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성다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성다중은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채널에서 서라운드 사운드, 다른 언어의 오디오 트랙, 음성 해설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아날로그 텔레비전과 라디오에서 여러 표준이 사용되었으며, 각 국가 및 지역별로 채택된 방식이 다르다. 일본에서는 1960년대부터 음성 다중 방송 개발이 시작되어, 1970년대에 실험 방송을 거쳐 실용화되었고, 2개 국어 방송 및 스테레오 방송을 제공했다.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2채널 스테레오 방송과 이중 음성 방송을 지원하며, FM-FM 방식을 사용한다. 라디오 방송에서는 FM에서 AM-FM 방식, AM에서 양립성 직교 진폭 변조 방식을 통해 스테레오 음성을 전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송 - 데이터 방송
    데이터 방송은 뉴스,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하는 서비스로, 양방향 요소와 EPG를 포함하며, 디지털 방송 표준에서 지원되지만 최근 인터넷 기반 서비스 발전으로 중요성이 감소했음에도 재난방송 등 특정 분야에서 유용하며 개인정보 보호에 장점이 있다.
  • 방송 - 긴급경보방송
    긴급경보방송은 재난 발생 시 국민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구축된 시스템으로, 특정 조건 충족 시 발령되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다른 신호를 사용하고, 시스템 오류 및 규정 위반 사례에도 불구하고 기술 개발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해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스템 오작동 방지와 규정 준수를 위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
  • 소리 - 음악
    음악은 인간이 소리를 재료로 박자, 선율, 화성 등의 요소를 사용하여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시간 예술로, 다양한 장르로 분류되며 작곡, 연주, 감상의 요소로 구성되어 예술, 오락, 종교 의식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소리 - 의성어
    의성어는 사람, 동물, 사물 등의 소리를 흉내 내어 표현하는 단어로, 문화권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지만 시각적 효과나 기억술, 언어학적으로 소리와 의미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로 활용된다.
음성다중
음성 다중 방송
개요
유형방송 기술
분야음향 공학, 방송
기술적 세부 사항
설명여러 오디오 채널을 단일 방송 신호로 전송하는 기술
일반적으로 스테레오 또는 다국어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됨
역사
최초 개발1950년대 (미국)
상용화1970년대
작동 방식
원리주파수 분할 다중화 (FDM) 또는 시분할 다중화 (TDM) 사용
추가 오디오 채널을 기존 신호에 삽입
방식FM 방송: 파일럿 톤 시스템 사용
텔레비전 방송: NICAM, A2 스테레오 시스템 등 사용
활용
방송스테레오 방송
다국어 방송 (외국어 더빙)
부가 음성 서비스 (해설 방송, 청각 장애인 지원)
기타디지털 방송 (DAB, DTV)
인터넷 라디오
국가별 현황
대한민국1980년대 컬러 텔레비전 방송 도입과 함께 스테레오 음성 다중 방송 시작
현재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다양한 음성 서비스 제공
일본1978년 실용화 시험 방송 개시
1982년 9월 19일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음성 다중 방송 개시 (세계 최초)
장점
음질 향상스테레오 음향 제공
서비스 확장다국어 지원
부가 음성 서비스 제공
효율성주파수 자원 효율적 사용
단점
기술적 복잡성송수신 장비 복잡
호환성 문제구형 장비와의 호환성 문제 발생 가능
관련 기술
FM 스테레오FM 방송에서 스테레오 음향 전송
NICAM디지털 스테레오 음향 전송 시스템 (텔레비전 방송)
A2 스테레오아날로그 스테레오 음향 전송 시스템 (텔레비전 방송)
디지털 방송DAB, DTV 등 디지털 방식으로 음성 및 영상 전송
참고 문헌
관련 서적음향 공학, 방송 기술 관련 서적
관련 논문음성 다중 방송 기술 관련 논문

2. 사용 (용법)

이 방식을 통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채널은 서라운드 사운드 (예: 스테레오 또는 5.1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언어의 오디오 트랙, 대체 스포츠 해설,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음성 해설을 들을 수 있는 대체 오디오 프로그래밍을 제공할 수 있다.

3. 표준

아날로그 텔레비전 및 라디오에 사용되는 음성다중 표준은 다음과 같다.


