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순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순붕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06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중종반정 이후 정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으며,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로 활동하며 개혁을 시도했다. 이후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으로 파직과 복직을 반복하며 정치적 부침을 겪었고, 김안로 사후 복귀하여 윤원형 등과 가까이 지냈다. 명종 때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사후 직위가 추탈되었다. 처음에는 개혁적인 면모를 보였으나, 권력을 추구하며 변절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2. 생애

1506년 문과에 급제하여 주서가 되고, 1506년 중종반정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그해 예조좌랑을 거쳐 장령이 되었다. 이 때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짐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이후 홍문관전한을 거쳐 바로 좌부승지에 초배되고 이후 다시 동부승지로 옮겼다가 다시 우부승지로 승진, 참찬관을 겸했다. 이후 충청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형조참의로 복귀했지만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이후 전주부윤이 되지만 신사무옥으로 또 파직되었다. 이후 17년 동안 야인으로 있으면서 조정에 나가지 않다가, 1538년 좌의정이던 김안로가 사약을 마시고 죽은 뒤 복권되어 경기도관찰사로 복직해 관압사를 겸하고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공조참판이 되었다. 이후 윤원형, 이기, 허자와 가깝게 지내게 되고 평양영위사를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다시 외직에 나간다. 연이어서 병조참판과 사헌부대사헌을 거쳐 한성부우윤으로 세자시강원부빈객을 겸하고 형조판서로 역시 특진관을 겸했다. 이후 형조판서, 호조판서를 거쳐 의정부우참찬이 되는데 우참찬 시절 윤원형 등과 소윤 일파가 되고 내의원제조를 겸하다가 이후 다시 사헌부대사헌이 되었는데 대사헌으로 동지성균관사를 겸하고 인종 때 동지중추부사를 지내다가 형조판서, 우참찬, 대사헌을 거쳐 이후 명종 때 을사사화를 일으켜서 1등공신이 되며 바로 공조판서를 거쳐서 우찬성이 된다. 이후 정승의 반열에 올라 우의정이 되었다. 사후 선조 때 직위가 추탈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1480년 ~ 1506년)

1506년 문과에 급제하여 주서가 되고, 1506년 중종반정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그해 예조좌랑을 거쳐 장령이 되었다. 이 때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짐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2. 2. 중종반정과 초기 정치 활동 (1506년 ~ 1519년)

1506년 문과에 급제하여 주서가 되고, 같은 해 중종반정 후 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그해 예조좌랑을 거쳐 장령이 되었다. 이 때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짐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이후 홍문관전한을 거쳐 바로 좌부승지에 초배되고 이후 다시 동부승지로 옮겼다가 다시 우부승지로 승진, 참찬관을 겸했다. 이후 충청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형조참의로 복귀했지만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

2. 3. 기묘사화와 좌절 (1519년 ~ 1537년)

1506년 문과에 급제하고 주서가 되었으며, 중종반정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그해 예조좌랑을 거쳐 장령이 되었다. 이 때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짐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이후 홍문관전한을 거쳐 바로 좌부승지에 초배되고 이후 다시 동부승지로 옮겼다가 다시 우부승지로 승진, 참찬관을 겸했다. 이후 충청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형조참의로 복귀했지만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 이후 전주부윤이 되지만 신사무옥으로 또 파직되었다. 이후 17년 동안 야인으로 있으면서 조정에 나가지 않았다.

2. 4. 김안로 사후 복귀와 관직 생활 (1537년 ~ 1545년)

1506년 중종 즉위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주서가 되고, 1506년 중종반정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 그해 예조좌랑을 거쳐 장령이 되었다. 이 때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진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이후 홍문관전한을 거쳐 바로 좌부승지에 초배되고 이후 다시 동부승지로 옮겼다가 다시 우부승지로 승진, 참찬관을 겸했다. 이후 충청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형조참의로 복귀했지만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이후 전주부윤이 되지만 신사무옥으로 또 파직되었다. 이후 17년 동안 야인으로 있으면서 조정에 나가지 않다가, 1538년 좌의정이던 김안로가 사약을 마시고 죽은 뒤 복권되어 경기도관찰사로 복직해 관압사를 겸하고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공조참판이 되었다. 이후 윤원형, 이기, 허자와 가깝게 지내게 되고 평양영위사를 거쳐 강원도관찰사로 다시 외직에 나간다. 연이어서 병조참판과 사헌부대사헌을 거쳐 한성부우윤으로 세자시강원부빈객을 겸하고 형조판서로 역시 특진관을 겸했다. 이후 형조판서, 호조판서를 거쳐 의정부우참찬이 되는데 우참찬 시절 윤원형 등과 소윤 일파가 되고 내의원제조를 겸하다가 이후 다시 사헌부대사헌이 되었는데 대사헌으로 동지성균관사를 겸하고 인종 때 동지중추부사를 지내다가 형조판서, 우참찬, 대사헌을 거쳤다.

