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65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65호는 1980년 3월 1일 채택되었으며, 이스라엘의 점령지 내 정착촌 건설 정책을 규탄하고, 정착촌 해체 및 관련 행위 중단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결의는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등 아랍 영토 내 정착 및 이민 유도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이스라엘 정부와 국민에게 정착촌 해체를 요청했다. 또한, 모든 국가에 대해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 미국은 결의에 찬성했으나, 결의를 권고로 해석하고, 이스라엘 정착촌 해체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72호
  • 1980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7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78호는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수도 선언을 규탄하고 예루살렘 기본법을 무효화하며, 이스라엘의 관할권 행사를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하고, 회원국들에게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하는 행위를 금지하며, 외교 공관 철수를 요구하고, 지위 변경 시도를 무효로 하는 결의안이다.
  • 이스라엘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735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735호는 미국이 제안한 가자 지구 휴전안을 지지하며 채택된 결의안으로, 인질 석방, 이스라엘군 철수, 영구적 적대 행위 종료, 가자 지구 재건 등을 단계적으로 포함하고, '두 국가 해법'을 지지하며, 미국, 이집트, 카타르의 협상 지원 의지를 표명했다.
  • 이스라엘 관련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728호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728호는 2024년 3월 25일에 가자 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위한 즉각적인 휴전을 요구하며 채택되었으며, 라마단 기간 동안의 휴전을 통해 지속 가능한 휴전으로 이어지고 모든 인질의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석방, 인도적 지원 확대, 민간인 보호를 위한 국제법 준수를 요구한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65호
결의안 정보
결의안 번호465
기관안전 보장 이사회
날짜1980년 3월 1일
회의2,203
코드S/RES/465
문서S/RES/465(1980)
찬성15
기권0
반대0
주제이스라엘의 점령지
결과채택
팔레스타인 영토
팔레스타인 영토

2. 결의 채택 배경

결의 제446호(1979)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는 보고서를 제출했고, 이사회는 위원회의 활동을 수용하고 칭찬했으나, 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이사회는 아랍 영토 내 이스라엘의 정착촌 정책에 우려를 표명하고, 결의 제237호(1967), 결의 제252호(1968), 결의 제267호(1969), 결의 제271호(1969) 및 결의 제298호(1971)를 다시 언급하며 이스라엘 국가와 국민에게 정착촌 철거를 촉구했다.

또한 결의안은 이스라엘이 헤브론 시장 파흐드 카와스마의 안전 보장 이사회 여행을 금지한 것을 규탄하고, 그가 유엔 본부로 여행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요청했다.

2. 1. 이스라엘의 정착촌 건설 정책

결의 제446호(1979)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의 보고서를 주지한 후, 이사회는 위원회의 활동을 수용하고 칭찬하는 한편, 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이사회는 아랍 영토 내 이스라엘의 정착촌 정책에 우려를 표명하고 결의 제237호(1967), 결의 제252호(1968), 결의 제267호(1969), 결의 제271호(1969) 및 결의 제298호(1971)를 상기했다. 또한 이스라엘 국가와 국민에게 이러한 정착촌을 철거할 것을 촉구했다.

결의안은 모든 국가에 '점령지 내 정착촌과 관련하여 특별히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지원도 이스라엘에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

2. 2. 국제사회의 반발

결의 제446호(1979)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의 보고서를 본 후, 이사회는 위원회의 활동을 수용하고 칭찬하는 한편, 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이사회는 아랍 영토 내 이스라엘의 정착촌 정책에 우려를 표명하고 결의 제237호(1967), 결의 제252호(1968), 결의 제267호(1969), 결의 제271호(1969) 및 결의 제298호(1971)를 다시 언급했다. 또한 이스라엘 국가와 국민에게 이러한 정착촌을 철거할 것을 촉구했다.

결의안은 이스라엘이 헤브론 시장 파흐드 카와스마의 안전 보장 이사회 여행을 금지한 것을 규탄하고, 그가 유엔 본부로 여행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요청했다. 그리고 위원회에 고갈된 천연자원과 관련하여 점령지 상황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고, 현재 결의안의 이행을 감시하며, 1980년 9월 1일까지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요청하면서 결의안은 끝을 맺었다.

결의안은 모든 국가에 '점령지 내 정착촌과 관련하여 특별히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지원도 이스라엘에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

3. 결의 내용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 제446호(1979년)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위원회 위원단의 보고서를 참조한 후, 이스라엘이 협조하지 않는 점을 비판하였다. 또한 아랍 영토에 정착촌을 건설하는 이스라엘의 정책에 대해 우려를 표했고, 결의 제237호(1967년), 결의 제252호(1968년), 결의 제267호(1969년), 결의 제271호(1969년), 결의 제298호(1971년)를 다시금 상기하였다.

결의에서는 이스라엘이 점령한 예루살렘 등 아랍 영토에서 이스라엘의 국민 정착 및 이민을 추진하는 것은 불법적인 조치라고 규정했다. 또한 이스라엘 정부와 국민에게 정착촌을 해체할 것을 요청하고, 헤브론 시장 파드 카와스마의 유엔 본부 이동을 허가하라고 요청했다.

마지막으로, 점령지의 천연 자원 고갈에 대해 계속 조사하게끔 위원회에게 요청하고, 현 결의의 적용 사항을 주시하여 1980년 9월 1일까지 위원회로 결과를 보고할 것을 요청하며 마무리된다.