  • 아날로그 텔레비전 표준
  • * EIAJ MTS
  • * 다채널 텔레비전 사운드(MTS)
  • ** 두 번째 오디오 프로그램(SAP)
  • * 근시적 압축 오디오 다중화(NICAM)
  • * Zweikanalton (Zweikanalton|츠바이카날톤de A2 스테레오)
  • 아날로그 라디오 표준
  • * 보조 통신 권한(SCA)
  • ** FMeXtra
  • * HD Radio

3. 1. 아날로그 텔레비전


  • 일본 전자 공업회(EIAJ)가 개발한 EIAJ MTS 표준
  • 미국에서 개발되어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칠레, 멕시코, 필리핀, 대만, 미국에서 채택된 다채널 텔레비전 사운드(MTS) 표준
  • * 두 번째 오디오 프로그램(SAP), MTS의 일부
  • 영국에서 개발되어 주요 유럽 및 아시아 태평양 국가에서 채택된 근시적 압축 오디오 다중화(NICAM) 표준
  • 독일에서 개발되어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대한민국 및 스위스에서 채택된 Zweikanalton (Zweikanalton|츠바이카날톤de A2 스테레오) 표준

3. 2. 아날로그 라디오


  • 보조 통신 권한(SCA)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캐나다에서도 채택된 표준이다.
  • * FMeXtra는 SCA의 디지털 응용 프로그램이다.
  • HD Radio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구축 및 사용되는 독점 디지털 표준이다.

4. 각국의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 방식


  • 일본 전자 공업회(EIAJ)가 개발한 EIAJ MTS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표준이다.
  • 다채널 텔레비전 사운드(MTS)는 미국에서 개발되어 아르헨티나, 브라질, 캐나다, 칠레, 멕시코, 필리핀, 대만, 미국에서 채택된 표준이다.
  • * 두 번째 오디오 프로그램(SAP)은 MTS의 일부이다.
  • 근시적 압축 오디오 다중화(NICAM)는 영국에서 개발되어 주요 유럽 및 아시아 태평양 국가에서 채택된 표준이다.
  • Zweikanalton(A2 스테레오)은 독일에서 개발되어 주로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대한민국 및 스위스에서 채택된 표준이다.


방식사용 국가
MTS미국, 캐나다, 멕시코, 대만(NTSC 사용 국가), 브라질, 아르헨티나(PAL 사용 국가)
NICAM영국, 덴마크, 스웨덴, 포르투갈, 홍콩, 남아프리카 공화국, 뉴질랜드(이상 PAL), 프랑스(SECAM)
A2 스테레오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네덜란드(이상, PAL), 대한민국(NTSC)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 방식에서 각 방식 간에는 호환성이 없다.

5. 일본의 텔레비전 방송

1962년 일본방송협회(NHK) 방송 기술 연구소가 음성다중 방송 개발에 착수했다. 1978년부터 실용화 시험 방송이 시작되었으며, 1982년부터는 본방송 면허를 받게 되었다.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는 2채널 스테레오 방송과 이중 음성 방송(부 음성 부착 방송, 2개 국어 방송, 해설 방송)이 있었다. 음성 다중 방송을 실시하는 방송국에는 JO**-'''TAM'''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30]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용 규격(NTSC의 확장 규격)에서는 FM-FM 방식으로 방송파 중 주 음성용과 부 음성용, 2개의 반송파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신한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방송 신호의 ID 부분에 음성 방식(이중 음성, 멀티 음성, 5.1ch 서라운드 등)을 구별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이를 통해 음성 전환 제어가 이루어진다.[36][37]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경우, 기존 방송국은 설비 변경이 필요했고 신규 방송국은 음성 다중 사양 설비를 도입하여 실시할 수 있었다.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경우 네트워크 회선 정비도 필요하여 지역적 차이가 발생했다. 지상 디지털 TV는 규격상 처음부터 음성 다중 사양으로 되어 있어 지역적 차이가 없었다.

5. 1. 개발부터 본방송까지의 경위

1969년 일본 만국 박람회를 계기로 실험 방송이 시작되었고, 1972년 3월, FM-FM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이 내려져 일본의 음성 다중 방송 규격 방식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

1974년에는 컬러 텔레비전 수신기 보급을 우선시하고, 오일 쇼크로 인한 방송 시간 단축 등의 영향으로 음성 다중 방송 실험이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1978년부터 실용화 시험 방송이 다시 시작되었다. 1979년 니혼 TV가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개표 방송에서 부음성을 통해 화면과 관계없는 정보를 송출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1980년 제3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및 제1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에서는 선거 속보에 한해 부음성 방송이 허용되었다.

