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을사사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을사사화는 1545년, 조선 명종 즉위 후 왕대비 문정왕후의 수렴청정 시기에 외척인 윤원형이 정권을 장악하기 위해 윤임 등 대윤 세력을 제거한 사건이다. 중종의 두 계비인 장경왕후와 문정왕후의 오빠들이 각각 대윤과 소윤으로 나뉘어 대립했고, 인종 사후 문정왕후가 수렴청정하면서 소윤 윤원형이 득세하여 윤임 일파를 숙청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사림 세력이 희생되었고, 윤원형은 정난정을 통해 문정왕후와 명종을 선동하여 권력을 강화했다. 을사사화는 이후 양재역 벽서 사건으로 이어져 사림 세력의 몰락을 심화시켰으며, 훈구 세력의 권력 장악과 당쟁의 심화라는 결과를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45년 한국 - 사화
    사화는 조선 시대에 발생한 정치적 숙청 사건으로, 훈구와 사림의 대립, 왕권 강화 시도 등의 원인으로 발생했으며, 사림 세력에게 피해를 입혔으나 결국 사림이 정권을 장악하는 계기가 되었다.
  • 을사사화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는 조선 중종 시대를 배경으로 정난정, 문정왕후, 윤원형 등의 권력 투쟁과 몰락을 그린 SBS 대하 사극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선정성, 폭력성 논란과 잦은 연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을사사화 - 정순붕
    정순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신진사류로 개혁을 시도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권력을 추구하며 변절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한국사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한국사 - 토기
    토기는 점토를 구워 만든 그릇으로, 일본에서는 구움 정도에 따라 도자기, 자기와 구분되며 인류 최초의 화학적 변화 응용 사례로 식생활과 문화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다원설이 유력한 발상지와 일본 열도 1만 6500년 전 토기 발견이 특징이며, 일본어 관점에서 정의, 역사, 제작 과정, 용도, 세계 각지 토기 문화를 설명한다.
을사사화
개요
발생 위치조선
발생 시기1545년 음력 9월
원인명종 즉위 후 권력 다툼
주요 관련 인물윤임
유관
유인숙
이휘
조광조
계림군
봉성군
정순붕
이기
윤원형
윤원로
영향척신 정치 심화, 당쟁의 심화
배경
왕위 계승 갈등중종 사후 인종 즉위 후, 인종이 재위 9개월 만에 승하하면서 명종이 즉위
권력 구도 변화명종의 생모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시작
문정왕후의 동생인 윤원형이 권력의 핵심으로 부상
기존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윤임 등의 소윤 세력과 윤원형을 중심으로 하는 대윤 세력 간의 갈등 심화
전개 과정
윤원형의 모함윤원형은 윤임 등이 계림군, 봉성군과 결탁하여 역모를 꾀한다고 모함
관련자 처형윤임, 유관, 유인숙, 이휘 등 다수의 소윤 세력 제거
조광조의 문인 및 친척들 역시 화를 입음
결과 및 영향
척신 정치 심화윤원형을 비롯한 척신 세력이 권력을 독점하고 국정을 농단
당쟁 심화사림 세력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어 이후 동인, 서인으로 분열되는 단초를 제공
사회 혼란정치 기강이 해이해지고 백성들의 삶이 어려워짐
평가
부정적 평가척신 정치의 폐단을 심화시키고 당쟁을 격화시킨 대표적인 사화로 평가
역사적 의의조선 시대 정치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당쟁의 폐해를 보여주는 사례로 거론

2. 배경

중종은 제1계비 장경왕후 윤씨에게서 인종을 낳고, 제2계비인 문정왕후 윤씨에게서 명종을 낳았다. 이들 두 계비는 같은 파평 윤씨인데,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과 문정왕후의 아우 윤원형이 대립하기 시작했다. 윤임과 윤원형은 같은 종친이면서 서로 왕의 외척이 되어 세력을 잡으려고 일찍부터 반목하여 세간으로부터 윤임은 대윤, 윤원형은 소윤이라 불렸다.

1544년 중종이 승하하고 인종이 즉위하자 윤임이 득세하여 사림의 명사를 많이 등용하는 등 일시 사림은 그 기세를 회복하였다. 당시 뜻을 얻지 못한 이들은 윤원형의 밑에 모여서 사림과 반목하고 윤임 일파에 대한 반격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인종은 즉위 후 불과 9개월 만에 원인 불명의 급병으로 사망했다. 인종의 급사에 대해서는 당시부터 계모인 문정왕후에 의한 살해설이 은밀하게 제기되었지만, 진실은 역사의 미궁 속에 묻혔다.

인종의 죽음으로 뒤를 잃은 대윤파에 맞서, 어린 국왕 명종과 그의 생모 문정왕후의 비호를 받던 소윤파가 득세하여 을사사화를 일으킨다.

