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함경북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함경북도는 1896년 함경도가 남북으로 분할되면서 탄생했으며, 북쪽은 중국, 동쪽은 동해에 접해 있다. 고대에는 고구려와 발해의 영역이었고, 일제강점기에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1990년대 두만강 지역 개발 계획으로 주목받았으며, 현재는 라선특별시가 분리되었다. 2006년에는 핵실험이 실시된 지역이 위치해 있다. 주요 도시로는 청진시, 김책시, 회령시가 있으며, 1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산이 많고 평야가 적으며, 겨울철 기온이 낮아 "한반도의 시베리아"라고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경북도 - 육진 방언
    육진 방언은 조선 세종 때 함경북도 육진 지역에서 사용되던 한국어 방언으로, 중부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어 옛말의 특징을 간직하고 독자적인 방언 특징도 나타나 함경 방언 내에서도 이질적인 요소가 많아 '방언 섬'이라고도 불리지만, 현대에는 표준어 보급으로 그 특징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 함경북도 - 관남 지방
    함경남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남 지방은 마천령산맥의 남쪽에 위치하여 '함남'이라고도 불린다.
  • 1896년 설치 - 충청북도
    충청북도는 대한민국의 내륙도로,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기도 및 강원도와 접하며,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 신라의 경계 지역이었고, 현재는 3개의 시와 8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청 소재지는 청주시이다.
  • 1896년 설치 - 충청남도
    충청남도는 삼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변천을 겪었으며, 현재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수산업,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하여 해양관광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함경북도
지도 정보
함경북도 지도
함경북도 위치
기본 정보
이름함경북도
한자 표기咸鏡北道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Hamgyŏngbuk-to
로마자 표기 (개정 로마자 표기법)Hamgyeongbuk-do
별칭함북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관북
수도청진시
하위 행정 구역3시; 12군
시간대평양 시간
UTC 오프셋+9
ISO 코드KP-09
방언함경 방언, 육진 방언
정치
집권 정당조선로동당
당위원회 위원장리히용
인민위원회 위원장오경석
지리
면적20,345km²
인구
총인구 (2008년)2,327,362명
인구 밀도auto
기타

2. 역사

1896년에 조선 팔도의 하나였던 함경도가 남북으로 분할되면서 함경북도가 탄생했고, 일제 강점기에도 함경북도로서 계승되었다.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서 내륙의 일부가 량강도로 분할되었다.[1]

고대부터 조선 시대, 일제 강점기, 해방 이후 현재까지의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1990년대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에 의해서 두만강 지역 개발 계획이 제창되면서 이 지역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1] 나진·선봉이 경제 특구가 되면서 현재 이 지역은 라선특별시로서 함경북도에서 분리되어 있다.[1]

2006년 10월 9일, 핵실험이 실시된[1]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이 발표한 화대군, 김책시, 대한민국 외교부의 당초 발표 및 미국 발표에 따른 길주군 풍계리도 이 지역에 있다.[1]

2. 1. 고대 ~ 조선 시대

고대에는 고구려발해의 영역이었고, 발해 멸망 후에는 거란의 영역이었다가 여진의 영역이 되었다. 고려 말기 ~ 조선 초기에 걸쳐 영토 탈환으로, 두만강을 경계로 조선의 영역이 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함경북도청


일제강점기에 함경북도는 소련, 만주와 가까운 국경 지대로서 군사적 요충지였다. 나남에는 일본군 사단이 주둔해 있었고,[1] 일본의 대륙 침략 거점이자, 만주를 근거지로 하는 민족주의 단체나 공산주의계 유격대의 활동이 활발했던 곳이기도 하다.[1] 1930년대에는 일본과 만주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지역으로 주목받아 나진항 건설 등의 개발이 이루어졌다.[1] 제2차 세계 대전 말 소련 참전으로 소련군(적군)이 가장 먼저 침공한 곳이기도 하다.[1]

2. 3. 해방 이후 ~ 현재



1896년함경도가 남북으로 분할되면서 함경북도가 탄생하였고, 일제 강점기에도 함경북도로 이어졌다. 194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의해 내륙부 일부가 량강도로 분할되었다.