1980년 12월 19일 2음성 다중 방송을 인정하는 내용으로 면허 방침이 수정되었다. 1982년 12월 1일부터 음성 다중 방송은 본방송 면허를 받게 되었다.

5. 1. 1. 개발 착수부터 실내 실험까지

일본에서는 1962년부터 NHK 방송 기술 연구소가 음성다중 방송 개발에 착수했다. NHK와 민영 방송 6개 사가 실험국 개설을 신청했고, 1964년 도쿄 올림픽을 앞둔 1964년 9월에는 '텔레비전 음성 다중 실험 협의회'가 결성되었다. 그러나 기술적 실험에 그쳐 실제 방송 서비스로 이어지지 못했고, 1966년 8월 협의회는 해산되어 우정성 전파 기술 심의회 자문 사항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유럽 방송 연합 기술 위원회에서 음성 다중 방송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고, 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를 계기로 2개 국어 방송 및 스테레오 방송 실험 요청이 쇄도하면서 NHK 기술 연구소는 1968년에 실내 실험을 재개했다.

5. 1. 2. 기존 방송 시설을 이용한 실험 방송 시작, 방식 결정

1969년, 우정성은 다음 해(1970년) 일본 만국 박람회에 따라 실험국을 통한 방송 실시를 인정하였다. 6월 27일, NHK 도쿄 교육 텔레비전에 야외 실험을 위한 실험국의 예비 면허를 부여하였고, 7월 26일 운용을 시작하였다. 8월 7일부터는 방송 시간대 외 심야에 기술적인 조사・시험을 위한 실험 방송을 시작하였다. FM-FM 방식, SSB-FM 방식 등 여러 방식의 비교 검토가 진행되었지만, FM-FM 방식이 우수하다는 실험 결과에 따라, 10월 말까지 2중 음성과 스테레오에 의한 실험 방송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해당 방식을 채용하는 데 기본적인 문제는 없었지만, 추가 검토를 위해 NHK 종합 텔레비전(도쿄・오사카)에서 실험 방송을 계속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NHK 도쿄 교육 텔레비전 실험국은 11월 30일 폐국되었다.

1969년 12월 21일, 도쿄・오사카 양 지역의 NHK 종합 텔레비전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서 실험 방송이 시작되었다.

1972년 3월, 전파 기술 심의회는 각 방식의 비교 실험, NHK의 야외 실험 방송 등을 토대로 조사 검토한 결과, 현행 방송과의 양립성을 고려하면 FM-FM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기술 기준과 특성을 제시한 후 우정 대신에게 답신을 하고, 일본에서의 규격 방식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

5. 1. 3. 실용화 시험 방송 시작

1978년 9월 22일, 우정성은 도쿄와 오사카의 NHK 종합 텔레비전 및 민방 6개국(니혼 TV, TBS, 후지 텔레비전, TV 아사히, 도쿄 12채널(당시), 요미우리 TV 방송)에 최초의 음성 다중 실용화 시험국의 예비 면허를 부여했다.

같은 해 9월 28일, 우정성은 도쿄와 오사카의 NHK 종합 텔레비전과 니혼 TV에 최초의 음성 다중 실용화 시험국의 본 면허를 부여했다. 니혼 TV는 그 직후 『미세스 & 미세스』 프로그램 내에서 해당 방송 개시 특별 코너를 마련, 핫토리 야스시 우정 대신(당시)을 초청하여 오전 10시 01분, 세계 최초의 음성 다중 방송 실용화 시험 방송을 시작했다.

10월 1일에는 NHK 도쿄・오사카 각 종합 텔레비전과 오사카의 요미우리 TV 방송이, 다음 날에는 후지 텔레비전이 음성 다중 방송을 시작했다. 그 해 안에는 모든 재경 민방 키국이, 1979년 3월까지는 모든 재한 민방 준 키국이 음성 다중 방송을 시작했다. 나고야를 비롯한 대도시나 지방 도시에서도 기타니혼 방송 (1978년 12월 23일 시작)을 필두로 음성 다중 방송이 시작되었다.

5. 1. 4. 2음성 다중 방송의 탄생

1979년 10월 7일, 니혼 TV는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개표 속보 프로그램에서 부음성을 통해 화면과 관계없는 정보를 방송했다. 이는 당시 방송법 위반으로 간주되어, 1980년 5월 31일 우정성으로부터 문서로 엄중 주의를 받았다.

