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UNCCD)은 1994년 채택되어 1996년 발효되었으며, 사막화의 영향을 받는 국가, 특히 아프리카와 개발도상국의 사막화 대응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국제 협약이다. UNCCD는 국제 협력과 연대를 통해 사막화와 가뭄에 대처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주요 기구로는 당사국 총회(COP), 사무국, 과학기술위원회(CST), 협약이행검토위원회(CRIC), 전 지구적 재정체계(GM) 등이 있으며, 2020년 기준 197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UNCCD는 국가실천계획(NAP)을 통해 사막화 방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당사국 총회(COP)는 협약 이행을 감독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발효된 조약 - 바세나르 협정
    바세나르 협정은 무기 및 관련 기술 수출 통제를 통해 지역 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는 무기 확산과 테러리스트의 무기 획득을 방지하기 위한 국제 협정으로, 참가국들은 수출 통제 품목 리스트를 관리하고 정보를 교환하며, 대한민국도 회원국이다.
  • 1996년 발효된 조약 -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에 관한 협정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에 관한 협정(TRIPS)은 세계 무역 기구 회원국 간 지식 재산권 보호를 위한 국제 협정으로, 다양한 지식 재산권의 보호 기준과 시행 절차를 규정하여 혁신과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개발도상국 이행 문제, 의약품 접근성 문제 등 비판과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1994년 프랑스 - 제19회 세자르상
    제19회 세자르상은 1994년에 개최되었으며, 알랭 레네 감독의 《흡연/금연》이 최우수 작품상을, 피아노가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푸른 파파야 향기가 최우수 데뷔상을 수상했다.
  • 1994년 프랑스 - 에어프랑스 8969편 납치 사건
    에어프랑스 8969편 납치 사건은 1994년 알제리 내전 중 무장 이슬람 단체가 이슬람 구원 전선 지도자 석방을 요구하며 에어프랑스 항공기를 납치, 인질극을 벌이다 프랑스 국가 헌병대의 진압 작전으로 납치범 전원 사살, 인질들이 구출된 사건이다.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
조약 개요
명칭국제 연합 사막화 방지 협약
정식 명칭심각한 가뭄 또는 사막화를 겪는 국가, 특히 아프리카에서 사막화 방지를 위한 국제 연합 협약
분야환경 보호, 사막화
체결1994년 10월 14일 – 1995년 10월 13일
장소, 독일, 뉴욕, 미국
발효1996년 12월 26일
발효 조건50개국 비준
당사국193개 유엔 회원국
쿡 제도
유럽 연합
니우에
팔레스타인
기탁자국제 연합 사무총장
사용 언어아랍어
중국어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위키 소스국제 연합 사막화 방지 협약

2. 설립 연혁

1977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유엔 사막화대책회의(UNCOD)에서 사막화 퇴치 행동계획(PACD)이 마련되었다.[1] 그러나 1991년 유엔 환경 계획(UNEP)은 그 성과가 미흡하다고 평가했다.[1]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 환경 개발 회의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제안으로 국제 사회 차원의 새로운 통합적 접근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1]

1992년 12월 유엔 총회 결의 47/188에 따라 사막화방지협약 국제교섭위원회(INCD)가 조직되어 협상이 진행되었다.[1] 1994년 6월 17일 프랑스 파리에서 사막화방지협약이 채택되었고,[1] 1996년 12월 26일 발효되었다.[1] 2020년 현재 협약 당사국 및 비준국은 197개국이다.[2]

3. 설립 목적

UNCCD는 일종의 국제적인 협약 기구로서 심각한 사막화의 영향을 받는 국가(특히 아프리카 국가)들과 개발도상국의 사막화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 사막화 피해 국가에 대한 적절한 고려 및 이들 국가의 사막화 방지를 위한 지식 및 기술 제공과 지원을 목표로 한다.[1]

이 협약은 사막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개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국제 협력 및 연대를 통해 지원되는 모든 단계의 효과적인 행동을 통해 심각한 가뭄 또는 사막화에 직면한 국가(특히 아프리카 국가)에서 사막화에 대처하고 가뭄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사막화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토지 생산성 향상, 토지 및 수자원의 복원,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관리에 동시에 초점을 맞춘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전략, 특히 지역 사회의 생활 조건 개선이 필요하다.[1]

4. 조직

사막화방지협약의 최고 집행 기구는 당사국 총회(COP)이며, 1997년 로마에서 첫 회의를 개최한 이후 2년마다 정기 회의가 열리고 있다. 협약 이행을 위한 업무를 총괄하는 상설 기구로 사무국이 설치되었다.

