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인 (제무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인(劉演)은 한나라 경제의 후손으로, 신나라 말기에 반란을 일으켜 녹림군에 합류했다. 그는 스스로 주천도부(柱天都部)를 칭하고, 신시병, 평림병과 연합하여 세력을 키웠다. 남양의 사대부들이 그를 황제로 추대하려 했으나, 신시병 등의 반대로 유현이 경시제로 옹립되고 유인은 대사도가 되었다. 이후 경시제에게 배신당해 죽임을 당했지만, 동생 유수(光武帝)는 그를 기리고 제 무왕으로 추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도 (관직) - 설 (상나라)
    설은 상나라의 시조로, 제곡의 비 간적이 현조의 알을 삼켜 잉태하여 태어났다는 설화가 있으며, 우의 치수를 도와 순 임금으로부터 상나라 땅에 봉해지고 자(子)라는 성을 받았다고 전해지지만, 갑골문 연구에서는 실존 인물이 아닐 가능성도 제기된다.
  • 사도 (관직) - 기철
    기철은 고려 말 원나라 기황후의 오빠로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며 친원 세력을 구축해 국정을 농단했으나, 공민왕의 반원 정책으로 인해 처형당하며 고려의 자주적인 국가로의 전환에 기여했다.
  • 23년 사망 - 유흠
    유흠은 전한 말기부터 신나라 시대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왕망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여러 업적을 남겼으나, 왕망을 전복하려다 실패하여 비극적인 최후를 맞고 고문경 위작 의혹에도 휩싸였다.
  • 23년 사망 - 왕광 (신)
    왕광은 신나라 말기 왕망의 측근 왕순의 아들로 태사와 장군직을 계승하고 조역대장군에 임명되어 적미군 토벌에 나섰으나 실패 후 항복, 처형되었으며, 방종한 행실과 군사적 무능함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샹양시 출신 - 후한 광무제
    후한 광무제는 전한 경제의 후손으로 신나라 멸망 후 후한을 건국하여 중국을 통일했으며, 검소한 통치와 유교 진흥을 통해 국가를 안정시키고 주변 국가들과 관계를 맺었다.
  • 샹양시 출신 - 맹호연
    당나라의 시인 맹호연은 왕유와 함께 성당 시대 대표적인 산수시인으로, 샹양에 대한 애정을 시에 담아 벼슬에 뜻을 두었으나 이루지 못하고 자연을 벗 삼아 작품 활동에 전념하며 소박하고 섬세한 시풍으로 후대와 한국 문학에 영향을 주었다.
유인 (제무왕)
기본 정보
劉縯 (유연)
伯升 (백승)
생몰불명 ~ 23년
출생지형주남양군채양현
사망지불명
시대신나라 말 ~ 후한 초
주요 활동거병
봉호斉武王 (제무왕, 사후 추증)
관직춘릉군 수령 (舂陵軍頭領)
주천대장군 (柱天大将軍, 자칭)
대사도 (大司徒, 경시제 임명)
주군경시제
가족아버지: (유흠)
어머니: (번한도)
형제자매: 광무제 (유수), 유백희
자녀유장, 유흥

2. 생애

지황 3년(22년), 신나라 말기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유인은 한나라 부흥을 목표로 거병을 계획했다.[10] 매부 등신(鄧晨)에게는 신야에서, 광무제와 이통에게는 완현에서 거병하게 하고, 자신은 용릉(舂陵)의 자제들을 모아 거병했다. 스스로 주천도부(柱天都部)를 칭하고, 녹림당 산하 분파인 신시병·평림병과 연합했다.[11]

거병 초기, 전수대부(한나라의 남양태수에 해당) 진부·전수속정 양구사(梁丘賜)와의 전투에서 크게 패하여 누나 유원·아우 유중을 비롯한 종중 수십 명을 잃고, 처음에 확보했던 극양(棘陽, 현 신예현 북동)을 지켰다.[11] 유인이 패전하자 신시병과 평림병은 돌아가려 했으나, 유인은 아우 유수와 이통을 보내 녹림당의 또 다른 분파인 하강병의 대장 왕상을 불러와 직접 설득하여 하강병까지 연합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연합군 해산을 막았다.[11]

녹림당의 기세를 회복한 유인은 진부와 양구사가 치중을 둔 남향(藍鄕)을 습격해 치중을 모두 빼앗은 다음, 진부와 양구사를 공격해 무찌르고 추격하여 그들을 베었다.[12] 또한 신나라의 납언장군 장우질종장군 진무(陳茂)도 크게 무찌르고 완을 포위하면서 주천대장군(柱天大將軍)을 칭했다.[12]

뛰어난 능력과 높은 인망으로 황제로 추대될 뻔했으나, 신시병·평림병·하강병의 장수들은 유인을 통제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유인의 족형인 유현경시제로 옹립했다. 분쟁이 더 커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유인은 이를 받아들여, 경시 원년(23년), 대사도가 되고 한신후에 봉해졌다.[12] 5월에 완을 함락했고, 6월에는 광무제가 곤양 전투에서 신나라를 크게 무찔러, 형제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하지만 경시제와 그 측근들은 유인을 더욱 경계했다. 경시제는 장수들을 모아 유인을 죽일 계획을 세웠으나, 실행하지 못하고 모임이 끝났다. 유인은 번굉에게서 이 사실을 전해 들었으나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또한, 함께 거병했던 이일이 경시제의 측근이 되자, 광무제는 이일을 주의하라고 권했으나 유인은 듣지 않았다.