1980년 6월 22일에 실시된 제3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및 제12회 참의원 의원 통상 선거의 개표 속보 특별 프로그램에서, 니혼 TV는 음성 다중 방송의 부음성을 활용하고자 노력했고, 6월 9일 우정성은 이번 선거에 한해 선거 속보 보충 내용에 한해 부음성 방송을 허용하는 방침을 결정했다.

6월 23일, 일본 최초의 공식적인 2음성 다중 방송이 실시되었다. 니혼 TV, 후지 텔레비전, TV 아사히, 도쿄 12채널(당시)이 실시했으나, TBS 텔레비전NHK는 실시하지 않았다.

1980년 12월 19일,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의 면허 방침"이 수정되어 2음성 다중 방송이 인정되었다. 부음성 방송 조건은 방송 중인 프로그램과 동시성 및 관련성이 있어야 했지만, 재해 정보는 예외였다.

1981년 1월 23일, 이 방침이 모든 음성 다중 방송 실용화 시험국에 시행되었다. 니혼 TV는 뉴스 프로그램에서, TBS 텔레비전은 일기 예보 데이터 방송에서, 도쿄 12채널(당시)은 주식 시황 방송에서 2음성 다중 방송을 시작했다. NHK1981년 3월 1일 고전 예능 감상회에서 부음성 해설 방송을 시작으로 2음성 다중 방송을 실시하였다.

5. 1. 5. 본방송 시작으로

1982년 12월 1일, 음성 다중 방송 실용화를 위한 개정 방송법과 관련 법규(정령, 성령, 면허 방침)가 시행되면서, 음성 다중 방송은 본방송 면허를 받게 되었다.

이전에 실용화 시험국으로 면허를 받았던 방송국들은 면허 갱신 시 본방송 면허로 전환되었다. 마이니치 방송 텔레비전1982년 12월 8일에 본방송 제1호 면허를 받았다. 이어서 TV 니시니혼(12월 12일), 홋카이도 방송 텔레비전(12월 14일), TV 아사히(12월 16일), 간사이 텔레비전(12월 20일), 기타니혼 방송 텔레비전(12월 22일)이 실용화 시험국 면허 유효 기간 만료에 따른 재면허로 본방송 면허로 전환했다.

1982년 12월 17일에는 도쿄, 오사카, 마에바시의 NHK 종합 텔레비전과 니혼 TV, TV 도쿄 외 2개 사에 본 면허가 부여되었다. 개정 이후 새롭게 음성 다중 방송 면허를 신청한 방송국은 모두 본방송으로 면허를 받았다.

5. 2. 개요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에서는 2채널 스테레오 방송과 이중 음성 방송(부 음성 부착 방송, 2개 국어 방송, 해설 방송)이 있었다. 음성 다중 방송을 실시하는 방송국에는 JO**-'''TAM''' 호출 부호가 할당되었다.[30] 2채널 스테레오 방송은 수신기의 좌우 2개 음성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여, 음악, 스포츠, 드라마, 애니메이션, 토크, 버라이어티, 뉴스 프로그램 등에서 이용되었다.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용 규격(NTSC의 확장 규격)에서는 FM-FM 방식으로 방송파 중 2개의 반송파 채널(주 음성용과 부 음성용)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신한다.

5. 2. 1. 이중 음성 방송

이중 음성 방송은 뉴스나 해외 영화 등에서 일본어 음성과 외국어(현지) 음성을 모두 넣어 방송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때, 주로 나오는 음성(대부분 일본어)을 '''주 음성'''이라고 하고, 다른 한쪽 음성(외국어)을 '''부 음성'''이라고 한다. 부 음성에 같은 언어로 보충 설명을 덧붙이는 프로그램은 '''해설 방송'''이라고 한다.[30]

일본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FM-FM 방식으로 주 음성과 부 음성, 두 개의 반송파 채널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신한다.[30] 음성 다중 방송을 지원하는 수신기에서는 주 음성 또는 부 음성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 좌우 음성이 분리되어 출력된다.[32]

디지털 방송에서는 방송 신호의 ID 부분에 음성 방식(이중 음성, 멀티 음성, 5.1ch 서라운드 등)을 구별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이를 통해 음성 전환 제어가 이루어진다.[36][37]

일본 방송 협회(NHK)에서는 고령자를 위해 배경음악이나 효과음을 줄이고, 나레이션 등을 듣기 쉽게 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5. 2. 2. FM-FM 방식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용 규격(NTSC의 확장 규격)에서는 FM-FM 방식으로 방송파 중 2개의 반송파 채널(주 음성용과 부 음성용)을 이용하여 음성이 송신된다.[30]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 주 음성용 채널에는 좌우(L, R)의 혼합 음성(L+R), 부 음성용 채널에는 좌우의 차 음성(L-R) 신호를 싣는 화차 방식으로 스테레오 비대응 수신기에서도 불편함 없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30]

스테레오 비대응 수신기로 2개 국어 방송을 시청한 경우[31]에는 주 음성용 채널의 신호만 복원된다.