당사국 총회는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조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다음 기구들이 당사국 총회를 지원한다.


  • 조약 사무국: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독일 에 있다. 사무국은 당사국 총회 및 그 보조 기구를 지원하고, 조약의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의 이행을 촉진한다.
  • 조약 이행 검토 위원회 (CRIC): 제5차 당사국 총회에서 설립되었다. 위원회는 당사국이 제출한 국가별 조약 이행 행동 계획 보고서를 검토하고 분석한다.
  • 과학 기술 위원회 (CST): 사막화 대처 및 가뭄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과 관련된 과학적 및 기술적 사항에 관한 정보 및 조언을 당사국 총회에 제공한다.
  • 글로벌 메커니즘 (GM): 사막화에 직면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자금 지원의 틀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 당사국 총회의 관리 및 지도하에 활동하며, 당사국 총회에 책임을 진다.
  • 2003년부터 글로벌 환경 시설(GEF)이 UNCCD의 자금 메커니즘이 되었으며, 2010년 이후 모든 자격 국가가 조약 이행에 필요한 자금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
  • 2022년, 조약 사무총장 이브라힘 티아우는 코스타리카안드레아 메사를 조약의 부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

4. 1. 기후 변화 당사국 총회 (COP)

기후 변화 당사국 총회(COP)는 협약의 최고 기관으로, 협약 위임 범위 안에서 효과적인 기후 변화 예방 이행 촉진을 위한 결정을 한다. 2001년 이후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1]

당사국총회(COP)는 협약의 이행을 감독하며, 협약에 의해 최고 의사 결정 기구로 설립되었으며 모든 비준 정부로 구성된다. COP의 첫 5차 회의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매년 개최되었다.[1]

2001년부터는 2년마다 한 번씩 격년으로 개최되며, 협약 이행 검토 위원회(CRIC) 회의와 교대로 열린다. CRIC의 첫 회의는 2002년에 개최되었다.[1] 당사국 총회(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COP)는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1997년 로마에서 개최된 제1차 회의 이후 2년마다 개최된다. 조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다음 기구가 당사국 총회를 지원한다.[1]

  • 조약 사무국 - 제1차 당사국 총회에 따라 1999년에 설립되었다. 본부는 독일 에 있다. 사무국은 당사국 총회 및 그 보조 기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조약의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의 이행을 촉진한다.[1]
  • 조약 이행 검토 위원회(Committee for the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CRIC) – 제5차 당사국 총회에 따라 설립되었다. 위원회는 당사국에서 제출된 국가별 조약 이행 행동 계획 보고서를 검토, 분석한다.[1]
  • 과학 기술 위원회(Committee on Science and Technology, CST) – 사막화 대처 및 가뭄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과 관련된 과학적 및 기술적 사항에 관한 정보 및 조언을 당사국 총회에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당사국 총회의 보조 기구이다.[1]
  • 글로벌 메커니즘(Global Mechanism, GM) – 사막화에 직면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자금 지원의 틀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 당사국 총회의 관리 및 지도하에 활동하며, 당사국 총회에 책임을 진다.[1]
  • 이 외에, 2003년부터 글로벌 환경 시설(Global Environment Facility, GEF)이 UNCCD의 자금 메커니즘이 되었으며, 2010년 이후 모든 자격 국가가 조약 이행에 필요한 자금 접근을 제공하고 있다.[1]
  • 2022년, 조약 사무총장 이브라힘 티아우는 코스타리카안드레아 메사를 조약의 부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1]