당시 유인 대신 경시제가 옹립된 것에 불만을 품은 사람이 많았는데, 그 중 유인의 종중에 있는 장수 유직이 공공연히 경시제에 반대했다. 유직의 용맹함을 꺼린 경시제는 병사 수천 명을 보내 유직을 사로잡고 죽이려 했다. 유인은 유직을 위해 경시제와 다투었고, 주유와 이일이 이를 기회로 유인도 함께 죽여버리자고 하여, 결국 경시제에게 사로잡혀 죽었다.[12]

2. 1. 가계 배경

유인(劉演)은 한나라 경제의 6대 후손이었다. 남돈현(南頓縣)의 현령이었던 유흠과 樊嫻都|범현도중국어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유흠은 거록도위(鉅鹿都尉)를 지낸 유회(劉回)의 아들이었고, 유회는 울림태수(鬱林太守)를 지낸 유외(劉外)의 아들이었다. 유외는 충릉절후(舂陵節侯)로 시해진 유매(劉買)의 아들이었다. 유매는 장사정왕으로 시해진 유발(劉發)의 아들이었다. 장사정왕은 경제의 아들이었다.

유흠은 범현도와 결혼하여 유인, 유중, 유수 세 아들을 두었다. 유흠이 일찍 죽었기 때문에 형제들은 숙부 유량의 손에서 자랐다. 젊은 시절에는 일족인 유가와 함께 장안에서 유학하며 『상서』, 『춘추』를 공부했다.[1]

2. 2. 반 신(反新) 거병

지황 3년(22년), 신나라 말기에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유인은 한나라 부흥을 목표로 거병을 계획했다.[10] 매부 등신(鄧晨)에게는 신야에서, 광무제와 이통에게는 완현에서 거병하게 하고, 자신은 용릉(舂陵)의 자제들을 모아 거병했다. 스스로 주천도부(柱天都部)를 칭하고, 녹림당 산하 분파인 신시병·평림병과 연합했다.[11]

거병 초기, 전수대부(한나라의 남양태수에 해당) 진부·전수속정 양구사(梁丘賜)와의 전투에서 크게 패하여 누나 유원·아우 유중을 비롯한 종중 수십 명을 잃고, 처음에 확보했던 극양(棘陽, 현 신예현 북동)을 지켰다.[11] 유인이 패전하자 신시병과 평림병은 돌아가려 했으나, 유인은 아우 유수와 이통을 보내 녹림당의 또 다른 분파인 하강병의 대장 왕상을 불러와 직접 설득하여 하강병까지 연합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연합군 해산을 막았다.[11]

녹림당의 기세를 회복한 유인은 진부와 양구사가 치중을 둔 남향(藍鄕)을 습격해 치중을 모두 빼앗은 다음, 진부와 양구사를 공격해 무찌르고 추격하여 그들을 베었다.[12] 또한 신나라의 납언장군 장우질종장군 진무(陳茂)도 크게 무찌르고 완을 포위하면서 주천대장군(柱天大將軍)을 칭했다.[12]

2. 3. 녹림군에서의 활약

지황 3년(22년) 11월,[10] 유인은 스스로 주천도부(柱天都部)를 이끌고 신야현의 호족이자 매부인 등신(鄧晨)과 완현의 호족이자 매부인 이통 및 그의 사촌동생 이일과 함께 거병했다. 유인은 신시병·평림병과 합류해 녹림당의 산하에 들어갔다. 거병 초기, 전수대부(한나라의 남양태수에 해당) 진부·전수속정 양구사(梁丘賜)와의 싸움에서 크게 패하여 누나 유원과 동생 유중을 비롯한 많은 가족을 잃었다.[11]

하지만 유인은 녹림군의 또 다른 분파인 하강병의 대장 왕상을 직접 설득하여 연합군에 합류시켰다.[11] 연합군의 힘을 회복한 유인은 진부와 양구사가 군수물자를 보관하던 남향(藍鄕)을 습격하여 군수물자를 모두 빼앗고, 진부와 양구사를 추격하여 죽였다.[12] 이후 납언장군 장우질종장군 진무(陳茂)가 이끄는 신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완을 포위하면서 주천대장군(柱天大將軍)을 자칭했다.[12] 왕망은 유인의 목에 5만 호의 식읍과 100000근의 황금을 걸었다.