음성 다중 방송 대응 수신기에서는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 좌우 음성이 분리[32]되고, 2개 국어 방송의 경우에는 주 음성 또는 부 음성을 임의로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 (단, 각각은 모노럴 음성으로, 좌우에 똑같은 내용을 출력한다.)

5. 2. 3. 스테레오 비대응 수신기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 스테레오에 대응하지 않는 수신기에서는 좌우 혼합 음성(L+R) 신호만 복원된다.[30] 마찬가지로, 스테레오 비대응 수신기로 2개 국어 방송을 시청하면 주 음성 채널의 신호만 복원된다.[31]

5. 2. 4. 음성 다중 방송 대응 수신기

음성 다중 방송 대응 수신기에서는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 좌우 음성이 분리되고[32], 2개 국어 방송의 경우에는 주 음성 또는 부 음성을 임의로 선택하여 들을 수 있다(단, 각각은 모노럴 음성으로, 좌우에 똑같은 내용을 출력). 스테레오 음성의 경우 좌측 채널 음성을 왼쪽 스피커에서만, 오른쪽 채널 음성을 오른쪽 스피커에서만 출력하거나, 한쪽 신호만을 모노럴 음성으로 좌우 양쪽에서 출력하는 등 다양한 전환 및 선택이 가능하다[33].

5. 2. 5. Hi-Fi 비디오

Hi-fi 비디오 기종은 스테레오 방송을 스테레오 2채널(ch) 음성으로, 2개 국어 방송은 주 음성과 부 음성을 모두 기록할 수 있다. 재생 시에는 스테레오 방송의 경우 스테레오 2채널 음성이, 2개 국어 방송의 경우에는 주/부 음성을 전환하여 선택 출력할 수 있다.[34]

5. 2. 6. 식별 신호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스테레오 방송과 이중 음성 방송(부 음성 부착 방송, 2개 국어 방송, 해설 방송)을 구별하기 위해 부 음성 반송파에 식별 신호를 다중화하여 사용한다. 즉, 음성 대역 밖의 높은 주파수 대역에 식별 신호를 포함시켜 수신 측에서 이를 검출하고, 가청 음성(사람이 듣고 인식할 수 있는 음성)으로의 출력을 제어한다.[34]

디지털 방송에서는 방송파의 디지털 신호 ID 부분에 음성 방식(이중 음성 방송, 멀티 음성 방송[35], 5.1ch 서라운드 스테레오 방송 등)을 식별하기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수신기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음성 출력을 전환 제어한다.[36][37]

5. 2. 7. 기타

과거에는 부 음성을 이용하여 음향 커플러용 음성이나 컴퓨터의 데이터 레코더용 음성을 내보내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1990년대에 스테레오 방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이 급격히 늘어난 것은 비디오 데크의 CM 컷 기능 대책이라고도 한다.[38]

5. 3. 정비 상황

음성 다중 방송을 실시하려면 마스터, 송신기, 네트워크 회선 등 방송 장비를 음성 다중 사양으로 만들어야 한다.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의 경우, 기존 방송국은 설비 변경이 필요했고 신규 방송국은 음성 다중 사양 설비를 도입하여 실시할 수 있었다.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의 경우 네트워크 회선 정비도 필요하여 지역적 차이가 발생했다. 지상 디지털 TV는 규격상 처음부터 음성 다중 사양으로 되어 있어 지역적 차이가 없었다.

