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앤미 블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앤미 블루는 방준석과 이승열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모던 록 듀오이다. 1994년 미국에서 결성되어 한국으로 돌아와 활동을 시작했으며, 서구 모던 록을 한국에 도입하여 '한국 모던 록의 선구자'로 불리기도 한다. 1994년 《Nothing's Good Enough》, 1996년 《Cry…Our Wanna Be Nation!》을 발매했으나, 초기에는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했다. 이후 멤버들은 각자 솔로 활동을 하였으며, 2007년과 2008년 합동 공연을 통해 재결성 움직임을 보였다. 두 장의 정규 음반은 발매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이후 평단의 호평을 받으며 '저주받은 걸작'으로 평가받았으며, 2007년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에서 두 음반 모두 순위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플럭서스 뮤직의 음악가 - 호란
    호란은 연세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과 심리학을 전공하고 2004년 클래지콰이 멤버로 데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나, 음주운전 사고와 학교 폭력 관련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빚었다.
  • 플럭서스 뮤직의 음악가 - 알렉스 (가수)
    알렉스는 클래지콰이 멤버이자 솔로 가수, 배우, 방송인으로 활동하며, 2008년 솔로 앨범을 발매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음주운전으로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 모던 록 - 자우림
    자우림은 1997년 결성되어 김윤아를 중심으로 이선규, 김진만으로 구성된 대한민국의 록 밴드로서, 록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실험적인 음악과 "밀랍천사", "파애" 등의 히트곡을 통해 한국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대표 록 밴드로 자리매김했다.
  • 모던 록 - 김재원 (1975년)
    김재원은 1997년 가수로 데뷔하여 '눈물'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고 드라마 OST, 뮤지컬, 방송 활동을 하다가, 2024년 조국혁신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치 활동을 시작한 인물이다.
  • 1997년 폐지 - 신한국당
    신한국당은 1995년 민주자유당이 당명 변경으로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15대 총선에서 제1당이 되었으나 IMF 외환 위기 속 김영삼 대통령의 탈당 후 민주당과 합당하여 한나라당을 창당하며 해산되었다.
  • 1997년 폐지 - 대영 제국
    대영 제국은 1583년부터 1997년까지 존속하며 전 세계에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던 역사상 가장 큰 식민 제국 중 하나였으나, 탈식민화 운동과 강대국들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997년 홍콩 반환을 기점으로 역사의 막을 내렸다.
유앤미 블루
기본 정보
U&Me Blue 2집 앨범 커버
U&Me Blue 2집 앨범 커버
이름유앤미 블루
영어 이름U&Me Blue
국가대한민국
장르모던 록
소프트 록
활동 시기1994년 ~ 1997년
2009년 ~
구성원방준석 (기타, 보컬)
이승열 (기타, 보컬)
이전 구성원해당 정보 없음
레이블해당 정보 없음
소속사해당 정보 없음
관련 활동해당 정보 없음
웹사이트해당 정보 없음

2. 활동 내역

유앤미 블루는 1994년 결성 이후 두 장의 정규 음반을 발매했으나, 대중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활동을 중단했다. 방준석은 영화 음악, 이승열은 솔로 활동을 이어갔다.[3] 이후 재결성 시도가 있었으나, 두 음반은 '저주받은 걸작'으로 불리며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에 선정되는 등 재조명받았다.[4]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94-1996)

미국에서 거주하던 방준석이승열이 만나 대한민국으로 귀국한 후 1994년에 결성해 홍익대학교 앞에 소재하는 블루 데블이라는 라이브 클럽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서구에서 시작된 모던 록을 한국에 들여옴으로써 ‘한국 모던 록의 선구자’[1]라고 불리기도 한다. 결성한 해, 첫 정규 음반 《Nothing`s Good Enough》를 발매했다. 그러나 이는 서구의 모던 록과 매우 흡사한 음악으로 구성되어 있어 평단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으며, 또한 대중들에게는 익숙하지 못한 사운드로 외면받아 결국 1집은 실패로 돌아가고 말았다.[2]

2년 후 낸 두 번째 음반 《Cry…Our Wanna Be Nation!》은 조금씩 주목을 끌기 시작했다. 모던 록에 한국적인 정서를 가미시켜 반향을 일으키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또한 대중들에게서 큰 인기를 끌지 못하여 활동은 무기한 중단되고 말았다.[3]

2. 2. 2집 발매와 활동 중단 (1996-2000년대 초)

1996년 2집 《Cry…Our Wanna Be Nation!》을 발매하면서 조금씩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 음반은 모던 록에 한국적인 정서를 가미하여 반향을 일으켰다.[3] 그러나 대중적으로 큰 인기를 얻지는 못해 활동이 무기한 중단되었다.[3] 이후 방준석은 영화 음악 활동을, 이승열2003년부터 솔로 앨범을 발매하며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3]

2007년 제천국제음악영화제2008년 쌈지사운드페스티벌에서 방준석과 이승열이 함께 공연하기도 했다.[4] 2009년 7월 30일에는 유앤미 블루라는 이름으로 서울에서 공연을 하며 재결성을 준비하고 있음이 알려졌다.[4]

2. 3. 재결성 시도와 해체 이후 (2000년대 후반-현재)

2007년2008년에 각각 제천국제음악영화제와 쌈지사운드페스티벌에서 방준석과 이승열이 함께 공연했다.[4] 2009년에는 방준석과 이승열이 유앤미 블루라는 이름을 걸고 7월 30일에 서울 공연을 하면서 재결성을 준비하고 있음이 알려졌다.[4]

유앤미 블루가 발매했던 두 정규 음반은 발매 당시에는 큰 인기를 끌지 못했으나, 발매 이후 평단에서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아 '저주받은 걸작'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7년 8월 가슴 네트워크와 경향신문이 선정한 《한국대중음악 100대 명반》에서 《Nothing`s Good Enough》가 41위, 《Cry…Our Wanna Be Nation!》이 23위로 발표되어 다시금 주목받았다.

3. 구성원

유앤미 블루는 방준석이승열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보컬과 기타를 담당했다.

3. 1. 현재 구성원

4. 음반 목록

유앤미 블루는 정규 음반 2장, 공연 실황 음반 1장, 디지털 싱글 1장, 참여 음반 1장을 발매했다.

4. 1. 정규 음반

4. 2. 공연 실황 음반


  • 《Live Collection From 95 to 97》 (1998년)

4. 3. 디지털 싱글

4. 4. 참여 음반


  • 1995년 영화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수록곡 〈그대 영혼에〉

참조

[1] 뉴스 유앤미블루, 10여년 만의 단독 공연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9-09-01
[2] 뉴스 〈대중음악 100대 명반〉 41위 유앤미 블루 ‘Nothing's Good English’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9-01
[3] 뉴스 〈대중음악 100대 명반〉 23위 유앤미 블루 ‘Cry…Our Wanna Be Nation!’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9-01
[4] 뉴스 대한민국 모던록의 시작 '유앤미블루' 오랜 기다림 끝에 팬들과 해후 http://artsnews.medi[...] 아츠뉴스 2009-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