일제강점기소련, 만주에 가까운 국경 지대인 함경북도는 군사상의 요충지였고 나남에는 일본군 사단이 주둔해 있었다. 일본에서 중국 대륙으로 진출하는 전초기지였던 동시에, 만주를 근거지로 하는 민족주의 단체와 공산주의 계열 빨치산의 활동이 활발했던 곳이었다. 1930년대에 일본과 만주를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지역으로 주목받으면서, 라진의 항만 건설 등 개발이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소련 참전으로 소련군(赤軍)이 가장 먼저 침공한 지역이기도 하다.

1990년대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에 의해 두만강 지역 개발 계획이 제안되면서 이 지역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나진·선봉이 경제특구가 되면서 현재 이 지역은 라선특별시로 함경북도에서 분리되어 있다.

2006년 10월 9일, 핵실험이 실시된 대한민국 국가정보원이 발표한 화대군, 김책시, 대한민국 외교부의 당초 발표 및 미국 발표에 따른 길주군 풍계리도 이 지역에 있다.[1]

3. 지리

북쪽은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하고, 서쪽은 량강도, 남쪽은 함경남도와 접한다. 동쪽은 일본해, 북동쪽은 라선특별시와 접한다.

일반적으로 이 많고 평지가 적어 경지로 적합한 곳이 적다. 또한 산악 지형과 함께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은 매우 춥고, 가 매우 적은 지역이다. 따라서 식량 부족이 국내에서 특히 심각한 곳이다. 무산, 경흥군석탄(갈탄)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며, 청진시김책시에서는 중공업이 발달하였다. 이 도의 북동쪽 끝 두만강 하구 주변은 중국 동북 지방(만주) 내륙부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이며, 1990년대에는 라진·선봉이 경제특구가 되었다. 현재 이 지역은 라선특별시로 함경북도에서 분리되어 있다.

일본의 동북 지방 북부에서 홋카이도 남부와 같은 위도에 위치해 있다.

4. 기후

함경북도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차이를 보이나, 러시아 시베리아 대륙의 찬 공기와 백두산 일원, 함경산맥, 개마고원, 백무평원 등 해발고도가 높은 고산지형의 영향으로 겨울이 매우 춥고, 여름도 서늘한 편이기에, "한반도의 시베리아"라고도 불린다. 한국의 알프스라 불리는 함경산맥이 도의 중앙부를 가로질러 두만강 연안 지역과 동해안 지역의 경계선이 된다.

함경북도는 아한대가 포함되어 있으며, 지역에 따라 겨울철 기후가 달라, 백두산 등 북서부 내륙에는 대기가 메마르고 매우 차가운 바람이 불며, 동해안 등 동남부에는 북서부에 비해 온화하나, 위도 관계상 기온이 낮음과 동시에 습도도 매우 높아, 한반도 전역 중 울릉도 다음으로 눈이 많이 내린다.

함경북도는 지형상 3기후구로 구분된다.


  • ① 내륙 고원지대―강수량이 적고, 기온이 가장 낮고, 겨울 기간이 길고, 추위가 심한 내륙성 기후 지역이다.
  • ② 해안지대―남과 북의 강수량 차이는 약간 있으나 기온의 차는 적고, 한류와 난류의 영향으로, 4월에서 7월에 짙은 안개가 발생한다.
  • ③ 두만강 중·하류 지대―내륙 지방이므로 대륙성 기후이나 중간성 기후이다.


전체적으로 서리 내리는 기간이 이르고, 강물이 어는 기간이 가장 길다(두만강이 4개월). 건조(600mm-700mm)하고 한서의 차가 심한 기후이다. 일반적으로 이 많고 평야가 적어 농지로 적합한 곳이 적다. 또한 산악 지형과 함께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겨울은 매우 춥고, 가 매우 적은 지역이다.

