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보병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병과 초급 장교 양성을 담당하는 교육 기관이다. 1949년 육군본부 직할로 재설립되어 광주 상무대 지구를 거쳐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이전했다. 고등군사반(중대장 보직), 초등군사반(소대장 보직), 예비역 과정 등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나를 따르라"를 표어로 사용한다. 육군보병학교장은 상무대 통합방호사령관을 겸임하며, 소장급 보직으로 전역을 앞둔 소장이 주로 보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성군의 학교 - 육군기계화학교
    육군기계화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 부대 장교, 부사관, 특기병을 교육하는 학교로, 상무대에 위치하며 육군보병학교 등과 함께 운영되고, 기갑 병과로 통합하는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장성군의 학교 - 육군공병학교
    육군공병학교는 194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국책사업에 기여한 대한민국 육군의 교육기관으로, 현재 전라남도 장성군에서 공병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도 참여한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 대한민국 육군 학교 - 육군학생군사학교
    육군학생군사학교는 대한민국 육군의 장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학군사관후보생을 포함한 여러 과정의 장교 및 준사관 후보생 양성 교육을 담당하며, 초급 장교 육성과 전군 예비군 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육군 장교 양성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1947년 설립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1947년 설립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육군보병학교 (대한민국)
기본 정보
육군보병학교 휘장
이름육군보병학교
원어 이름陸軍步兵學校
활동 기간1949년 7월 29일
병과보병
종류군사학교
역할교육
명령 체계육군교육사령부
본부전라남도 장성군
별명상무대
표어나를 따르라
적색 청색 황색
군가보병학교가
참전한국 전쟁
지휘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표창수 (육사 47기)
지휘관 명칭학교장
영어 이름Army Infantry School

2. 역사

1947년 미군정청 산하 조선경비보병학교, 국내경비부 산하 통위부 보병학교 및 육군종합행정학교가 서울에 설치되었다. 1949년에는 국방부 보병학교, 국방부 호국군행정학교, 호국군사관학교, 육군호국사관학교가 서울에 설치되었다. 같은 해, 이 학교들은 모두 육군본부 직할로 통폐합되어 경기도 시흥에서 '''육군보병학교'''로 재설립되었다. 이후 육군보병학교는 광주 상무대 지구를 거쳐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이전하였다.

1949년에는 경상북도 대구에 국방부 헌병학교, 경기도 시흥에 육군헌병학교, 서울에 육군정보학교, 충청남도 대전에 육군정훈학교, 전라남도 광주에 육군행정학교, 전라남도 장성에 육군경리학교, 서울에 육군부관학교가 설립되었다.

1950년 3월 1일, 경기도 시흥에 제병협동본부 보병학교와 서울에 국방부 여자배속장교훈련학교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8월 1일에는 서울에 육군종합학교가 설립되었다. 육군종합학교는 한국 전쟁 당시 육군전시사관학교 역할을 한 임시군사교육기관으로 '육종'이라 약칭되었다. 1952년 8월 1일, 제병협동본부 보병학교와 육군종합학교는 육군보병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58년 8월 1일, 국방부 여자배속장교훈련학교와 국방육군헌병학교가 육군보병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64년 8월 15일에는 서울에 중앙정보학교가 설립되었다. 1968년 10월 15일, 경기도 고양에 육군종합행정학교가, 경상남도 창원에 육군2사관학교(일반군사학반과 보병학반 설치)가, 경상북도 영천에 육군3사관학교가 각각 설립되었다.

1969년 3월 1일, 중앙정보학교가 육군종합행정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70년 10월 1일에는 육군정보학교, 육군부관학교, 육군고급부관학교, 육군정훈학교, 육군행정학교, 육군경리학교가 모두 육군종합행정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72년 4월 26일, 육군2사관학교 보병학반이 육군보병학교에 통폐합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47년 ~ 1949년)

1947년 미군정청 산하 조선경비보병학교, 국내경비부 산하 통위부 보병학교 및 육군종합행정학교가 서울에 설치되었다. 1949년에는 국방부 보병학교, 국방부 호국군행정학교, 호국군사관학교, 육군호국사관학교가 서울에 설치되었다. 같은 해, 이 학교들은 모두 육군본부 직할로 통폐합되어 경기도 시흥에서 '''육군보병학교'''로 재설립되었다. 이후 육군보병학교는 광주 상무대 지구를 거쳐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이전하였다.

