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정수 (축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정수는 북한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선수 시절에는 4.25체육단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지도자로서 2003년 북한 A대표팀 감독을 맡아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진출을 이끌었으며, 2010년 AFC U-19 챔피언십 우승,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2014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조동섭
    조동섭은 북한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1986년 킹스컵 우승에 기여했고, 감독으로서 2005년 FIFA U-17 월드컵 8강, 2006년 AFC U-20 아시안컵 우승 등을 이끌었으며, 북한 대표팀 감독 및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김영준 (축구인)
    김영준은 은퇴한 북한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선수 시절 2005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와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 득점하고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으며, 지도자로서 평양시체육단 감독과 북한 A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감독 - 조동섭
    조동섭은 북한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1986년 킹스컵 우승에 기여했고, 감독으로서 2005년 FIFA U-17 월드컵 8강, 2006년 AFC U-20 아시안컵 우승 등을 이끌었으며, 북한 대표팀 감독 및 수석 코치를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축구 감독 - 김광민 (1962년)
    김광민은 1987년 킹스컵 우승으로 '체육 영웅' 칭호를 받은 북한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현재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FIFA 여자 월드컵 진출 및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1992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 김광민 (1962년)
    김광민은 1987년 킹스컵 우승으로 '체육 영웅' 칭호를 받은 북한의 전직 축구 선수이자 현재 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FIFA 여자 월드컵 진출 및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1992년 AFC 아시안컵 선수 명단 - 김종성 (1964년)
    김종성은 일본 J리그와 J3리그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동하고 재일조선축구단 선수 시절 북한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FC 류큐 감독 시절 J3리그 우승 및 J2리그 승격에 기여한 축구인이다.
윤정수 (축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윤정수 (2012년)
2012년의 윤정수
출생일1962년 1월 3일
출생지평양, 북한
포지션미드필더
선수 경력
국가대표 연도1985–1993
국가대표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대표 출장36
국가대표 골5
감독 경력
감독 연도2003–2005
감독 클럽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감독 연도2008–2010
감독 클럽북한 U20
감독 연도2011–2014
감독 클럽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감독 연도2014–2016
감독 클럽북한 U23
감독 연도2019–2023
감독 클럽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메달
남자 축구축구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감독)
대회AFC U-19 챔피언십
메달2010 우승
대회AFC 챌린지컵
메달2012 우승
선수 정보 (윤정수 (축구인) 문서)
포지션수비수
메달 (윤정수 (축구인) 문서)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축구
메달1990 베이징 은메달 단체전
아시안 게임아시안 게임 축구 (감독)
메달2014 인천 은메달 단체전

2. 선수 시절

윤정수는 선수 시절 4.25체육단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독사"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거친 대인 마크와 남다른 승부 근성으로 유명했다.[1]

1989년 10월 16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대한민국과의 경기에 선발 출전했으나, 황선홍의 결승골로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했다.[1] 1990년 아시안 게임에서 북한 대표팀 소속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1]

같은 해 10월 11일 릉라도 5월 1일 경기장에서 열린 남북통일축구대회에서는 김주성에게 선제골을 내줬지만,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를 이끌었다.[1]

1992년 AFC 아시안컵 본선에 참가했으나, 1무 2패로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

2. 1. 주요 국제 경기 득점

득점날짜장소상대팀점수결과대회
11990년 10월 3일중국 베이징Thailand|태국영어1–01–01990년 아시안 게임


3. 지도자 경력

2003년 북한 A대표팀 감독을 맡아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태국, 아랍에미리트, 예멘을 상대로 3승 2무 1패의 좋은 성적을 거두며 12년 만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 예선 진출을 이끌었다. 그러나 최종 예선에서는 일본, 이란, 바레인에 5연패를 당하며 탈락했고, 일본과의 5차전 직후 경질되었다. 이후 김명성 감독이 바레인과의 최종전을 맡아 3-2로 승리했다.[1]

2008년부터 2010년까지 북한 U-20 대표팀과 북한 U-23 대표팀 감독을 겸임하며 2010년 AFC U-19 챔피언십 우승, 2010년 아시안 게임 8강 진출을 이끌었다. 2011년 북한 A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하여 2012년 AFC 챌린지컵에서 북한의 AFC 주관 대회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 2014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북한 U-23 대표팀 감독을 맡아 24년 만의 아시안 게임 은메달을 획득했다.[1]

2016년 하계 올림픽 예선을 겸한 2016년 AFC U-23 챔피언십에서 북한을 사상 첫 AFC U-23 아시안컵 8강에 진출시켰지만, 8강에서 홈팀 카타르에 1-2로 패하며 1976년 이후 40년 만의 올림픽 본선 진출은 무산되었다. 2019년 AFC 아시안컵에서 김영준 감독이 부진한 성적에 대한 책임을 지고 경질된 후 북한 A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했다.[1]

복귀 후 2022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 5경기에서 2승 2무 1패로 팀을 이끌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아시아 축구 연맹이 H조 잔여 경기를 모두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치르기로 결정하면서 기권을 선언했고, 이 기록들은 모두 무효화되었다.[1]

4. 수상

구분내용
선수1990년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은메달
지도자AFC U-20 아시안컵 우승


4. 1. 선수

4. 2. 지도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