5. 행정 구역

함경북도는 3개의 시와 12개의 군으로 나뉜다.[5] 이들은 다시 농촌 지역의 리와 도시의 동으로 세분되며, 일부 도시는 시 아래 행정구역인 구역으로 나뉘기도 한다. 북한은 여러 차례 행정구역을 개편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옛 라진시를 라진군으로, 성진시와 학성군을 각각 김책시와 김책군으로 고쳤다.
  • 청진시는 라남시·부령군을 편입하여 직할시로 승격시키고, 김책군을 김책시에 합쳤다.
  • 라진군과 웅기군의 일부를 통합하여 라진시를 신설했으며, 청진직할시를 일반시로, 영안군을 명간군으로 고쳤다.
  • 1974년 5월에는 유선군이 회령군에, 종성군이 분리되어 온성군과 회령군에 합쳐지고 유선군과 종성군은 폐지됐다.
  • 1977년 9월에는 경원군을 새별군으로, 경흥군을 은덕군으로 고쳤으며, 청진시가 무산군과 경성군을 흡수하여 직할시가 되었다.
  • 그 뒤 명간군이 화성군으로, 웅기군이 선봉군으로 고쳐지고, 청진직할시가 다시 폐지되어 함경북도에 속하고 회령군이 회령시로, 라진시·선봉군 및 은덕군의 일부가 통합돼 라선직할시로 승격됐다.

5. 1. 시

5. 2. 군

군명인구 (2008년)
경성군105,909명
경원군107,237명
경흥군89,244명
길주군139,932명
명간군99,557명
명천군65,797명
무산군123,271명
부령군48,958명
어랑군87,757명
연사군37,876명
온성군127,893명
화대군67,677명



6. 분포 인종

함경북도는 중국, 러시아와 국경선을 접하고 있어 중국인과 러시아인이 많다. 함경북도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한민족이다. 다만, 조선족을 포함한 다수의 중국인러시아인이 친선 교류 및 경제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하거나 거주, 왕래하고 있다.

7. 문화

함경북도는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현재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대중문화 속 함경북도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7. 1. 대중문화 속 함경북도


  • 2017년 대한민국 액션 코미디 영화 공조의 주요 악당인 차기성(김주혁 분)은 함경북도 주요 도시 중 하나인 회령 출신으로 나온다.
  • 넷플릭스의 대한민국 스릴러 시리즈 오징어 게임의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인 강새벽(정호연 분)은 함경북도 출신 탈북자로, 동생 강철과 함께 대한민국으로 탈북하기 전에 그곳에서 살았다.[6]

8. 관광

함경산맥이 해안에 병풍처럼 뻗쳐 있어 곳곳에 해식애와 백사 청송의 아름다운 해안이 발달하여 절경을 이루고 있다. 좋은 해수욕장이 많으며, 영봉 백두산을 비롯하여 관모봉과 무산고원은 웅장한 등산지가 되고 있다. 예로부터 함북의 금강이라고 불리는 칠보산은 알칼리 조면화산암 지괴가 보촌강의 침식으로 기암 준봉이 발달하여 명산을 이루었다. 산중에 유서 깊은 개심사가 있다.[7] 고참역에서 동방 16km 지점에 있다. 또한 함경선 주을역 서부 10km 지점 일대에는 여러 곳에 온천이 분출되고 있는데, 유명한 주을온천이 바로 이곳이다.[7]

9. 자연 공원

10. 교육

함경북도에는 여러 대학교와 전문학교가 있다.

10. 1. 대학교


  • 청진의과대학
  • 라선해운대학
  • 청진농업대학
  • 청진공업대학

참조

[1]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of North Korean Leadership https://www.unikorea[...] Political and Military Analysis Division, Intelligence and Analysis Bureau; Ministry of Unification 2018-01-00
[2] PDF Final national census report https://unstats.un.o[...] 2022-03-00
[3] 뉴스 North Hamgyong Province convenes meeting to address food shortages https://www.dailynk.[...] Daily NK
[4] 웹사이트 The flaws and biases in North Korean studies https://www.nknews.o[...] 2016-07-08
[5]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6] 뉴스 Jung Ho-yeon of 'Squid Game' on dark twists in series, light mood on set https://www.nbcnews.[...] 2021-10-14
[7]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00-0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