위성 방송은 NHK와 민영 방송의 BS·CS 각 방송국 모두, 아날로그·디지털 방송에 관계없이, 위성 하나로 일본 전국을 커버하고 있어 방송 설비도 원래부터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지역에서나 수신이 가능하므로 지역 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5. 3. 1.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대학[41]을 제외한 NHK·민영 방송국 모두에서 음성 다중 방송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방송 설비 문제로 인해, 실시에는 지역적으로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었다. 텔레비전의 동시 네트워크 회선 정비 등의 상황도 그 원인 중 하나였다.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시대에는 방송 시작 전에는 음성이 모노럴 사양이었기 때문에, 기존 방송국에서 음성 다중 방송을 실시하려면 설비를 변경해야 했다. 반면, 신규 개국하는 경우에는 처음부터 음성 다중 사양의 설비를 도입하면 되었다. 또한, 전국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비롯해 방송국 간 동시 네트워크를 할 때에는 네트워크 회선도 음성 다중 사양으로 정비해야 했다. 그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에서의 음성 다중 방송 시작은 지역적으로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그에 반해, 지상 디지털 TV의 경우에는 규격상 처음부터 음성 다중 사양으로 되어 있었고, 동시 네트워크 회선도 광섬유 케이블에 의한 디지털 회선을 사용하고 있어, 송신 및 수신 모두 초기 단계부터 대응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역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6. 일본의 라디오 방송

FM 라디오에서는 AM-FM 방식으로, AM 라디오에서는 양립성 직교 진폭 변조 방식으로 스테레오 음성이 전송된다. 이때 주 반송파에서는 좌우 혼합 음성이 전송되므로, 스테레오 미지원 수신기에서도 모노럴 음성 수신이 가능하다.[1]

FM 방송 개시 이전에는 AM 라디오 방송 2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NHK 라디오 제1·제2 방송, 분카 방송·닛폰 방송 공동 등) 스테레오 방송을 한 적도 있다.[1]

BS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WOWOW가 사용하던 BS 아날로그 5ch에서 독립 음성 방송 "센트 기가"(WINJ의 전신)가 PCM 방식 음성으로 방송되었다.[1]

