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지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酉)는 십이지의 열 번째 지지이며, 닭을 상징한다. 1933년부터 2101년까지의 닭띠 해는 오행의 속성을 가지며, 유년은 서력 연도를 1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1인 해를 의미한다. 유는 금(金)에 해당하며 음(陰)의 속성을 지니고, 가을을 상징하며, 시간으로는 오후 5시에서 7시 사이를, 방위로는 서쪽을 나타낸다. 한국 문화에서 닭은 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져 액운을 쫓고 복을 불러오는 의미를 지니며, 일본에서는 11월에 유노이치 축제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닭 관련 문화 -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고대부터 이어진 철학적 논쟁으로, 과학적으로는 닭의 진화와 알 껍데기 형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닭 또는 달걀 중 무엇이 먼저인지에 대한 다양한 결론을 제시한다. - 닭 관련 문화 - 닭은 왜 길을 건너갔을까?
1847년 미국에서 시작된 수수께끼 "닭은 왜 길을 건너갔을까?"는 단순한 유머에서 출발하여 시대에 따라 다양한 변형과 풍자를 담아 사회적 현상과 문화를 반영하는 코드로 발전해왔으며, 대중문화 전반과 한국 사회에서 정치 및 사회 문제 풍자에 활용된다. - 간지 - 병오
병오는 육십간지 중 43번째로, 천간과 지지 모두 화의 기운을 가지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46인 해이고, 일본에서는 병오년생 여성에 대한 미신으로 출산율이 급감하는 현상이 있었으며, 육십간지 중 43번째 날이기도 하다. - 간지 - 병신
병신은 육십간지 중 33번째 해로 붉은 원숭이의 해를 의미하며, 서력 연도를 60으로 나눈 나머지가 36인 해에 해당하고, 일진이 병신인 날과 음력 7월을 병신의 달이라고 한다.
유 (지지) |
---|
2. 연도와 오행
닭띠 해는 12년 주기로 돌아오며, 계유, 을유, 정유, 기유, 신유와 같이 십간과 십이지를 조합한 간지로 표현된다. 각 닭띠 해는 오행에 따라 다른 속성을 가진다.[3]
2. 1. 오행별 닭띠 해
다음은 1933년부터 2101년까지 오행별 닭띠 해의 목록이다.[3]
닭(酉)은 십이지 중 하나로 여러 상징과 속성을 가진다. 유년(酉年)은 서력 연도를 12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1인 해를 가리키며, 일본에서는 신력 1월 1일부터 시작하지만 중국에서는 구력 1월 1일부터 시작한다. 유년은 '작악(作噩)'이라고도 불린다.[5] 유월(酉月)은 음력 8월(대략 양력 9월)을 의미한다. 묘유선(卯酉線), 취타(取舵) 등의 단어는 유(酉)에서 유래되었으며,[5] 인터넷 신조어에서는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를 나타낼 때 유(酉)가 사용되기도 한다.
3. 상징 및 속성
3. 1. 기본 속성
지지 | 酉(유) |
---|---|
오행 | 금 |
음양 | 음 |
신체 | 뼈 |
궁 | 직업과 명성 |
행운의 숫자 | 5, 7, 8; 피해야 할 숫자: 1, 3, 9 |
행운의 꽃 | 칼라, 봉선화, 계관화 |
행운의 색깔 | 금색, 갈색, 노란색; 피해야 할 색깔: 흰색, 녹색 |
계절 | 가을 |
3. 2. 시간과 방위
유시(酉時)는 오후 5시에서 7시 사이를 가리키며, 해질녘인 오후 6시(저녁 6시)를 '''정유(正酉)'''라고 부르기도 한다.[5] 유(酉)는 방향에서 서쪽(西)을 나타낸다.[5]4. 한국 문화 속 닭
한서 율력지에 따르면 유(酉)는 “緧”(시우: “쪼그라들다”라는 의미)로, 과실이 매우 성숙한 상태를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후에 기억하기 쉽도록 닭이 배정되었다.[6]
유(酉)는 역(曆)에서 “날 읽는 유”라고도 불리며, “새”를 나타내는 “隹(옛 새)”와 구별된다. “酉”에는 “술”이라는 의미도 있다.[6]
매년 11월 유의 날은 “일의 유”, “이의 유”라고 불리며 유노이치라는 축제가 거행된다.[6]
증권격언에 “진사천정(辰巳天井), 오미내리(午尻下がり), 미인내(未辛抱), 신유소동(申酉騒ぐ). 술은 웃고(戌は笑い), 해는 굳고(亥固まる), 자는 번영하고(子は繁栄), 축은 발목이 걸리고(丑はつまずき), 인은 천리를 달리고(寅千里を走り), 묘는 뛰어오른다(卯は跳ねる)”가 있으며, 유년(酉年)의 주식 시장은 속설로 소란스러워진다고 한다.[6]
5. 유(酉)를 포함한 간지
6. 기타
일본에서는 매년 11월 유의 날에 유노이치라는 축제가 열린다.[6] 증권가에서는 "신유소동(申酉騒ぐ)"이라 하여 닭띠 해에 주식 시장이 소란스러워진다는 속설이 있다.[6] 서일본여객철도(JR 서일본)를 酉로 줄여 표현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ibetan Astrology – Table of Year-Animal-Element
http://ahmc.ngalso.n[...]
AHMC
2014-01-28
[2]
뉴스
Tamu (Gurung) Losar Festival
http://ecs.com.np/cu[...]
ESC Nepal
2010-07-11
[3]
웹사이트
Chinese Zodiac – Rooster (Chicken)
https://www.yourchin[...]
Your Chinese Astrology
2018-03-14
[4]
뉴스
Year of the Rooster – 2017
http://www.georgetan[...]
2017-06-09
[5]
웹사이트
古代天干地支的别称及解释_书法欣赏_词典网
https://www.cidianwa[...]
2024-03-08
[6]
간행물
金融市場NOW Financial Market Review vol.121
https://www.nam.co.j[...]
ニッセイアセットマネジメント
2020-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