결의에서는 모든 국가에게 "이스라엘에게 점령지에 정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도움도 제공하지 않을 것"을 요청하고 있다.[3]

3. 1. 이스라엘의 정착촌 정책 비판

결의 제446호(1979년)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이사회 위원회의 보고서를 참조한 후,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위원회의 활동을 수용하고 칭찬하는 한편, 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이사회는 아랍 영토 내 이스라엘의 정착촌 정책에 우려를 표명하고 결의 제237호(1967년), 결의 제252호(1968년), 결의 제267호(1969년), 결의 제271호(1969년), 결의 제298호(1971년)를 다시 상기했다. 또한 이스라엘 국가와 국민에게 이러한 정착촌을 철거할 것을 촉구했다.

이스라엘이 점령한 예루살렘 등 아랍 영토에서 이스라엘 국민의 정착 및 이민 유도 등 권리 행사는 아무런 법적 근거가 없는 불법적인 조치이며, 이스라엘 정부 및 국민들에게 정착촌 해체를 요청했다.

모든 국가에 '점령지 내 정착촌과 관련하여 특별히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지원도 이스라엘에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3]

3. 2. 헤브론 시장 추방 사건

결의는 이스라엘이 헤브론 시장 파흐드 카와스마의 유엔 본부 이동을 금지한 것을 비판하고, 그가 유엔 본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요청했다.[3]

3. 3. 점령지 천연 자원 조사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위원회에 고갈된 천연자원과 관련하여 점령지 상황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고, 1980년 9월 1일까지 보고하도록 요청했다.[3]

3. 4. 국제사회의 책임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결의 제446호(1979년)에 따라 설립된 안전 보장 위원회 위원단의 보고서를 참조하고, 위원회의 활동을 수용하고 칭찬하는 한편, 위원회에 협조하지 않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이사회는 모든 국가에 '점령지 내 정착촌과 관련하여 특별히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지원도 이스라엘에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했다.[3] 이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446호에 이어 두 번째로 "정착촌"을 명시한 요청이 포함된 문구였으며, 이후 2012년 12월 26일 채택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 제2334호에서 다시 등장하며, 이스라엘에게 어떠한 지원도 하지 말 것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4. 미국의 입장 변화

미국 유엔 대사 도널드 맥헨리는 표결 직후 안전 보장 이사회에 미국은 이 결의를 강제가 아닌 권고로 해석하겠다고 통보했다.[4] 1980년 3월 3일 미국의 대통령 지미 카터는 이스라엘 정착촌을 해체하는 것이 "올바르지도 않고 실천적이지도 않다"며, "예루살렘은 분열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이 평화 협정에 명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미국은 예루살렘에 대한 모든 관련 사항을 없애는 것으로 알고 투표에 참여하였다고 밝혔다.[5] 1980년 3월 20일 미국 상원 외교 위원회에서 국무장관 사이러스 밴스는 "오해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하였다.[4]

4. 1. 결의안 지지

도널드 맥헨리 당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결의안 표결 직후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미국은 이 결의안을 권고적인 것으로 간주하며 구속력이 없다고 밝혔다.[1] 1980년 3월 3일 지미 카터 대통령은 이스라엘 정착촌 해체가 "적절하지도 않고 실현 가능하지도 않다"며 "예루살렘은 분할되지 않아야 하며" 그 지위는 평화 협상에서 결정되어야 한다고 밝히며 미국의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또한 예루살렘에 대한 모든 언급이 삭제된다는 이해하에 미국의 찬성 투표가 이루어졌다고 말했다.[2] 1980년 3월 20일 미국 상원 외교 위원회에 보낸 성명에서 사이러스 밴스 국무장관은 "오해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인정했다.[1]

4. 2. 입장 번복 논란

미국 유엔 대사 도널드 맥헨리는 표결 직후 안전 보장 이사회에 미국은 이 결의를 강제가 아닌 권고로 해석하겠다고 통보했다.[4] 1980년 3월 3일 미국의 대통령 지미 카터는 이스라엘 정착촌을 해체하는 것이 "올바르지도 않고 실천적이지도 않다"며, "예루살렘은 분열되어서는 아니 된다"는 점이 평화 협정에 명시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미국은 예루살렘에 대한 모든 관련 사항을 없애는 것으로 알고 투표에 참여하였다고 밝혔다.[5] 1980년 3월 20일 미국 상원 외교 위원회에서 국무장관 사이러스 밴스는 "오해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하였다.[4]

5. 영향 및 평가

(빈 문서)

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to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by Secretary of State Vance on US policy in the Middle East- 20 March 1980 http://mfa.gov.il/MF[...] 1980-03-20
[2] 웹사이트 Israeli Settlements and the Status of Jerusalem Statement on the U.S. Vote in the Security Council of the United Nations. http://www.presidenc[...] 1980-03-03
[3] 뉴스 What UNSCR 2334 Could Mean Beyond the United Nations, and How the Trump Administration Can Respond https://www.lawfareb[...] 2016-12-27
[4] 웹인용 Statement to the Senate Foreign Relations Committee by Secretary of State Vance on US policy in the Middle East- 20 March 1980 http://mfa.gov.il/MF[...] Israel Ministry of Foreign Affairs 1980-03-20
[5] 웹인용 Israeli Settlements and the Status of Jerusalem Statement on the U.S. Vote in the Security Council of the United Nations. http://www.presidenc[...] 1980-03-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