참조

[1] 논문 テレビ音声多重放送の研究開発の歴史 https://doi.org/10.3[...] 映像情報メディア学会 2011
[2] 문서
[3] 서적 NHK年鑑'70 日本放送出版協会 1970
[4] 서적 NHK年鑑'70 日本放送出版協会 1970
[5] 웹사이트 NHKアーカイブス NHKクロニクル「劇映画 『ぼくはついてる』」 1969年12月21日放送 https://www.nhk.or.j[...]
[6] 서적 NHK年鑑'72 日本放送出版協会 1972
[7]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NHKコンサートホール」1970年8月9日 https://www.nhk.or.j[...]
[8]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NHKコンサートホール」1970年8月23日 https://www.nhk.or.j[...]
[9]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NHKコンサートホール」1971年9月12日 https://www.nhk.or.j[...]
[10]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NHKイタリア歌劇公演 歌劇『リゴレット』(ヴェルディ作曲) 1971年9月11日 https://www.nhk.or.j[...]
[11] 웹사이트 NHKクロニクル「NHKイタリア歌劇公演 歌劇『椿姫』(ヴェルディ作曲) 1973年9月23日 https://www.nhk.or.j[...]
[12] 서적 NHK年鑑'71 日本放送出版協会 1971
[13] 서적 NHK年鑑'73 日本放送出版協会 1973
[14] 뉴스 多重放送に予備免許 テレビ 民放六社とNHK 朝日新聞 1978-09-23
[15] 뉴스 読売新聞 読売新聞社 1978-09-23
[16] 뉴스 毎日新聞 毎日新聞社 1978-09-28
[17] 뉴스 中日新聞 中日新聞社 1978-09-28
[18] 문서
[19] 뉴스 音声多重放送違反は『注意』だけ 朝日新聞 1980-06-01
[20] 뉴스 今選挙の開票 多重放送許可 郵政省 朝日新聞 1980-06-10
[21] 뉴스 テレビ欄 朝日新聞 1980-06-23
[22] 서적 NHK年鑑'81 日本放送出版協会 1981
[23] 뉴스 TVあらかると『音声多重放送 広がった利用わく』 朝日新聞 1981-02-20
[24] 뉴스 「音声多重」の拡大利用を許可 テレビ番組一層多彩に 読売新聞 1981-01-24
[25] 뉴스 テレビ・ラジオ欄 読売新聞 1981-03-01
[26] 뉴스 中継車『野球放送で音声多重 きょうから日本テレビ』 読売新聞 1981-03-26
[27] 서적 NHK年鑑'83 日本放送出版協会 1983
[28] 간행물 毎日放送50年史 毎日放送 2001-09-01
[29] 서적 NHK年鑑'83 日本放送出版協会 1983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デジタル放送が登場した当初は、多重音声の方式の違い(二重音声/マルチ音声)への考慮として、多くの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のリモコン装置での「二重音声および2チャンネルステレオのLR切り替え」と「マルチ音声の信号切り替え」の切替は操作ボタンを分けていたが、地上波アナログテレビ放送の終了する過渡期以降は、両方式の切替ボタンを統合した操作形態の方が主流になった。
[37] 문서 テレビ([[ビデオモニター|モニタ装置]])にAV機器([[DVD]]/[[Blu-ray Disc|BD]]/[[HDD]]などの[[デジタルビデオ]]レコーダーおよびプレーヤー、単体[[チューナー]]など)を接続し、それらの機器からの音声出力をデジタルにした場合、出力設定を[[PCM]]か[[ビットストリーム|Bitstream]]かを選択するタイプのものが多いが、Bitstreamを選んだ場合は、レコーダー/プレーヤー側の操作では音声切替が出来なくなる(但し、画面に表示される動作状態では切り替わっている旨の表示がなされる)動作をする。使用上の支障がある場合は、必要に応じてデジタル音声の出力設定をPCMに変更するか、接続形態をアナログ接続([[コンポジット端子]]接続/[[S端子]]+アナログ音声接続/[[コンポーネント端子]]接続/[[D端子]]接続など)に変更する。
[38] 문서 しかし、地上デジタル放送では常時ステレオ信号なのでモノステレオ音源で放送されていた。
[39] 문서 日本での一般個人向けのCSデジタル放送には、東経110度にある通信衛星によるCS放送と東経128度/東経124度にある通信衛星によるCS放送の2種類に大別(詳細は[[衛星放送]]の記事を参照)され、前者は[[ISDB]]、後者は[[デジタルビデオブロードキャスティング|DVB]]方式で行われている。
[40] 문서 初期設定メニューなどに二重音声の設定がある機器の場合、電源再投入時の動作はその設定に従う仕様のものもある。
[41] 문서 尚、スカパー!での放送を含むデジタルテレビ放送では、放送開始15分前のテストパターンと放送終了前のイメージソング・大学学歌のみステレオ放送を実施している。
[42] 간행물 ズーム・アップ テレビ音声多重中継回線開通へ 日本民間放送連盟
[43] 간행물 放送日誌(54年12月) 日本民間放送連盟
[44] 웹사이트 日本テレビ 会社概要 日本テレビ略史(日本テレビ公式ページ) https://www.ntv.co.j[...] 2023-10-03
[45] 서적 よみうりテレビの20年 : 写真と証言 讀賣テレビ放送株式会社 1979-07
[46] 서적 TBS50年史 株式会社東京放送 2002-01
[47] 서적 TBS50年史 資料編 株式会社東京放送 2002-01
