년부터 병석에 누운 남편 루트비히를 1년간 간호했다. 840년 루트비히 1세가 잉겔하임의 궁전에서 사망하자 유디트는 아키텐에 있던 아들 카를에게 군사를 보내 지원하게 했다. 그해 4월 카를은 네우스트리아를 점령하는데 성공했고 유디트는 네우스트리아로 가서 카를을 만났다.[3]

842년경부터 건강이 악화되었고 기침과 어지러움증 등으로 병석에 누웠다. 843년 베르덩 조약으로 아들 대머리왕 카를이 서프랑크의 왕이 되었고, 그해 7월 19일 파리에서 여생을 마쳤다. 일설에는 840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카를 2세는 이듬해 태어난 자신의 딸 이름을 유디트라 하였다. 846년 유디트는 투르의 세인트 마틴 대성당 바실리카에 안치되었다.[2]

2. 1. 젊은 시절

유디트


유디트는 795년 바이에른에서 바이에른과 아르톨프의 백작이자 레겐스부르크의 영주인 구엘프 1세와 그의 부인 작센 출신 헤드비가(Hedwiga, 780-826)의 딸로 태어났다.[21] 후에 루트비히 2세 독일인의 정비가 되는 바이에른의 엠므는 그의 친동생이다.

818년 경건왕 루트비히의 첫 번째 황후 에르망가르트가 병으로 죽자, 왕실 측근들은 경건왕 루트비히에게 재혼을 권고하였다.[21] 경건왕 루트비히는 제국의 모든 지역에서 법정으로 간택된 귀족 처녀들을 검사 한 후, 유디트를 낙점하였다. 그해 10월 3일 유디트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두 번째 계비로 낙점되어 입궐하였다. 819년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바로 아헨에서 정식 대관식을 올렸다. 왕비가 됨과 동시에 황후로 승인되었다. 한편 820년경 그의 여동생인 바이에른의 엠므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셋째 아들 루트비히 2세 독일인의 왕비가 되었다. 바이에른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던 그녀와의 결혼으로 프랑크 왕국은 바이에른 부족과 다시 일종의 정치적인 동맹을 맺게 되었다.

당시 프랑크 왕국과 게르만 족 여성들은 12세~15세 무렵에 결혼하였다. 그러나 유디트는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20대의 나이였으나 미혼이었다. 유디트는 바이에른의 벨프 백작과 작센 귀족 여인 헤드비히의 딸이었다. 유디트의 정확한 출생 연도를 기록한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유디트는 아마도 797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1] 카롤링거 시대에는 대부분의 소녀들이 사춘기에 결혼했는데, 최소 연령은 12세였지만, 41세의 루이 1세와의 결혼은 그녀가 22세 전후였을 819년에 이루어졌다.

벨프 가문은 귀족이었지만, 카롤링거 제국 전역에서 고위 관직을 장악했던 '제국 귀족'(''Reichsaristokratie'')의 일원은 아니었다. 벨프 가문의 지도자들은 알레마니아 (현재의 독일 남서부와 스위스 북부)에서 영향력을 잃었지만, 770년대에 카롤링거 제국 귀족과 가족 관계를 맺음으로써 결국 권력을 얻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주요 자료에 '공작'(duke)과 '백작'(count)이라는 귀족 칭호가 많이 등장하는 것을 볼 때, 해당 지역의 상류 귀족(''Hochadel'')의 일원으로 남아 있었다. 이러한 귀족 신분은 유디트를 황실에 적합한 결혼 상대로 만들었고,[1] 벨프 가문 전체는 819년 카롤링거 황제 루이 1세와의 결혼 이후 명성과 권력이 증가했다.

유디트는 구 벨프 가문의 시조인 슈센가우 백작 벨프 1세와 그의 아내이자 작센인 귀족 출신인 하일비히(Heilwig)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계 일족은 대대로 알토르프(현재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튀빙겐 행정구 라벤스부르크군 와인가르텐)을 본거지로 삼았다. 여동생 엠마는 후에 유디트의 의붓아들인 동프랑크 왕 루트비히 2세 (독일인 왕)와 결혼했다.

819년 2월, 첫 번째 부인 에르망가르드 드 에스베이와 사별한 경건왕 루트비히의 후처로 선택되어 결혼했다.[17][18] 유디트는 의지가 강하고 아름다운 공주였다. 결혼 선물로 유디트는 남편으로부터 브레시아의 산 살바토레 수도원 영지를 봉토(레엔)로 받았다.