2. 1. 외척 세력의 대립

중종은 첫 번째 왕비 장경왕후 윤씨에게서 인종을 낳았고, 두 번째 왕비인 문정왕후 윤씨에게서 명종을 낳았다. 이 두 왕비는 모두 파평 윤씨였는데,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과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이 대립하기 시작했다. 윤임과 윤원형은 같은 종친이면서도 서로 왕의 외척이 되어 권력을 잡으려고 일찍부터 반목하였고, 사람들은 윤임을 대윤(大尹), 윤원형을 소윤(小尹)이라 불렀다.

중종이 죽고 인종이 즉위하자 윤임이 권력을 잡고 사림(士林)의 명망 있는 인물들을 많이 등용하였다. 이언적, 유관, 성세창 등을 정부의 대관(臺官)으로 임명하는 등, 사림은 일시적으로 그 세력을 회복하였다. 당시 뜻을 얻지 못한 사람들은 윤원형의 밑에 모여 사림과 대립하며 윤임 일파에 대한 반격의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

1544년 11월, 중종이 사망하자 세자가 29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인종이 되었다. 인종은 어머니가 산후에 사망했기 때문에 계모였던 문정왕후에게서 자랐다. 문정왕후의 친아들이자 인종의 이복동생인 경원대군(후의 명종)은 이때 11세였다.

중종 말년에 정치 실권을 두고 인종의 외삼촌인 윤임이 이끄는 대윤파와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을 중심으로 하는 소윤파가 첨예하게 대립했는데, 인종의 즉위로 대윤파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인종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기묘사화로 피해를 입은 조광조 등 사림파의 명예 회복을 꾀하고, 스스로도 도학 정치를 표방하며 사림파 등용을 추진했으나, 즉위 후 불과 9개월 만에 원인 불명의 급병으로 사망했다. 인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대해서는 당시부터 계모인 문정왕후에 의한 독살설이 은밀하게 제기되었지만, 진실은 역사의 미궁 속에 묻혔다.

인종의 죽음으로 뒤를 잃은 대윤파에 맞서, 어린 국왕 명종과 그의 생모 문정왕후(명종이 성년에 이를 때까지 수렴청정을 하여 평판이 좋지 않았다)의 비호를 받던 소윤파의 중심 인물 윤원형은 계략을 사용하여 윤임, 유관, 유인숙 등 대윤파 수장들을 자결하게 만들고, 그들을 따르던 많은 사림파 관료들을 유배시켰다. 이 때문에 을사사화라고 불린다.

2. 2. 사림 세력의 등장과 갈등

중종은 첫 번째 왕비 장경왕후에게서 인종을 낳았고, 두 번째 왕비인 문정왕후에게서 명종을 낳았다.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과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은 둘 다 파평 윤씨였지만,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서로 대립했다. 사람들은 윤임을 대윤, 윤원형을 소윤이라고 불렀다.

1544년 중종이 죽고 인종이 왕위에 오르자 윤임이 권력을 잡고 이언적, 유관, 성세창 등 많은 사림 출신 인재들을 대관으로 임명하여 사림 세력이 잠시 힘을 얻었다. 그러나 윤원형을 따르는 사람들은 사림과 대립하며 윤임 일파에게 반격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인종은 기묘사화로 피해를 입은 조광조 등 사림파의 명예를 회복시키고, 사림파를 등용하려 했으나, 즉위 9개월 만에 갑작스러운 병으로 사망했다. 인종의 죽음에 대해서는 문정왕후가 독살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진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인종이 죽자, 어린 명종과 그의 어머니 문정왕후(명종이 성인이 될 때까지 수렴청정을 하여 평판이 좋지 않았다)의 비호를 받던 소윤파의 윤원형은 계략을 써서 윤임, 유관, 유인숙 등 대윤파 지도자들을 죽게 하고, 그들을 따르던 많은 사림파 관료들을 유배 보냈다. 이를 을사사화라고 부른다.

3. 경과

인종이 갑작스럽게 사망하고 명종이 즉위하면서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이 시작되자, 윤원형을 중심으로 하는 소윤 세력이 득세하였다. 소윤은 대윤파를 제거하기 위해 모략을 꾸몄다. 예조참의 윤원형은 지중추부사 정순명, 병조판서 이기, 호조판서 임백령, 공조판서 허자 등과 함께 대윤파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다. 또한, 윤원형의 첩 정난정은 문정왕후와 명종을 선동하여 윤임을 비롯한 대윤파를 반역 음모죄로 몰아 제거하는 데 일조하였다.