1949년에는 경상북도 대구에 국방부 헌병학교, 경기도 시흥에 육군헌병학교, 서울에 육군정보학교, 충청남도 대전에 육군정훈학교, 전라남도 광주에 육군행정학교, 전라남도 장성에 육군경리학교, 서울에 육군부관학교가 설립되었다.

2. 2. 한국 전쟁과 그 이후 (1950년 ~ 1972년)

1950년 3월 1일, 경기도 시흥에 제병협동본부 보병학교와 서울에 국방부 여자배속장교훈련학교가 설립되었고, 같은 해 8월 1일에는 서울에 육군종합학교가 설립되었다. 육군종합학교는 한국 전쟁 당시 육군전시사관학교 역할을 한 임시군사교육기관으로 '육종'이라 약칭되었다. 1952년 8월 1일, 제병협동본부 보병학교와 육군종합학교는 육군보병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58년 8월 1일, 국방부 여자배속장교훈련학교와 국방육군헌병학교가 육군보병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64년 8월 15일에는 서울에 중앙정보학교가 설립되었다. 1968년 10월 15일, 경기도 고양에 육군종합행정학교가, 경상남도 창원에 육군2사관학교(일반군사학반과 보병학반 설치)가, 경상북도 영천에 육군3사관학교가 각각 설립되었다.

1969년 3월 1일, 중앙정보학교가 육군종합행정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70년 10월 1일에는 육군정보학교, 육군부관학교, 육군고급부관학교, 육군정훈학교, 육군행정학교, 육군경리학교가 모두 육군종합행정학교에 통폐합되었다. 1972년 4월 26일, 육군2사관학교 보병학반이 육군보병학교에 통폐합되었다.

3. 교육 과정

상무대 내 있는 타 병과학교와는 달리 부사관과 사병[4] 후반기 과정은 없으며 보병 병과 부사관은 육군부사관학교(특전부사관은 특전교육단)에서 초/중/고급반 교육을 담당한다.


  • 장교 과정
  • * 고등군사반: 중대장 보직을 앞둔 보병 대위 및 대위 진급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다. 고군반은 성적에 따라 자대가 배치된다. 상, 중상, 중으로 구분되며 중 성적을 받으면 상비사단 일반여단으로 갈 수 없다. 중 성적을 받으면 갈 수 있는 부대가 향토사단, 특전사[5], 사단 직할 보충중대[6]밖에 없다.
  • * 초등군사반: 소대장 보직을 앞둔 갓 임관한 보병 소위를 대상으로 한다.
  • ** 상비사단반
  • ** 향토사단/육군직할부대반
  • ** 특전/특공/수색부대반
  • ** 화기반
  • 예비역과정
  • * 예비역 장교 과정
  • * 예비역 부사관 과정

3. 1. 장교 과정


  • 고등군사반: 중대장 보직을 앞둔 보병 대위 및 대위 진급 예정자를 대상으로 한다. 고군반은 성적에 따라 자대가 배치된다. 상, 중상, 중으로 구분되며 중 성적을 받으면 상비사단 일반여단으로 갈 수 없다. 중 성적을 받으면 갈 수 있는 부대가 향토사단, 특전사[5], 사단 직할 보충중대[6]밖에 없다.
  • 초등군사반: 소대장 보직을 앞둔 갓 임관한 보병 소위를 대상으로 한다.
  • ** 상비사단반
  • ** 향토사단/육군직할부대반
  • ** 특전/특공/수색부대반
  • ** 화기반
  • 예비역과정
  • * 예비역 장교 과정
  • * 예비역 부사관 과정

3. 1. 1. 고등군사반 (OAC)

중대장 보직을 앞둔 보병 대위 및 대위 진급 예정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과정이다. 고등군사반 성적은 자대 배치에 영향을 미치며, 상, 중상, 중으로 구분된다. 중 성적을 받으면 상비사단 일반여단으로 배치될 수 없고, 향토사단, 특전사[5], 사단 직할 보충중대[6] 등으로 배치된다.

