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택선은 1914년 윤치소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윤보선, 윤원선, 윤치영 등과 친척 관계이다. 배재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유학을 다녀왔으며, 해방 이후 교통부 장관 비서관, 국회 교통체신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다. 1940년 일본군에 위문지를 기증하여 친일 행위 논란이 있으며, 1998년 사망했다. 안동교회 장로를 역임했으며, 아들 윤창구는 공학자이다.
1914년 11월 20일 윤치소와 이범숙(별칭은 윤명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광복 후 서울시장,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과, 내무부의 관료와 경기도지사를 지낸 윤원선이 그의 본가 친형들이다. 내무부장관, 서울시장을 역임한 윤치영은 숙부가 된다. 숙부 윤치병은 아들이 없었으므로 자신의 둘째 형 윤치소의 5남인 윤택선을 양자로 들여 가계를 이었다.[1] 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유학을 다녀왔다. 배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농구 선수로 활동하였다.
증조부는 윤취동(1798년 7월 18일 ~ 1863년 12월 21일)이고, 할아버지는 윤영렬(1854년 4월 15일 ~ 1939년 11월 4일)이다. 할머니는 청주 한씨 한진숙(1851년 ~ 1938년 2월 18일)으로, 한말 전라도 관찰사와 경상도 관찰사, 육군 참장을 지낸 한진창의 누이이다. 백부는 윤치오(1869년 음력 8월 5일 ~ 1950년 양력 12월 22일), 숙부는 윤치성(1875년 음력 3월 2일 ~ 1936년 양력 8월 11일), 윤치명(1895년 음력 9월 ~ 1944년 양력 4월 21일), 윤치영(1898년 양력 2월 10일 ~ 1996년 양력 2월 9일)이다.
[1]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2. 생애
용산구 원효로 1가의 용산교회에 다녔는데, 말년에는 친척들이 다니던 종로구 안국동 안동교회로 소속을 옮겼다. 용산교회, 안동교회 모두 장로교 소속이었다. 장로에 장립되었다.
1940년 5월 7일 일본군에 보내는 위문지를 기증하였다.[2] 이는 친일 행위로 비판받을 수 있다.
해방 이후 1949년 5월 2일 비서관에 임용되고, 교통부 장관 비서실에 발령되었다.[3] 그해 12월 25일 크리스마스 때에는 빈민 구제용으로 쌀 1말(8kg)을 기부하였다.[4] 1949년 당시에는 용산교회에 다녔다.
1950년 6월 1일 교통부 장관 비서관[5], 이후 국회 교통체신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다.[1] 아들은 공학자이자 KIST 연구원인 윤창구인데, 아들의 죽음을 본 후 1998년 4월 6일에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1914년 11월 20일 윤치소와 이범숙(별칭은 윤명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광복 후 서울시장, 대통령을 역임한 윤보선과, 내무부의 관료와 경기도지사를 지낸 윤원선이 그의 본가 친형들이다. 내무부장관, 서울시장을 역임한 윤치영은 숙부가 된다. 숙부 윤치병은 아들이 없었으므로 자신의 둘째 형 윤치소의 5남인 윤택선을 양자로 들여 가계를 이었다.[1] 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유학을 다녀왔다. 배재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농구 선수로 활동하였다.
용산구 원효로 1가의 용산교회에 다녔는데, 말년에는 친척들이 다니던 종로구 안국동 안동교회로 소속을 옮겼다. 용산교회, 안동교회 모두 장로교 소속이었다. 장로에 장립되었다.
1940년 5월 7일 일본군에 보내는 위문지를 기증하였다.[2]
해방 이후 1949년 5월 2일 비서관에 임용되고, 교통부 장관 비서실에 발령되었다.[3] 그해 12월 25일 크리스마스 때에는 빈민 구제용으로 쌀 1말(8kg)을 기부하였다.[4] 1949년 당시에는 용산교회에 다녔다.
1950년 6월 1일 교통부 장관 비서관[5], 이후 국회 교통체신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다.[1] 아들은 공학자이자 KIST 연구원인 윤창구인데, 아들의 죽음을 본 후 1998년 4월 6일에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사망했다.
2. 2. 신앙 활동
윤택선은 서울 안동교회 장로를 역임했다.[6] 그의 아들은 물리학자 윤창구이다.
2. 3. 해방 이후
해방 이후 1949년 5월 2일 비서관에 임용되고, 교통부 장관 비서실에 발령되었다.[3] 그해 12월 25일 크리스마스 때에는 빈민 구제용으로 쌀 1말(8kg)을 기부하였다.[4] 1949년 당시에는 용산구 원효로 1가의 용산교회에 다녔다.
1950년 6월 1일 교통부 장관 비서관[5], 이후 국회 교통체신위원회 전문위원을 지냈다.[1] 아들은 공학자이자 KIST 연구원인 윤창구인데, 아들의 죽음을 본 후 1998년 4월 6일에 서울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사망했다.
2. 4. 친일 행적 및 군사정권 협력 논란
2. 5. 사망
3. 기타
4. 가계
양아버지는 윤치병(1880년 음력 6월 4일 ~ 1940년 양력 1월 24일)이고, 양어머니는 허병숙(1884년 ~ 1954년 7월 6일)이다. 부인은 이기화(1914년 5월 7일 ~ 1996년 5월 30일)이다.
생부는 윤치소(호는 동야(東野), 1871년 음력 8월 25일 ~ 1944년 양력 2월 20일)이고, 생모는 이범숙(李範淑, 호는 명사(明師), 1876년 10월 15일 ~ 1969년 6월 18일)이다.
아들로는 윤성구(미국 한인교회 목사[8])[7], 윤창구(1941년 12월 18일 ~ 1991년 7월 27일, 공학자), 윤철구(쌍용자동차 부사장[9]), 윤석구(사업[12], 건창운수 이사[8]), 윤범구(1946년 ~ 2009년 1월 2일, 주식회사 후리코 대표이사[8])가 있다. 딸은 윤경남(尹慶男, 번역문학가, 이화여대 졸업, 샬롬노인문화원장, 좌옹 윤치호 문화사업회 이사 역임[10][11])과 윤화자(尹和子, 사업[12])이다. 사위는 민석홍(閔碩泓, 전 쌍용자동차 고문[12])과 민병국(閔丙國, 변호사[12])이다.
참조
[2]
뉴스
皇軍慰問紙寄贈者
京城日報
1940-05-07
[3]
뉴스
政府人事 發令
조선중앙일보
1949-05-10
[4]
뉴스
貧民에 白米 龍山教會서 喜捨
경향신문
1949-12-30
[5]
뉴스
人事
상공일보
1950-06-01
[6]
웹사이트
안동교회 90년사
http://www.andong-ch[...]
[7]
뉴스
부음
매일경제
1998-04-07
[8]
뉴스
부음
매일경제
1996-05-31
[9]
뉴스
부음
경향신문
1996-06-01
[10]
서적
윤치호 일기:1916-1943
역사비평사
[11]
웹사이트
http://www.ionyang.c[...]
[12]
뉴스
부음
동아일보
1998-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