소윤은 윤임, 유인숙, 유관 등을 반역 음모죄로 몰아 귀양 보냈다가 죽이고, 계림군을 음모에 연루시켜 죽였다. 또한, 이덕응을 협박하여 이휘, 나숙, 나식, 정희등, 박광우, 곽순, 이중열, 이문건 등 10여 명을 죽이고, 이덕응마저 죽였다. 봉성군에게 왕위를 옮기려 했다는 무고를 씌워 죽이고, 윤임이 경원대군 대신 계림군을 옹립하려 했다는 소문을 퍼뜨려 계림군 또한 죽게 만들었다.

을사사화는 6년간 지속되었으며, 윤임 등을 찬양했다는 이유로 유배되거나 죽은 사람이 100명에 달했다.

3. 1. 인종의 죽음과 명종 즉위

인종은 1544년 11월 중종이 사망하자 29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인종은 생모가 산후에 사망했기 때문에 계비였던 문정왕후에게 길러졌다. 문정왕후의 친아들이자 인종의 이복 동생인 경원대군(후의 명종)은 이때 11세였다.

중종 대 말년에 정치 실권을 두고 인종의 백부인 윤임이 이끄는 대윤파와 문정왕후의 동생 윤원형을 중심으로 하는 소윤파가 첨예하게 대립했는데, 인종의 즉위로 대윤파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인종은 짧은 재위 기간 동안 기묘사화로 피해를 입은 조광조 등 사림파의 명예 회복을 꾀하고, 스스로도 도학 정치를 표방하며 사림파 등용을 추진했으나, 즉위 후 불과 9개월 만에 원인 불명의 급병으로 사망했다. 인종이 겨우 재위 8개월 만에 승하하고 12세의 명종이 즉위하여 왕대비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하게 되니 형세는 역전되었다.

인종의 급사에 대해서는 당시부터 계모인 문정왕후에 의한 살해설이 은밀하게 제기되었지만, 진실은 역사의 미궁 속에 묻혔다. 인종의 죽음으로 뒤를 잃은 대윤파에 맞서, 어린 국왕 명종과 그의 생모 문정왕후(명종이 성년에 이를 때까지 수렴청정을 하여 평판이 좋지 않았다)의 비호를 받던 소윤파의 중심 인물 윤원형은 계략을 사용하여 윤임, 유관, 유인숙 등 대윤파 수장들을 자결하게 만들고, 그들을 따르던 많은 사림파 관료들을 유배시켰다. 이 때문에 을사사화라고 불린다.

3. 2. 소윤의 모략과 대윤 숙청

인종이 재위 8개월 만에 승하하고 12세의 명종이 즉위하여 왕대비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하게 되면서, 윤원형을 중심으로 하는 소윤이 득세하여 윤임을 중심으로 하는 대윤 일파를 제거하기 시작하였다. 즉 예조참의로 있던 윤원형은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을 만회하기 위하여 평소 대윤파와 사감(私感)이 있던 지중추부사 정순명, 병조판서 이기, 호조판서 임백령, 공조판서 허자 등 심복들과 더불어 계책을 꾸몄다. 또 한편으로 그의 첩 정난정으로 하여금 문정왕후와 명종을 선동케 하였다.

이들은 형조판서 윤임 및 그 일파인 이조판서 유인숙, 좌의정 유관 등을 반역 음모죄로 몰아 귀양 보냈다가 죽이고, 이어서 계림군도 이 음모에 관련하였다는 무고로 죽였다. 전직 주서(注書) 이덕응을 협박하여 수찬(修撰) 이휘, 부제학 나숙, 참봉 나식, 정희등과 박광우, 사간(司諫) 곽순, 정랑(正郞) 이중열·이문건 등 10여 명을 죽였으며, 그 뒤 이덕응도 화를 입었다. 또 명종의 이복형인 봉성군에게 왕위를 옮기도록 획책하고 있다고 무고하였다. 한편 궁궐 밖으로는 인종이 승하할 당시 윤임이 경원대군의 추대를 원치 않아서 계림군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등의 소문을 퍼뜨렸다. 결국 봉성군과 계림군은 유배지에서 사사되었다.

이러한 사화의 여파는 그 후 6년에 걸쳐 계속되었고, 윤임 등을 찬양하였다는 등의 갖가지 죄명으로 유배되거나 죽은 자의 수가 거의 100명에 달하였다.

3. 3. 사림 세력의 피해

인종이 재위 8개월 만에 승하하고 12세의 명종이 즉위하여 왕대비인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되면서, 소윤 윤원형이 득세하여 전일(前日)의 윤임 일파를 제거하였다. 윤원형은 자신을 지지하는 세력을 만회하기 위해 평소 대윤파와 사감(私感)이 있던 지중추부사 정순명(鄭順明), 병조판서 이기, 호조판서 임백령(林百齡), 공조판서 허자(許磁) 등 심복들과 더불어 계책을 꾸몄다. 또한 그의 첩 정난정을 통해 문정왕후와 명종을 선동케 하여 형조판서 윤임 및 그 일파인 이조판서 유인숙(柳仁淑), 좌의정 유관(柳灌) 등을 반역 음모죄로 몰아 귀양 보냈다가 죽였다.