4. 2. 사무국

사무국은 당사국 총회 회의 및 협약에 의해 설치된 보조기관의 회의 준비 및 용역을 제공한다.[1] 사무국은 독일 에 위치한다.[1]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UNCCD)의 상설 사무국은 1997년 로마에서 개최된 제1차 당사국 총회(COP 1)에서 설립되었다.[3] 1999년 1월부터 독일 본에 위치해 있으며, 2006년 7월 본의 첫 번째 주소지였던 하우스 카르스탄젠에서 새로운 유엔 캠퍼스로 이전했다.[3]

사무국의 기능은 당사국 총회(COP) 및 협약에 따라 설립된 부속 기구의 회의를 준비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3] 사무국의 주요 업무 중 하나는 제출된 보고서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것이다.[3]

사무국은 또한 피해를 입은 개발도상국 당사국, 특히 아프리카 국가에 지원을 제공한다.[3] 이는 협약에 따라 필요한 정보 및 보고서를 수집할 때 중요하다.[3] UNCCD 활동은 기후 변화에 관한 유엔 기본 협약(UNFCCC) 및 생물 다양성 협약(CBD)과 같은 다른 관련 국제 기구 및 협약의 사무국과 조율된다.[3]

2022년, 조약 사무총장 이브라힘 티아우는 코스타리카안드레아 메사를 조약의 부사무총장으로 임명했다.[4]

4. 3. 과학기술위원회 (CST)

과학기술위원회(Committee on Science and Technology, CST)는 사막화 방지 협약 당사국총회(COP)의 산하 기구로서, 사막화 방지 및 가뭄 피해 완화와 관련된 과학기술적 정보 및 자문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CST는 1997년 당사국총회 제1차 회의에서 임무와 위임 사항이 정의되었으며, 사막화 방지 및 가뭄 완화와 관련된 전문 분야의 정부 대표로 구성된다. 연구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연구자 간의 협력 강화 방안을 권고하며, 다학제적이고 모든 당사국의 참여에 열려 있다. CST는 COP 정기 회의와 함께 개최된다.

CST는 관련 데이터를 수집, 분석 및 검토한다. 또한 적절한 하위 지역, 지역 및 국가 기관을 통해, 특히 사막화 및 가뭄으로 이어지는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연구 개발 활동을 통해 사막화 방지 및 가뭄 완화 분야의 협력을 증진한다.

CST 임원단은 의장과 4명의 부의장으로 구성된다. 의장은 지리적 분포와 영향받는 국가 당사국, 특히 아프리카 국가의 적절한 대표성을 보장하는 것을 고려하여 COP에서 각 회기마다 선출되며, 연속해서 2번 이상 임기를 수행할 수 없다. CST 임원단은 COP 회기 사이 위원회 활동의 후속 조치를 담당하며, COP에서 설립한 임시 패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CST는 또한 사막화 방지, 생산성 향상, 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 및 관리를 위해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구별하는 데 기여한다.

COP는 CST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특정 작업 프로그램을 가진 전문가 그룹을 설립했다. 이 전문가 그룹은 CST의 권한 하에 활동하며 가뭄 및 사막화 분야에 대한 조언을 제공한다. 전문가 그룹(GoE)은 과학기술 위원회(CST)에 현재 지식, 범위 및 영향, 가능한 시나리오 및 작업 프로그램에 할당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중요한 제도적 역할을 수행한다. GoE가 수행한 작업의 결과는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진행 중인 활동(벤치마크 및 지표, 전통 지식, 조기 경보 시스템)에 대한 결과의 배포를 포함한다.

전문가 그룹은 과학 기술 협력을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를 개발하여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제공하고, 국제, 지역 및 국가 수준에서 국가 및 이해 관계자 간에 사막화 및 가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연구 프로젝트를 조율한다.

전문가 그룹은 기존의 작업과 증거를 바탕으로 컨벤션 당사자 및 과학계에 광범위하게 배포하기 위한 관련 요약 및 결과물을 생산하고자 한다. 작업 프로그램 및 그 임무는 다년간의 특성을 가지며 최대 4년이다.