3. 1. 2. 초등군사반 (OBC)

소대장 보직을 앞둔 갓 임관한 보병 소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과정이다. 세부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상비사단반
  • 향토사단/육군직할부대반
  • 특전/특공/수색부대반
  • 화기반

3. 2. 예비역 과정

예비역 장교 과정과 예비역 부사관 과정이 있다.[4] 보병 병과 부사관은 육군부사관학교(특전부사관은 특전교육단)에서 초/중/고급반 교육을 담당한다.

4. 지휘관

육군보병학교장은 소장급 보직으로서 전역을 앞두거나 중장 진급에 실패한 소장들이 거의 마지막으로 취임하게 되는 자리이기 때문에 통상 전역대기직으로 평가되고 있다. 1999년 정수성 육군 보병학교장이 중장으로 진급한 이래 육군보병학교장이 중장으로 진급한 사례가 아예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군보병학교장은 대한민국 국군 장성급 장교 보직 중에서 가장 한직이다.

주로 장성급 장교의 자질은 없지만 모종의 사유로 소장까지 진급한 인원이거나 승승장구하던 장성이지만 보직해임을 당해서 보병학교장으로 좌천되는 인원 등 대한민국 국군에서 더 이상 진급할 가능성이 희박한 육군 보병 소장을 전역하기 직전에 보직시킨다.

육군기계화학교, 육군공병학교, 육군포병학교 등과 함께 '''상무대'''로 통칭되기 때문에 육군보병학교장은 상무대 통합방호사령관을 겸직한다. 상무대 통합방호사령관은 전시 상황 (조선인민군이 전라북도 전주시 이남까지 진출한 경우)에 중장으로 격상되지만, 부대 위치가 전라남도 장성군인 탓에, 사실상 유령 보직이다.

2000년 1월 1일 이래로 현재까지 육군보병학교장 중에서 중장으로 진급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이런 보직의 특성 상 다른 보직이 공석이 되면 육군보병학교장이 직무대리로 파견가는 일이 많은데 일례로 이전 육군보병학교장 중 한 명인 박원호 소장(육사 46기)은 손식 중장(육사 47기)이 육군특수전사령관 임기 도중 대장에 진급해서 지상작전사령관으로 영전하자 육군특수전사령관 직무대리로 파견갔다.

5. 교육 운영 체제

육군기계화학교, 육군공병학교, 육군포병학교 등과 함께 '''상무대'''로 통칭된다. 초급 보병 장교를 교육하며, "나를 따르라"라는 표어를 사용한다.[3] 초급간부의 산실이자 대한민국 국방의 중추로 기능해왔다는 평가가 있다.[3]

주둔지 기준 제주도 이외의 모든 군부대 중 최후방에 위치하여 복무 여건은 군대라고 말하기가 민망할 정도로 매우 양호하다. 천당에 비견되는 수준으로 군기가 약하다. 보병 장교소위로 임관하자마자 이곳으로 바로 입교하는 신임장교 지휘참모과정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사 모두를 통틀어 가장 편안한 군복무로 어지간한 일반 대학교만큼 편안하고 널럴하다.

참조

[1] 웹사이트 육군보병학교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한국육군보병학교 https://terms.naver.[...]
[3] 저널 "나를 따르라"는 단순한 구호가 아니다 - 보병학교, '전투 전문가' 육성 현장을 가다 http://www.army.mil.[...]
[4] 위키
[5] 일반텍스트
[6]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