2. 5. 을사사화와 권력 장악 (1545년)

1506년 중종반정정국원종공신 2등에 녹훈되었고, 조광조와 함께 신진사류의 일원이 되어 학문을 높이고 기풍을 짐작시켰다. 이어서 부정한 방법으로 재산을 모은 대신들을 탄핵하기도 했다. 기묘사화로 파직되었다가 이후 1538년 김안로가 사약을 마시고 죽은 뒤 복권되어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공조참판이 되었다. 이후 윤원형, 이기, 허자와 가깝게 지내게 되었다. 인종 때 형조판서, 우참찬, 대사헌을 거쳐 이후 명종 때 을사사화를 일으켜서 1등공신이 되었다.

2. 6. 사망과 사후 평가 (1553년 ~ )

1553년 사망 이후 선조 때 직위가 추탈되었다.

3. 평가

처음에는 조광조와 함께 조정을 개혁하려고 했으나, 나중에 을사사화를 일으키며 결국 좋지 않은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후손들은 별탈없이 벼슬 생활을 계속 하게 된다.

학문에 뛰어나 명성이 높았지만, 결국 부패해진 대신이기도 했다.

3. 1. 긍정적 평가

처음에는 조광조와 함께 조정을 개혁하려고 했으나, 나중에 을사사화를 일으키며 결국 좋지 않은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후손들은 별탈없이 벼슬 생활을 계속 하게 된다. 학문에 뛰어나 명성이 높았지만, 결국 부패해진 대신이기도 했다.

3. 2. 부정적 평가

처음에는 조광조와 함께 조정을 개혁하려고 했으나, 나중에 을사사화를 일으키며 결국 좋지 않은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러나 그의 후손들은 별탈없이 벼슬 생활을 계속 하게 된다. 학문에 뛰어나 명성이 높았지만, 결국 부패해진 대신이기도 했다.

4. 가족 관계

증조부는 고성군사(高城郡事)를 지낸 정포(鄭袍)이고[2], 할아버지는 지평(持平)과 증 예조참의(禮曹參議)를 지낸 정충기(鄭忠基)이다.[2] 아버지는 상의원첨정(尙衣院僉正) 정탁(鄭鐸)이며, 어머니는 사직(司直) 도진손(都震孫)의 딸이다.[3]

동복 형으로는 위솔(衛率) 정수붕(鄭壽朋)과[2]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정백붕(鄭百朋)이 있고, 이복 동생으로 진사(進士) 정귀붕(鄭龜朋)이 있다.[2] 부인은 봉양수(鳳陽守) 이종남(李終南)의 딸이다.[4]

장남은 포천현감(抱川縣監) 정렴(鄭𥖝)이고, 차남은 봉사(奉事) 정적(鄭磧)이다.[3] 3남은 경기도도사(京畿道都事) 정담(鄭䃫)으로 정뇌경(鄭雷卿)의 증조부이다. 4남은 성천도호부사(成川都護府使) 정현(鄭礥)이며, 5남은 감목관(監牧官) 정작(鄭碏)이다.

첫째 사위는 보성군(寶城君) 이만년(李萬年)이고, 둘째 사위는 정린상(鄭麟祥)이다.[3] 셋째 사위는 한성부서윤(漢城府庶尹) 신단(申湍)으로 신경락(申景洛)의 아버지이다.[5] 넷째 사위는 송장(宋杖)이고[3], 다섯째 사위는 한문원(韓文源)이다.[3]

참조

[1] 서적 연려실기술
[2] 서적 정탁 묘갈명
[3] 서적 씨족원류
[4] 서적 정작 묘표
[5] 서적 신경락 비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