2. 2. 왕비 책봉과 상속 문제

823년 아들 대머리왕 카를이 태어나자, 유디트는 아들의 상속분을 확보하기 위해 남편 경건왕 루트비히를 설득했다. 또한 성직자들과 자문관들을 통해서도 아들의 영토를 확보하려 노력했다.[22] 그러나 이는 남편인 루트비히 경건왕에 의해 봉쇄당했다. 로타르 1세는 대머리 카를이 태어나자 상속권을 박탈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817년 경건왕 루트비히가 발표한 상속령이 개정되면서, 로타르 1세, 루트비히 2세 게르마니크, 피핀 1세는 자신들의 몫이 줄어든 것에 반발하여 830년 유디트를 잡아다가 수녀원에 감금했다.

830년 4월 루트비히가 브르타뉴로 떠나고 유디트가 아헨에 홀로 남은 틈을 타, 로타르와 전 왕비 소생 왕자들의 측근들이 암살을 기도했으나 실패했다. 그 해 부활절 주간에 피핀 1세는 유디트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해 말 유디트는 푸아티에의 성 라데군다 수녀원으로 보내졌다가 곧 풀려났다.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는 유디트가 타락하고 방종한 생활을 한다고 비판했다. 유디트는 자신을 공격한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를 838년 7월 18일 제일란트의 왈체른에서 암살한다.

왕자들의 측근들은 유디트가 간통, 주술 등을 사용한다고 의혹을 제기했고, 831년 2월 1일에는 법정에 기소되어 프랑크, 작센, 바이에른 등의 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재판을 받고 공개적으로 정화 의식을 치렀다.[22]

832년833년 로타르 1세, 독일인 루트비히 2세, 피핀 1세 삼형제는 쿠데타를 일으켜 경건왕 루트비히를 강제로 은퇴시키고 유디트를 수녀원에 가두었다. 833년 삼형제가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유디트는 탈출하여 이탈리아로 도주했으나, 토르토나에서 독일인 루트비히 2세에게 사로잡혔다.

로타르 1세의 측근인 리옹의 아고바르는 책을 출간하여 유디트를 "교활하고 미숙한 성격을 지닌 인물로, 남편을 부패와 잘못된 길로 오도했다"고 비난했다. 아고바르는 유디트가 혼외 정사를 "처음에는 비밀리에 그리고 나중에는 뻔뻔스럽게" 자행했다고 주장했다.[23] 833년 남편 경건왕 루트비히는 교황의 지지로 복귀했으나, 그해 롬바르디아의 토르토나 수녀원에 유폐되었다. 834년 라톨드 주교, 보니파시오 백작이 유디트를 암살하려 했고, 피핀 1세도 암살 음모를 꾸몄지만, 유디트는 암살 위협을 피하고 수녀원을 탈출했다. 834년 말 남편 경건왕 루트비히는 교황의 지지를 얻어 왕위를 되찾았고 유디트도 아헨으로 돌아왔다.

한편 파스카시우스 라베루스는 유디트가 주술에 빠졌다고 공격했고, 셉티마니아의 베른하르트 백작, 체임벌린의 루트비히 등과 간통했다고 의혹을 제기하며 고소했다. 셉티마니아의 베른하르트나 체임벌린의 루이는 유디트의 연인이었다고도 한다.

2. 3. 만년

839년부터 병석에 누운 남편 경건왕 루트비히를 1년간 간호했다. 840년 루트비히 1세가 잉겔하임의 궁전에서 사망하자 유디트는 아키텐에 있던 아들 카를에게 군사를 보내 지원하게 했다. 그해 4월 카를은 네우스트리아를 점령하는데 성공했고 유디트는 네우스트리아로 가서 카를을 만났다.[3]

842년경부터 건강이 악화되었고 기침과 어지러움증 등으로 병석에 누웠다. 843년 베르덩 조약으로 아들 대머리왕 카를이 서프랑크의 왕이 되었고, 그해 7월 19일 파리에서 여생을 마쳤다. 일설에는 840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카를 2세는 이듬해 태어난 자신의 딸 이름을 유디트라 하였다. 846년 유디트는 투르의 세인트 마틴 대성당 바실리카에 안치되었다.[2]

3. 평가 및 논란

817년, 경건왕 루트비히가 이전에 발표한 상속령이 개정되면서 자신들의 몫의 영지가 줄어든 것에 반발한 로타르 1세, 루트비히 2세 게르마니크, 피핀 1세가 830년 유디트를 잡아다가 수녀원에 감금시키기도 했다.