4. 4. 협약이행검토위원회 (CRIC)

협약이행검토위원회(Committee for the Review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CRIC)는 협약 이행 사항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기구이다. 제5차 당사국 총회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당사국에서 제출한 국가별 조약 이행 행동 계획 보고서를 검토하고 분석한다.[1]

4. 5. 전 지구적 재정체계 (GM)

전 지구적 재정체계(Global Mechanism, GM)는 피해 지역의 사막화 방지 및 가뭄 피해 완화,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기 위한 재정 운영 기구이다.[1] 사막화에 직면한 개발도상국에 대한 자금 지원의 틀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으며,[1] 당사국 총회의 관리 및 지도하에 활동하며, 당사국 총회에 책임을 진다.[1]

4. 6. 5개 협약이행부속지역회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5개 협약이행부속지역회의에 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회원 국가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


협약 가입국 (녹색)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은 1994년 10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모두 115개국이 서명하였으며, 이들 국가 중 멕시코, 네덜란드, 이집트, 세네갈 등 50개 국가가 먼저 비준함에 따라 1996년 12월 26일에 발효되었다.[3] 2011년 1월 기준으로 194개국이 회원국이다.

지역회원국 수
아프리카53개국
아시아57개국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33개국
북지중해12개국
동중앙유럽18개국
유럽공동체 및 기타 지역20개국



대한민국은 1994년 10월 14일 사막화방지협약에 서명하고 1999년 8월 17일 비준하였으며, 1999년 11월 15일부터 협약이 국내에서 발효되고 있다.

이 협약은 유럽 연합과 196개 국가에서 비준되었다: 193개 모든 유엔 회원국, 쿡 제도, 니우에, 그리고 팔레스타인.[3]

2013년 3월 28일, 캐나다는 협약에서 탈퇴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그러나 3년 후, 캐나다는 2016년 12월 21일 협약에 재가입하여 탈퇴를 번복했으며, 그 결과 2017년 3월 21일 다시 협약 당사국이 되었다.[3][4]

교황청(바티칸 시국)은 협약에 가입할 자격이 있으면서 당사국이 아닌 유일한 국가이다.

6. 주요 사업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 이행의 핵심 수단은 국가실천계획(NAP)이며, 이는 소지역 실천계획(SRAP) 및 지역실천계획(RAP)에 의해 강화된다.[1]

사막화 피해 당사국은 국가실천계획을 통해 사막화를 초래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사막화 방지에 필요한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며, 사막화 방지를 위해 취해진 실질적인 단계와 조치를 상세하게 기술한다.[1]

국가실천계획은 사막화 방지를 위한 장기적 전략을 구체화하고 그 이행을 강조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국가 정책과 통합되어야 한다.[1] 현재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 중앙 및 동유럽, 북지중해 지역에서 실시되고 있다.[1] 국가 행동 계획(NAP)은 지역 사회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개발되며, 특정 생태계의 사막화 방지를 위해 취해야 할 실질적인 단계와 조치를 명시한다.[1]

이 협약은 국제 협력 및 연대를 통해 심각한 가뭄 또는 사막화에 직면한 국가(특히 아프리카 국가)에서 사막화에 대처하고 가뭄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7. 역대 당사자 총회 (COP)

회의개최 기간개최 국가개최 도시
제1차 당사국 총회 (COP1)1997년 9월 29일 ~ 10월 11일이탈리아로마
제2차 당사국 총회 (COP2)1998년 11월 30일 ~ 12월 11일세네갈다카르
제3차 당사국 총회 (COP3)1999년 11월 15일 ~ 11월 26일브라질헤시피
제4차 당사국 총회 (COP4)2000년 12월 10일 ~ 12월 24일독일
제5차 당사국 총회 (COP5)2001년 10월 1일 ~ 10월 12일스위스제네바
제6차 당사국 총회 (COP6)2003년 8월 25일 ~ 9월 5일쿠바아바나
제7차 당사국 총회 (COP7)2005년 10월 17일 ~ 10월 28일케냐나이로비
제8차 당사국 총회 (COP8)2007년 9월 3일 ~ 9월 14일스페인마드리드
제9차 당사국 총회 (COP9)2009년 9월 21일 ~ 10월 2일아르헨티나부에노스아이레스
제10차 당사국 총회 (COP10)2011년 10월 10일 ~ 10월 21일대한민국창원시
제11차 당사국 총회 (COP11)2013년 9월 16일 ~ 9월 27일나미비아빈트후크
제12차 당사국 총회 (COP12)2015년 10월 12일 ~ 10월 23일터키앙카라
제13차 당사국 총회 (COP13)2017년 9월 4일 ~ 9월 15일중국오르도스시


