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AFC 챌린지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AFC 챌린지컵은 네팔에서 개최되었으며, 예선과 본선으로 진행되었다. 예선에서는 20개 팀이 참가하여 본선 진출팀을 가렸고, 본선에는 8개 팀이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상위 2개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투르크메니스탄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필리핀은 3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의 강세를 보여주는 동시에, 동남아시아 축구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팔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1년 AFC 프레지던트컵
2011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클럽들이 참가하는 클럽 축구 대회로, 중화민국 가오슝시에서 모든 경기가 개최되었으며 타이완 파워 컴퍼니 FC가 우승했고, 팔레스타인 클럽이 처음 참가, 최우수 선수상은 천포량, 득점왕은 허밍찬이 수상했다. - 네팔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5년 AFC 프레지던트컵
2005년 AFC 프레지던트컵은 네팔 카트만두에서 8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레가르 타다즈 투르순조다가 도르도이 디나모를 꺾고 초대 우승을 차지했다. - AFC 챌린지컵 - 2010년 AFC 챌린지컵
2010년 AFC 챌린지컵은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어 북한이 투르크메니스탄을 꺾고 우승했으며, 인도, 타지키스탄 등 8개 팀이 참가했고 량용기가 득점왕과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AFC 챌린지컵 - 2008년 AFC 챌린지컵
2008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 주최로 인도에서 20개국이 참가한 국제 축구 대회로, 시드 배정 및 예선을 거쳐 본선이 진행되었으며 인도가 우승, 박송철이 득점왕, 바이춘 부티아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2012년 AFC 챌린지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12년 AFC 챌린지컵 |
다른 이름 | AFC 챌린지 컵 축구-2012 |
![]() | |
개최국 | 네팔 |
개최 기간 | 2012년 3월 8일 ~ 3월 19일 |
참가 팀 수 | 8 |
개최 도시 수 | 1 |
경기장 수 | 2 |
결과 | |
우승팀 | 북한 |
우승 횟수 | 2 |
준우승팀 | 투르크메니스탄 |
3위팀 | 필리핀 |
4위팀 | 팔레스타인 |
통계 |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42 |
총 관중 수 | 50000 |
최다 득점 선수 | 필 영허즈번드 (6골) |
최우수 선수 | 박남철 |
관련 대회 | |
이전 대회 | 2010 |
다음 대회 | 2014 |
2. 대회 개최지 선정 및 경기장
몰디브, 네팔, 팔레스타인이 대회 개최에 관심을 표명했다.[4] 이 대회는 최종 예선을 통해 본선 진출권을 얻은 국가만이 개최 후보 자격을 가졌다.[24] AFC는 당초 2011년 6월 14일에 개최국을 결정할 예정이었으나,[4][25] 결정을 연기하여[5][26] 2011년 7월 29일 AFC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네팔을 최종 개최국으로 승인했다.[6][27]
2. 1. 경기장 정보
wikitext카트만두 | |
---|---|
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 | 할차우크 경기장 |
수용 인원: 17,800 | 수용 인원: 3,500 |
![]() |
2012년 AFC 챌린지컵 예선에는 총 20개 팀이 참가했다.[7] 이 대회부터 이전 대회 상위 3개 팀에게 주어지던 자동 본선 진출권 제도가 폐지되어, 2010년 대회 우승팀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해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도 예선부터 참가해야 했다.[16][24]
3. 예선
괌과 동티모르는 예선에 불참했으며, 브루나이는 국제축구연맹(FIFA)으로부터 자격 정지 처분을 받아 참가하지 못했다.[16]
시드 순서는 2010년 AFC 챌린지컵 결과를 기준으로 결정되었으며, 예비 예선 및 최종 예선 조 추첨은 2010년 10월 20일에 진행되었다.[17] 참가팀은 다음과 같이 최종 예선 직행팀과 예비 예선 참가팀으로 나뉘었다.최종 예선부터 참가 방글라데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도, 키르기스스탄,
몰디브,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스리랑카,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예비 예선부터 참가 아프가니스탄, 부탄, 캄보디아, 중화 타이베이,
라오스, 마카오, 몽골, 필리핀