이어서 계림군(桂林君)도 이 음모에 관련되었다는 무고로 죽이고, 전직 주서(注書) 이덕응(李德應)을 협박, 그 무고로서 수찬(修撰) 이휘(李輝), 부제학 나숙(羅淑), 참봉 나식(羅湜), 정희등(鄭希登)과 박광우(朴光佑), 사간(司諫) 곽순(郭詢), 정랑(正郞) 이중열(李中悅)·이문건(李文楗) 등 10여 명을 죽였으며, 그 뒤 이덕응도 화를 입었다. 또 명종의 이복형인 봉성군(鳳城君)에게 왕위를 옮기도록 획책하고 있다고 무고하였다. 한편 궁궐 밖으로는 인종이 승하할 당시 윤임이 경원대군의 추대를 원치 않아서 계림군(桂林君)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등의 소문을 퍼뜨렸다. 결국 봉성군과 계림군은 유배지에서 사사되었다.

사화의 여파는 그 후 6년에 걸쳐 계속되었고, 윤임 등을 찬양하였다는 등의 갖가지 죄명으로 유배되거나 죽은 자의 수가 거의 100명에 달하였다.

4. 결과

연산군 이후 가장 큰 옥사였던 을사사화는 모후 및 외척이 정권을 전횡하는 길을 열었고, 사화에서 일어난 당파 분열은 훗날 당쟁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훈구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사림의 정치적 기반은 더욱 축소되었다.

4. 1. 소윤 세력의 권력 장악

을사사화로 정권을 장악한 윤원형1547년 良才驛壁書事件|양재역 벽서 사건한국어을 일으켜 앞선 사건에서 살아남은 양심적인 사림 세력마저 제거하고(丁未士禍|정미사화한국어), 권력을 독점했다. 윤원형은 국왕의 외척으로서, 문정왕후 생전에는 그 영화가 극에 달했다고 전해지지만, 문정왕후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측실인 정난정과 함께 정계에서 쫓겨나 자결했다.

4. 2. 양재역 벽서 사건과 정미사화

을사사화로 정권을 장악한 윤원형은 1547년 양재역 벽서 사건을 일으켜 앞선 사건에서 살아남은 양심적인 사림 세력마저 제거하고(정미사화) 권력을 독점했다. 윤원형은 국왕의 외척으로서, 문정왕후 생전에는 그 영화가 극에 달했지만, 문정왕후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측실인 정난정과 함께 정계에서 쫓겨나 자결했다.

4. 3. 문정왕후 사후 윤원형의 몰락

1547년 양재역 벽서 사건(정미사화)을 일으켜 앞선 사건에서 살아남은 양심적인 사림 세력마저 제거하고 권력을 독점했다. 윤원형은 국왕의 외척으로서, 문정왕후 생전에는 그 영화가 극에 달했지만, 문정왕후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측실인 정난정과 함께 정계에서 쫓겨나 자결했다.

5. 영향

연산군 이후 가장 큰 옥사였던 을사사화는 모후 및 외척이 정권을 전횡하는 길을 열었다. 또한, 이 사화에서 일어난 당파의 분파는 후기 당쟁의 한 원인이 되었고, 훈구가 정권을 장악하고 사림의 정치적 기반은 더욱 축소되었다.

5. 1. 사림 세력의 위축과 붕당 정치의 폐단 심화

을사사화로 인해 대비와 외척이 정권을 마음대로 휘두르는 길이 열렸으며, 이 사화에서 비롯된 당파 싸움은 훗날 당쟁의 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훈구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사림의 정치적 기반은 더욱 좁아졌다.

5. 2. 외척 정치의 폐해

연산군 이래의 큰 옥사는 이 사화가 마지막이 되었으나, 을사사화로 인해 모후 및 외척이 정권을 전횡하는 길을 열어 놓았으며, 사화에서 일어난 당파의 분파는 후기 당쟁의 한 소인(素因)이 되었다. 또 훈구가 전 정권을 장악하고 사림의 정치적 기반은 더욱 축소되었다.

을사사화로 정권을 장악한 윤원형1547년에도 良才駅壁書事件|양재역 벽서 사건한국어을 일으켜 앞선 사건에서 살아남은 양심적인 사림 세력마저 제거하고(정미사화), 권력을 독점했다. 윤원형은 국왕의 외척으로서, 문정왕후 생전에는 그 영화를 극에 달했다고 전해지지만, 문정왕후의 죽음으로 인해 그의 측실인 정난정과 함께 정계에서 쫓겨나 자결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