2. 4. 경시제 옹립과 배신

뛰어난 능력과 높은 인망으로 황제로 추대될 뻔했으나, 신시병·평림병·하강병의 장수들은 유인을 통제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유인의 족형인 유현을 경시제로 옹립했다. 분쟁이 더 커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던 유인은 이를 받아들여, 경시 원년(23년), 대사도가 되고 한신후에 봉해졌다.[12]

녹림당의 기세를 회복한 유인은 전수대부 진부·전수속정 양구사(梁丘賜)를 죽이고, 신나라의 납언장군 장우질종장군 진무(陳茂)도 크게 무찌르고 완을 포위하면서 주천대장군(柱天大將軍)을 일컬었다.[12] 5월에 완을 함락했고, 6월에는 광무제가 곤양 전투에서 신나라를 크게 무찔러, 형제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12]

하지만 경시제와 그 측근들은 유인을 더욱 경계했다. 경시제는 장수들을 모아 유인을 죽일 계획을 세웠으나, 실행하지 못하고 모임이 끝났다.[12] 유인은 번굉에게서 이 사실을 전해 들었으나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 또한, 함께 거병했던 이일이 경시제의 측근이 되자, 광무제는 이일을 주의하라고 권했으나 유인은 듣지 않았다.[12]

당시 유인 대신 경시제가 옹립된 것에 불만을 품은 사람이 많았는데, 그 중 유인의 종중에 있는 장수 유직이 공공연히 경시제에 반대했다. 유직의 용맹함을 꺼린 경시제는 병사 수천 명을 보내 유직을 사로잡고 죽이려 했다. 유인은 유직을 위해 경시제와 다투었고, 주유와 이일이 이를 기회로 유인도 함께 죽여버리자고 하여, 결국 경시제에게 사로잡혀 죽었다.[12]

2. 5. 죽음

경시제와 그의 신하들은 유인을 죽일 계획을 세웠다. 장수들을 모았으나, 수의어사 신도건이 옥결([14])을 경시제에게 보였음에도 경시제는 실행하지 못하고 모임이 끝났다. 번굉이 신도건의 행위를 유인에게 말해주었으나 유인은 응답하지 않았다. 유인과 함께 거병한 이일은 당시에는 경시제의 측근으로 있어 광무제가 이일을 주의하도록 권했으나 이 역시 듣지 않았다.[12] 당초 유인 대신 경시제가 옹립된 것에 반감을 품고 있는 사람이 많았는데, 그 중 유인의 종중에 있는 장수 유직(劉稷)이 공공연히 경시제에 반대했다. 유직의 용맹함을 꺼린 경시제는 병사 수천 명을 보내 유직을 사로잡고 죽이려 했다. 유인은 유직을 위해 경시제와 다투었고, 이일·주유가 이를 기회로 유인도 함께 죽여버리자고 하여 경시제에게 사로잡혀 죽었다.[12]

3. 가계

劉縯|유인중국어은 제애왕 유장의 아들이며, 형제로는 북해정왕 유흥이 있는데 그는 유중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4. 평가 및 영향

유인은 강개한 성격으로 항상 비분강개하며 대의명분을 잘 알았다. 가산을 기울여 천하의 영웅호걸과 교류하고 의협심을 좋아하여 문객을 길렀다. 완을 공략했을 때 적장 잠팽을 포로로 잡았으나, 동료 장수들이 처형을 요구했음에도 "잠팽은 절개가 두터운 인물이다"라며 살려주는 도량을 보이기도 했다. 왕상과는 설득과 교섭을 거쳐 '''단금'''의 교류를 맺었다.

그러나 동생 유수가 항상 농사에 힘쓰는 모습을 보고, 이를 유방 (한 고조)의 형 유희에 비유하여 조롱하는 등 자신만만한 성격으로 인한 결점도 보였다. 유인 암살 계획이 발견되었음에도 유수 등의 간언을 웃어넘긴 것도 이 때문이었다. 그의 강개한 성격은 인망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춘릉에서 반 신(新) 거병을 일으켰을 때 유인이 거병했다는 소식을 듣자 민중들은 도망쳐 숨었지만, 유수가 오자 안도했다고 한다.

; 소설


  • 칭호켄 바이안 『광무대제전』 (2020년, 일본 라이트 노벨, 츄슈판)

5. 기타

유비가 '''유인'''의 후손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확실한 근거는 부족하다.[1] 여양왕 劉於|유어중국어는 유연의 막내 아들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신뢰성이 부족하다.[2]

참조

[1] 인용
[2] 서적 Book of the Later Han
[3] 서적 続漢書
[4] 서적 後漢書
[5] 서적 後漢書
[6] 서적 三国志
[7] 서적 秦漢財政収入の研究 汲古書院 1993
[8] 서적 項城県志
[9] 서적 易経
[10] 서적 후한서
[11] 서적 후한서
[12] 위키문헌 후한서
[13] 서적 동관한기
[14]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