예선은 예비 예선과 최종 예선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예비 예선'''은 2010년 대회 성적 하위 8개 팀이 참가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경기 승자는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1차전은 2011년 2월 9일, 2차전은 2월 16일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일부 경기는 일정이 변경되었다.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부탄 | 0 - 5 | 아프가니스탄 | 0 - 3 | 0 - 2 |
필리핀 | 3 - 2 | 몽골 | 2 - 0 | 1 - 2 |
중화 타이베이 | 6 - 3 | 라오스 | 5 - 2 | 1 - 1 |
캄보디아 | 5 - 4 | 마카오 | 3 - 1 | 2 - 3 (연장) |
예비 예선 결과 아프가니스탄, 필리핀, 중화 타이베이, 캄보디아가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은 최종 예선 직행 12개 팀과 예비 예선을 통과한 4개 팀,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16개 팀은 4개 조로 나뉘어 각 조별로 특정 국가에서 모든 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기는 2011년 3월 20일부터 3월 31일 사이에 열렸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에서는 승점이 같은 경우, 해당 팀 간의 맞대결 결과를 전체 경기 득실차나 총득점보다 우선하여 순위를 결정했다.[22]
3. 1. 본선 진출 확정 팀
이 대회부터는 "전 대회 상위 3팀은 예선 면제"라는 제도가 폐지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도 예선부터 참가하게 되었다.[16][24] 예선을 통해 다음 8개 팀이 본선 진출을 확정했다.국가 | 본선 자격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 |
---|---|---|
팔레스타인 | 예선 A조 1위 | 1회 (2006) |
필리핀 | 예선 A조 2위 | 1회 (2006) |
인도 | 예선 B조 1위 | 3회 (2006, 2008*, 2010) |
투르크메니스탄 | 예선 B조 2위 (전 대회 준우승) | 2회 (2008, 2010) |
몰디브 | 예선 C조 1위 | 첫 출전 |
타지키스탄 | 예선 C조 2위 | 3회 (2006, 2008, 201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예선 D조 1위 (전 대회 우승) | 2회 (2008, 2010) |
네팔 | 예선 D조 2위 | 1회 (2006) |
- '''강조된 연도'''는 우승한 대회이다.
- *표시가 된 연도는 개최국이었던 대회이다.
4. 본선 조별 리그
본선 조 추첨은 2011년 12월 1일 네팔 카트만두에서 진행되었다.[28] 본선에 진출한 8개 팀은 4개 팀씩 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5:45)을 기준으로 한다.
팀 순위는 승점(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에 따라 결정되며, 승점이 같은 팀의 순위는 다음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29]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의 골득실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기록한 득점
#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서의 골득실
# 조별 리그 모든 경기에서 기록한 득점
# 승부차기 (위 기준까지 동률인 두 팀이 조별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맞붙은 경우에 한함)
# 조별 리그에서 받은 옐로카드와 레드카드의 수에 따른 점수 (옐로카드 1점,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직접 퇴장 3점, 옐로카드 후 직접 퇴장 4점)가 더 적은 팀
# 추첨
4. 1. A조
'''2012년 3월 8일''' 15:00 – 투르크메니스탄 '''3 : 1''' 몰디브 @ 할초크 스타디움, 카트만두
- 득점: 밍가조프 (33'), 초니카예프 (78'), 아마노프 (85') / 아두함 (20')
- 관중: 1,000명
- 심판: 유세프 알-마르주크 (쿠웨이트)
'''2012년 3월 8일''' 17:00 – 네팔 '''0 : 2''' 팔레스타인 @ 다사라트 랑가살라 스타디움, 카트만두
'''2012년 3월 10일''' 15:00 – 팔레스타인 '''0 : 0''' 투르크메니스탄 @ 할초크 스타디움, 카트만두
'''2012년 3월 10일''' 17:00 – 몰디브 '''1 : 0''' 네팔 @ 다사라트 랑가살라 스타디움, 카트만두
- 득점: 라시드 (51')
- 관중: 15,000명
- 심판: 드미트리 마센체프 (키르기스스탄)
'''2012년 3월 12일''' 15:00 – 네팔 '''0 : 3''' 투르크메니스탄 @ 다사라트 랑가살라 스타디움, 카트만두
- 득점: 타가예프 (7'), 비라즈 (79', 자책골), 헝겔디예프 (89')
- 관중: 2,400명
- 심판: 알리 사바 (레바논)
'''2012년 3월 12일''' 15:00 – 몰디브 '''0 : 2''' 팔레스타인 @ 할초크 스타디움, 카트만두
- 득점: 와디 (59'), 누만 (90+4')
- 관중: 300명
- 심판: 드미트리 마센체프 (키르기스스탄)
4. 2. B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8 | 0 | +8 | 9 |
2 | 필리핀 | 3 | 2 | 0 | 1 | 4 | 3 | +1 | 6 |
3 | 타지키스탄 | 3 | 1 | 0 | 2 | 3 | 4 | −1 | 3 |