830년 4월에는 경건왕 루트비히가 브르타뉴로 나가자 유디트가 아헨에 홀로 남은 틈을 타 로타르와 전 왕비 소생 왕자들의 측근들이 그녀의 암살을 기도했으나 실패했다. 그 해의 부활절 주간에 피핀 1세는 유디트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해 말 푸아티에의 성 라데군다 수녀원으로 보내졌다가 곧 풀려났다.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Frederick of Utrecht) 대주교는 그녀가 타락, 방종한 생활을 한다고 비판했다. 유디트는 이때 자신을 공격한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를 838년 7월 18일 제일란트의 왈체른에서 암살한다.

위흐레프트의 프리드리히


왕자들의 측근들은 그녀가 간통, 주술 등을 사용한다고 의혹을 제기했고 831년 2월 1일에는 법정에 기소돼 프랑크와 작센, 바이에른 등의 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재판을 받고, 공개적으로 정화의식을 치르기도 했다.[22]

832년833년에도 로타르 1세, 독일인 루트비히 2세, 피핀 1세 삼형제는 쿠데타를 일으켜 경건왕 루트비히를 강제로 은퇴시키고, 유디트를 수녀원에 가두었다. 833년에 삼형제가 다시 반란을 일으키자 유디트는 탈출하여 이탈리아로 도주하였으나, 토르토나에서 독일인 루트비히 2세에게 사로잡혔다.

로타르 1세의 측근인 리옹의 아고바르트(Agobard of Lyons)는 2권의 책을 출간, 유디트를 비난하는데 유디트는 교활하고 미숙한 성격을 지닌 인물로, 남편을 부패와 잘못된 길로 오도했다고 비판했다. 아고바르트는 그녀가 혼외 정사를 했다고 주장, 혼외 정사가 "처음에는 비밀리에 그리고 나중에는 뻔뻔스럽게" 자행되었다고 주장했다.[23]

833년 남편 경건왕 루트비히는 교황의 지지로 기적적으로 복귀했으나 다시 그해에 롬바르디아의 토르토나(Tortona) 수녀원에 유폐되었고, 834년 라톨드 주교, 보니파시오 백작이 유디트를 암살하려 했으며, 피핀 1세는 유디트를 죽이기 위해 음모를 꾸몄지만 유디트는 기적적으로 암살 위협을 피하고 수녀원을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834년 말 남편 경건왕 루트비히는 교황의 지지를 얻고서야 다시 왕위로 복귀하였고 유디트도 아헨으로 되돌아왔다.

한편 파스카시우스 라베루스는 그녀가 주술에 빠졌다며 공격했고, 셉티마니아(Septimania)의 베른하르트 백작, 체임벌린의 루트비히 등과 간통했다고 의혹을 제기, 고소하기도 했다. 셉티마니아의 베른하르트나 체임벌린의 루이는 그녀의 연인이었다고도 한다.

그러나 유디트의 권력, 영향력, 그리고 궁정에서의 활동 증가는 그녀에 대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로타르의 지지자인 리옹의 아고바르는 833년에 ''아들들을 위한 두 권의 책''과 ''루이의 아내 유디트에 반대하는 글'' 두 개의 논문을 썼다. 이 논문들은 유디트의 궁정과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로타르의 궁정에서 유디트를 비방하는 선전물로 의도되었다. 논문 자체는 그녀의 인격을 공격하며, 그녀가 교활하고 음흉한 성격을 가지고 남편을 타락시킨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공격은 본질적으로 반여성주의적이었다. 루이가 여전히 유디트와의 결혼 관계를 끊지 않자, 아고바르는 유디트의 외도 행위가 "처음에는 은밀하게, 나중에는 뻔뻔하게"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4] 파시시우스 라드베르투스는 유디트가 방탕과 마법에 관여했다는 혐의를 제기하며, 그녀가 궁전에 "점쟁이... 예언자, 벙어리, 꿈 해석가, 내장을 보고 점치는 자, 악의적인 기술에 능숙한 자들"로 가득 채웠다고 비난했다.

이세벨과 유스티나로 묘사된 유디트는 그녀의 적 중 한 명인 파시시우스 라드베르투스에 의해 그녀의 연인으로 추정되는 루이의 시종이자 신뢰받는 조언자인 셉티마니아의 베르나르 백작과 함께 방탕과 마법을 행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이러한 묘사와 이미지는 유디트에 대한 시와 대조를 이룬다.[2] 시는 그녀를 "두 번째 성서의 유디트, 그녀의 음악적 능력에 있어서 아론의 누이 마리아, 사포, 여선지자, 교양 있고, 정숙하며, 지적이고, 경건하며, 정신적으로 강하고, 대화가 부드러운 여성"으로 묘사한다.[2]

그러나 유디트는 헌신과 존경도 받았다. 흐라바누스 마우루스는 유디트에게 헌정하는 서한을 써서 그녀의 "칭찬할 만한 지성"[12]과 그녀의 "선행"을 칭송했다.[12] 이 편지는 그녀가 전투가 벌어지는 격동의 시대에 그녀가 겪는 어려움 속에서 승리를 볼 수 있기를 바라며 그녀를 칭찬했다. 또한 그녀에게 "일단 시작한 선행을 계속 이어나가고"[12] "끊임없이 자신을 개선하라"고 간청했다. 가장 놀라운 것은 이 편지가 유디트가 성경의 에스더 여왕, 즉 크세르크세스 1세의 아내를 영감과 롤 모델로 삼기를 바랐다는 것이다.

