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진동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1908년 평안남도 강서군에서 태어났다. 상하이 동제대학 의과대학에서 공부하며 한인학우회 활동을 했고, 흥사단 원동위원부, 상해한인청년당, 한국독립당, 민족혁명당 등에서 활동했다. 김구의 주치의를 맡았으며, 한국 광복군 군의처장과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을 역임했다. 광복 후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귀국했으나 상하이로 돌아갔으며, 이후 북한으로 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2007년 대한민국 정부는 그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중국 군인 - 안춘생
안춘생은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 군인, 정치인으로, 광복 후 육군 장성, 국회의원, 광복회 회장, 독립기념관장 등을 역임하며 국가에 기여했다. - 한국계 중국 군인 - 송호성
송호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하고 광복군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하여 초대 조선경비대 총사령관과 육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군의관 - 외젠 뒤부아
외젠 뒤부아는 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따라 인류와 유인원의 중간 고리를 찾고자 자바 원인을 발견하여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고생물학자이다. - 군의관 - 로버트 로스
로버트 로스는 아일랜드 출신 군인으로, 나폴레옹 전쟁과 1812년 전쟁에 참전하여 워싱턴 D.C.를 점령했으나 볼티모어 전투에서 전사했다. - 남포시 출신 - 노광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노광철은 조선인민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제2경제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고 인민무력부장에 임명되었으며, 북미정상회담 당시 김정은을 수행하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국무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 남포시 출신 - 백선엽
백선엽은 일제강점기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대장까지 오른 군인으로, 다부동 전투 등을 지휘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외교관과 장관을 역임하다가 2020년에 사망했다.
유진동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유진동 |
출생일 | 1908년 6월 10일 |
출생지 | 평안남도 강서군 |
사망일 | 미상 |
직업 | 의사 |
소속 | 임시정부 의정원 |
직책 | 의원 |
관련 활동 | 독립운동 |
독립운동 활동 | |
주요 활동 |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 역임 |
2. 생애
유진동은 1908년 6월 10일 평안남도 강서군 함종면 안암리에서 태어났다. 1920년대 중순 상하이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투신하였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중국과 북한에서 생활하다가, 2007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2. 1. 독립운동 투신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20년대 ~ 1945년)
1920년대 중순 상하이로 가서 동제대학 의과대학에 입학해 의학을 공부했고, 1928년 동제대학에서 한인학우회(韓人學友會)를 결성하여 서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1][4] 1931년 학우회 대표로 상하이에서 열린 한인각단체대표회의(韓人各團體代表會議)에 참석하였으며, 같은 해부터 1934년까지 흥사단 원동위원부(遠東委員部)에서 활동했다.[1][4]1932년 상해한인청년당(上海韓人靑年黨)을 조직하였으며,[4] 1933년에는 한국독립당 당원이 되었고,[1][5][6][7] 1936년에는 민족혁명당 당원으로 활동했다.[1][4] 이 무렵, 김구의 주치의로 발탁되었다. 백범일지에는 유진동에 대해 "상해 학생 시절부터 나를 특별히 따르던 동지"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후 김구를 따라 충칭으로 이동한 그는 1940년경 김구의 중매로 중국인 간호사였던 강영파(姜暎波)와 결혼했다. 1940년 동생 유평파와 함께 한국 광복군에 입대했으며 광복군사령부의 군의처장(軍醫處長)을 역임했다.[1][4] 1942년부터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의원(議員)으로 의정활동을 전개하였다.[1][2][3][4]
2. 2. 광복 이후 행적과 서훈 (1945년 ~ 현재)
1945년 8.15 광복 후, 김구 등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11월 23일 첫 번째 진으로 환국하였으나,[8] 곧 상하이로 돌아갔다. 1950년 장쑤성 난징홍십자회에서 내과 주치의로 근무했으나, 임시정부 활동 전력으로 인해 중국 공산당 치하에서 직장을 잃었다. 1957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로 입국하였고, 신병 치료를 위해 평양으로 갔다. 이후의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다.
앞줄 왼쪽부터: 장건상·조완구·이시영·김구·김규식·조소앙·신익희·조성환,
뒷줄 왼쪽부터: 유진동·황학수·성주식·김성숙·김상덕·유림·조경한·김붕준·유동열·김원봉·최동오.
2007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는 유진동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1][4][9]
참조
[1]
웹인용
공훈록
http://e-gonghun.mpv[...]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2007-08-15
[2]
웹인용
大韓民國臨時政府 建國綱領 修改에 關한 案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3]
웹인용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및 위원 명단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4]
웹인용
대한민국 경찰정신의 표상 참경찰 인물열전
https://www.police.g[...]
경찰청 (2019.12.18)
[5]
웹인용
한국독립당 제7차대회 會錄(1935. 2. 15)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6]
웹인용
한국독립당 당원명단(1944. 3. 15)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7]
웹인용
한국독립당 黨員 名簿(174人) -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獨立運動史資料集』 趙素昻篇(四), 1997, 71~73쪽.
http://db.history.go[...]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8]
웹인용
김구 선생 일행 환국
http://archive.histo[...]
서울신문
1945-11-23
[9]
저널
정부, 독립운동가 290명에 훈.포장 결정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7-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