  • COP1 (1997년, 이탈리아 로마): 협약 사무국을 독일 으로 결정하고, 협약 운영 기관 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과학기술위원회(CST) 구성을 위한 실무그룹 결정에 합의했다.[1]
  • COP3 (1999년, 브라질 헤시피): 조기경보체제(EWS)에 대해 논의하고, 사막화 모니터링 및 평가를 조기경보체제 내에서 다루기로 하였다.[3]
  • COP5 (2001년, 스위스 제네바): 개발도상국들이 협약 이행 검토를 위한 소위원회 설치를 요구하였다. 사막화에 대한 공개토론회가 처음으로 개최되었다.[5]
  • COP6 (2003년, 쿠바 아바나): 사막화 방지를 통한 빈곤 퇴치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하바나 선언"을 채택했다. 하바나 선언은 빈곤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조건 향상을 주장하고, WTO에서 사막화 지역 농업생산물에 혜택을 고려해줄 것을 요구했다.[6]
  • COP7 (2005년, 케냐 나이로비): 2006년을 '사막과 사막화의 해'로 지정했다. 협약검토이행위원회는 아프리카 지역에 협약 이행 강화를 위한 지원 규모를 정해줄 것을 제안하기로 결정하고, 국가보고서 제출 표준화를 위한 특별전문가 실무단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7]
  • COP8 (2007년, 스페인 마드리드): 협약 발효 10주년을 기념하여 "협약의 이행증진을 위한 10년 전략계획"을 채택했다.[8]
  • COP9 (2009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지역사무소(RCU)를 지역협력체제(RCM)로 확대 개편했다. 고위급회의를 통해 사막화, 토지 황폐화, 기후 변화 문제를 논의했다.[9]
  • COP10 (2011년, 대한민국 창원시):
  • COP11 (2013년, 나미비아 빈트후크):
  • COP12 (2015년, 터키 앙카라):
  • COP13 (2017년, 중국 오르도스시):

8. 과학기술위원회 (CST) 산하 전문가 그룹 (GoE)

유엔 사막화 방지 협약의 과학기술위원회(CST) 산하 전문가 그룹(GoE)은 중요한 제도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 그룹은 CST에 다음 정보를 제공한다.


  • 현재 지식
  • 범위 및 영향
  • 가능한 시나리오
  • 작업 프로그램에 할당된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GoE가 수행한 작업 결과는 널리 인정받고 있으며, 벤치마크 및 지표, 전통 지식, 조기 경보 시스템 등 진행 중인 활동에 대한 결과를 배포한다.

전문가 그룹은 과학 기술 협력을 위한 적절한 메커니즘에 대한 정보를 개발하여 모든 이해 관계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국제, 지역 및 국가 수준에서 국가 및 이해 관계자 간에 사막화 및 가뭄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연구 프로젝트를 조율한다.

전문가 그룹은 기존의 작업과 증거를 바탕으로 협약 당사국 및 과학계에 널리 배포하기 위한 관련 요약 및 결과물을 생산한다. 작업 프로그램 및 그 임무는 다년간의 특성을 가지며 최대 4년이다.

참조

[1] 논문 Reviewing the international year of deserts and Desertification 2006: What contribution towards combating global desertification and implementing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2008
[2] 웹사이트 Executive Secretary https://www.unccd.in[...]
[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in those Countries Experiencing Serious Drought and/or Desertification, Particularly in Africa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2019-10-10
[4] 웹사이트 Canada: Canada Rejoins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To Combat Desertification http://www.mondaq.co[...] 2017-03-31
[5] 뉴스 UNCCD COP14: New Delhi, India https://www.unccd.in[...]
[6] 웹사이트 The New Delhi Declaration: Investing in Land and Unlocking Opportunities https://www.unccd.in[...]
[7] 웹사이트 Saudi Arabia to host largest-ever UN conference on land and drought https://www.unccd.in[...]
[8] 문서 グループは欧州連合
[9] 웹사이트 andrea-meza-murillo-appointed-unccd-deputy-executive-secretary https://www.unccd.i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