유디트에 대한 동시대인들의 평가는 엇갈린다. 발라프리트 스트라보와 라바누스 마우루스는 유디트를 높이 존경했으며, 리옹의 아고바르와 코르베의 와라 (카롤링거 가문의 일원)는 그녀를 모든 악의 근원으로 여겼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구엘프 1세바이에른과 아르톨프의 공작
어머니헤드비가(Hedwiga)780년 - 826년
여동생바이에른의 엠므803년 - 876년
제부루트비히 2세802/803년 - 876년
남편루트비히 1세 경건왕774년 - 840년
아들대머리왕 카를 2세823년 - 877년, 제국 분할 계획에 따라 상속 분쟁 발생[8]
며느리오를레앙의 이르멘트루드(Ermentrude)? - 869년
며느리프로방스의 리첼다(Richelda)테오발드 아를의 딸, 보소 5세의 누이
손자유아왕 샤를
손자카를로만
손자루이 2세 말더듬이왕
손자무위자 로타르
손녀로틸드(Rotilde)
손녀사위지게베르트 6세우르수스의 공작
프랑크의 기셀라820년 - 874년[8]
사위프리울리의 에버하르트
외손자베렌가리오 1세840년 - 924년



카롤루스 대제의 가계도

5. 기타

그녀의 친정 조카인 구엘프 2세와 콘라트는 각각 독일 벨프 왕가와 부르고뉴 벨프 왕가의 분가인 콘라디안 가의 시조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Kaiserin Judith: Eine Politische Biographie Matthiesen 2005
[2] 서적 Queens, Concubines and Dowagers: The King's Wife in the Early Middle Ages Leicester UP 1998
[3] 서적 Carolingian Chronicles, Royal Frankish Annals Nithard's Histories Univ. of Michigan 1972
[4] 서적 Women in Frankish Society: Marriage and the Cloister, 500 to 900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81
[5] 웹사이트 RI I n. 683a, Ludwig der Fromme, 819 febr. 00, .... : Regesta Imperii http://www.regesta-i[...] 2014-05-15
[6] 웹사이트 RI I n. 802, Ludwig der Fromme, 819-825, .... : Regesta Imperii http://www.regesta-i[...] 2014-05-15
[7] 웹사이트 A letter from Freculf, bishop of Lisieux https://epistolae.ct[...] 2021-06-25
[8] 웹사이트 RI I n. 925d, Ludwig der Fromme, 833 iuni 30, Rotfelth : Regesta Imperii http://www.regesta-i[...] 2014-05-15
[9] 서적 Charles the Bald Longman 1992
[10] 문서 Caesar's Wife. The Career of the Empress Judith 819–829
[11] 문서 Poem in Honor of Louis
[12] 문서 Dedicatory letter to the Expositio in librum Judith 856
[13] 서적 The Annals of St-Berti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Charlemagne1 http://genealogy.euw[...]
[15] 서적 Kaiserin Judith: eine politische Biographie 2005
[16] 논문 Judith Augusta and Her Time 1969
[17] 서적 Die Taten Kaiser Ludwigs (Gesta Hludowici imperatoris). Astronomus, Das Leben Kaiser Ludwigs (Vita Hludowici imperatoris) 1995
[18] 서적 Die Taten Kaiser Ludwigs (Gesta Hludowici imperatoris). Astronomus, Das Leben Kaiser Ludwigs (Vita Hludowici imperatoris) 1995
[19] 서적 Die Taten Kaiser Ludwigs (Gesta Hludowici imperatoris). Astronomus, Das Leben Kaiser Ludwigs (Vita Hludowici imperatoris) 1995
[20] 웹사이트 RI I, 2,1 n. 361 http://regesten.rege[...]
[21] 서적 Queens, Concubines and Dowagers: The King's Wife in the Early Middle Ages Leicester UP 1998
[22] 서적 The Annals of St-Bertin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91
[23] 서적 Women in Frankish Society: Marriage and the Cloister, 500 to 900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