4 | 인도 | 3 | 0 | 0 | 3 | 0 | 8 | −8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 – 0 필리핀'''
- 일시: 2012년 3월 9일 15:00
- 장소: 카트만두 할초크 경기장
- 관중: 1,500명
- 심판: 프라탑 싱 (인도)
- 득점:
- * 박남철 58′
- * 장국철 70′
- 경기 결과: [https://archive.today/20121205081032/http://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08&matchId=4377 경기 결과]
'''인도 0 – 2 타지키스탄'''
- 일시: 2012년 3월 9일 17:00
- 장소: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경기장
- 관중: 700명
- 심판: 알리 사바 (레바논)
- 득점:
- * 아흐탐 함로쿨로프 61′
- * 누리딘 다브로노프 66′
- 경기 결과: [https://archive.today/20121217180856/http://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08&matchId=4376 경기 결과]
'''타지키스탄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일시: 2012년 3월 11일 15:00
- 장소: 카트만두 할초크 경기장
- 관중: 1,000명
- 심판: 유세프 알-마르주크 (쿠웨이트)
- 득점:
- * 박남철 4′
- * 장국철 86′
- 경기 결과: [https://archive.today/20121204164608/http://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08&matchId=4374 경기 결과]
'''필리핀 2 – 0 인도'''
- 일시: 2012년 3월 11일 17:00
- 장소: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경기장
- 관중: 300명
- 심판: 차이야 마하파브 (태국)
- 득점:
- * 필 영허즈번드 10′, 73′
- 경기 결과: [https://archive.today/20120912220357/http://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08&matchId=4375 경기 결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 – 0 인도'''
- 일시: 2012년 3월 13일 15:00
- 장소: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경기장
- 관중: 200명
- 심판: 차이야 마하파브 (태국)
- 득점:
- * 전광익 3′
- * 리광혁 34′
- * 박남철 59′
- * 리철명 70′
- 경기 결과: [https://archive.today/20121204161305/http://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08&matchId=4373 경기 결과]
'''타지키스탄 1 – 2 필리핀'''
5.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2012년 3월 16일부터 3월 19일까지 네팔 카트만두에서 단판 승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준결승전 두 경기,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경기는 카트만두의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2012년 AFC 챌린지컵 결선 토너먼트 경기 결과 | |||||
---|---|---|---|---|---|
라운드 | 날짜 | 경기장 | 팀 1 | 점수 | 팀 2 |
준결승전 | 3월 16일 |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 투르크메니스탄 | 2 - 1 | 필리핀 |
3월 16일 |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 - 0 | 팔레스타인 | |
3·4위전 | 3월 19일 |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 필리핀 | 4 - 3 | 팔레스타인 |
결승전 | 3월 19일 |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 투르크메니스탄 | 1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 1. 준결승전
2012년 3월 16일 14시 30분 카트만두의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에서 열린 첫 번째 준결승전에서는 투르크메니스탄이 필리핀에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필리핀의 P. 영허스밴드가 전반 25분에 선제골을 기록했지만, 후반 들어 투르크메니스탄의 아마노프가 80분 동점골을, 촌카예프가 86분 결승골을 터뜨렸다. 관중은 500명이었고, 주심은 대한민국의 고형진이 맡았다.같은 날 18시 30분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두 번째 준결승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팔레스타인을 2-0으로 제압하고 결승에 올랐다. 박광룡이 전반 42분과 후반 68분에 연이어 득점하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3,000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으며, 주심은 쿠웨이트의 유세프 알 마르주크가 담당했다.
5. 2. 3·4위전
필리핀과 팔레스타인의 3·4위전은 2012년 3월 19일 14시 30분(UTC+5:45)에 네팔 카트만두의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양 팀은 7골을 주고받는 난타전을 벌였으며, 필리핀이 4-3으로 승리하여 대회 3위를 차지했다. 팔레스타인은 4위에 만족해야 했다.2012년 AFC 챌린지컵 3·4위전 | ||
---|---|---|
필리핀 | 4 - 3 | 팔레스타인 |
필 영허즈번드 4, 25 (페널티킥) 앙헬 기라도 42' 후안 루이스 기라도 69' | 득점 | 압델하미드 아부하빕 21, 67 파헤드 아탈 78' |
날짜 | 2012년 3월 19일 14:30 (UTC+5:45) | |
경기장 | 네팔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 |
관중 수 | 1,000명 | |
주심 | 알리 사바 (레바논) | |
경기 보고서 | [https://web.archive.org/web/20120724182053/http://www.the-afc.com/en/component/joomleague/?view=report&compID=408&matchId=4369 AFC 경기 결과] (웹 아카이브) |
5. 3. 결승전
2012년 3월 19일 네팔 카트만두의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에서 2012년 AFC 챌린지컵 결승전이 열렸다. 투르크메니스탄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이 우승컵을 놓고 맞붙었다.경기 시작 단 2분 만에 투르크메니스탄의 베르디 샤미라도프가 선제골을 터뜨리며 경기를 주도하는 듯했다. 그러나 전반 36분, 북한의 정일관이 동점골을 성공시키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이후 양 팀은 팽팽한 접전을 벌였고, 후반 87분 북한이 페널티 킥 기회를 얻었다. 키커로 나선 장성혁이 침착하게 골을 성공시키면서 최종 스코어 2-1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0년 AFC 챌린지컵 우승에 이어 대회 2회 연속 우승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날짜 | 시간 | 경기장 | 관중 | 심판 | 팀 1 | 점수 | 팀 2 | 득점자 |
---|---|---|---|---|---|---|---|---|
2012년 3월 19일 | 18:30 (NPT) | 카트만두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 9,000명 | 사토 류지 (일본) | 투르크메니스탄 | 1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베르디 샤미라도프 2 정일관 36 장성혁 87'(PK) |
6. 수상
2012 AFC 챌린지컵에서 수여된 상은 다음과 같다.[10][11]
페어플레이상 | 득점왕 | 최우수선수상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필 영허즈번드 | -- 박남철 |
'''대회 최고의 팀''' – 4-4-2 포메이션[10]
- '''골키퍼''': -- 리명국
- '''수비수''': -- 리광혁, -- 쇼흐라트 소위노프(Şöhrat Söýünow|쇼흐라트 소위노프tuk), -- 칼레드 마흐디(خالد مهدي|칼레드 마흐디ara), -- 전광익
- '''미드필더''': -- 아르슬란미라트 아마노프, -- 구반치 레제포프(Guwanç Rejepow|구반치 레제포프tuk), -- 박남철, -- 정일관
- '''공격수''': -- 박광룡, -- 필 영허즈번드
- '''감독''': -- 윤정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득점 순위'''[10]
'''6골'''
- -- 필 영허즈번드
'''3골'''
- -- 박남철
'''2골'''
- -- 장국철
- -- 박광룡
- -- 압델하미드 아부하빕(عبد الحميد أبو حبيب|압델하미드 아부하빕ara)
- -- 파헤드 아탈(فهد عتال|파헤드 아탈ara)
- -- 앙헬 기라도
- -- 아르슬란미라트 아마노프
- -- 가흐리만베르디 촌카예프(Gahrymanberdi Çoňkaýew|가흐리만베르디 촌카예프tuk)
'''1골'''
- -- 장성혁
- -- 전광익
- -- 정일관
- -- 리철명
- -- 리광혁
- -- 하산 아두함(ހަސަން އަދުހަމް|하산 아두함div)
- -- 모하메드 라시드(މުހައްމަދު ރަޝީދު|모하메드 라시드div)
- -- 알라 아티야(علاء عطية|알라 아티야ara)
- -- 아슈라프 누만
- -- 후삼 와디(حسام وادي|후삼 와디ara)
- -- 후안 루이스 기라도
- -- 누리딘 다브로노프
- -- 아흐탐 함로쿨로프
- -- 알렉세이 네그마토프(Алексей Негматов|알렉세이 네그마토프tgk)
- -- 구완치 헹겔디예프(Guwanç Hangeldiýew|구완치 헹겔디예프tuk)
- -- 루슬란 민가조프
- -- 베르디 샤미라도프(Berdi Şamyradow|베르디 샤미라도프tuk)
- -- 엘만 타가예프(Elman Tagaýew|엘만 타가예프tuk)
'''자책골 1골'''
- -- 비라즈 마하르잔 (투르크메니스탄과의 경기)
7. 우승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2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