[48] 웹사이트 株式会社毎日放送 会社紹介 沿革(毎日放送公式ページ) https://www.mbs.jp/m[...] 2023-10-03
[49] 서적 毎日放送50年史 株式会社 毎日放送 2001-09-01
[50] 서적 テレビ朝日社史 : ファミリー視聴の25年 全国朝日放送 1984-02-01
[51] 웹사이트 テレビ朝日 会社情報 社史(テレビ朝日公式ページ) https://company.tv-a[...] 2023-10-03
[52] 웹사이트 北日本放送 沿革(北日本放送公式ページ) https://www.knb.ne.j[...] 2023-10-03
[53] 뉴스 テレビに"多重放送時代" 多重放送 週に17時間放送「チャンネル1」など 北日本新聞 1978-12-23
[54] 서적 テレビ東京20年史 テレビ東京 1984-04-12
[55] 웹사이트 テレビ東京 会社案内 沿革(テレビ東京公式ページ) https://www.tv-tokyo[...] 2023-10-03
[56] 문서 同放送の初の番組は、同日23時50分からの映画『[[冬のライオン]]』の2か国語放送だった。
[57] 뉴스 テレビ欄 朝日新聞大阪版 1995-01-03
[58] 서적 朝日放送の50年 Ⅲ 資料集 朝日放送株式会社 2000-03-31
[59] 웹사이트 朝日放送 沿革(朝日放送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のサイト) https://corp.asahi.c[...] 2025-01-01
[60] 웹사이트 ABC創立65周年記念 ABC65年のあゆみ(朝日放送テレビ公式ページ) https://www.asahi.co[...] 2023-10-03
[61] 뉴스 テレビ欄及び同ページでのSTV広告「音声多重放送 本日スタート」 朝日新聞北海道版 1979-07-01
[62] 문서 開局前に、同年[[6月24日]]からのサービス放送開始と同時に、音声多重も同放送扱いとして開始している。
[63] 문서 中京テレビのみ、事前にサービス放送を、同年[[6月15日]]から開始している。
[64] 간행물 放送日誌(54年8月) 日本民間放送連盟
[65] 서적 中部日本放送50年のあゆみ 2000
[66] 서적 東海テレビ放送開局50年史 つたえるつなぐ 2009
[67] 서적 NHK年鑑'80 日本放送出版協会 1980
[68] 서적 NHK年鑑'80 日本放送出版協会 1980
[69] 웹사이트 RSK山陽放送 会社概要 https://www.rsk.co.j[...] 2023-06-26
[70] 간행물 放送日誌(55年2月) 日本民間放送連盟
[71] 웹사이트 RSK HD 訂正有価証券報告書-第72期(2019/04/01-2020/03/31)(IR BANKのサイト) https://irbank.net/E[...] 2023-06-26
[72] 웹사이트 会社概要 沿革(tbc東北放送) https://www.tbc-send[...] 2023-06-28
[73] 간행물 放送日誌(55年3月) 日本民間放送連盟
[74] 서적 放送この十年 RKB毎日放送創立30周年記念 RKB毎日放送 1981-12-15
[75] 서적 九州・福岡RKB放送史事典 : RKB毎日放送創立50年記念 RKB毎日放送 2001
[76] 간행물 放送日誌(55年4月) 日本民間放送連盟
[77] 웹사이트 西日本放送の歴史 沿革(西日本放送) https://www.rnc.co.j[...] 2023-06-28
[78] 서적 長野放送二十年の歩み 長野放送 1989
[79] 문서
[80] 뉴스 SBC・NBSの音声多重放送 あすから本格開始 記念番組を編成しPR 信濃毎日新聞 1980-06-30
[81] 서적 NHK年鑑'81 日本放送出版協会 1981
[82] 문서
[83] 문서
[84] 서적 新潟放送40年のあゆみ 新潟放送 1992-10-15
[85] 뉴스 BSNテレビで、きょう開始 音声多重放送 新潟日報 1980-11-29
[86] 문서
[87] 서적 写真でつづる テレビ新潟10年のあゆみ (株)テレビ新潟放送網 1991-11
[88] 뉴스 新潟日報 1981-07-01
[89] 서적 NHK年鑑'82 日本放送出版協会 1982
[90] 문서
[91] 서적 九州朝日放送30年史 1983
[92] 서적 静岡放送50年史 静岡放送 2002
[93] 문서
[94] 문서
[95] 서적 NHK年鑑'83 日本放送出版協会 1983
[96] 문서
[97] 서적 NHK年鑑'84 日本放送出版協会 1984
[98] 뉴스 NHK長野も音声多重放送 信濃毎日新聞 1983-06-10
[99] 문서
[100] 서적 NHK年鑑'85 日本放送出版協会 1985
[101] 뉴스 きょうから福島で音声多重放送開始 福島民報 1984-08-02
[102] 문서
[103] 문서 uhb20年の歩み 北海道文化放送 1993
[104] 웹사이트 NHK山口放送局の沿革 https://www.nhk.or.j[...]
[105] 서적 テレビ神奈川35年史 株式会社テレビ神奈川 2007-12-20
[106] 뉴스 1988年8月7日新聞紙面 10ページ(8月7日テレビ欄) 朝日新聞 1988-08
[107] 웹사이트 サガテレビ「会社案内」会社沿革 https://www.sagatv.c[...] 2023-06-27
[108] 서적 NHK年鑑'86 日本放送出版協会 1986
[109] 문서
[110] 웹사이트 富山テレビ放送「会社概要」沿革 https://www.bbt.co.j[...] 2023-06-27
[111] 서적 名古屋テレビ放送50年史 名古屋テレビ放送
[112] 뉴스 テレビ欄 P.24 信濃毎日新聞 1986-07-01
[113] 서적 NHK年鑑'87 日本放送出版協会 1987
[114] PDF NHK徳島放送局サイト「局のあゆみ」 https://www.nhk.or.j[...]
[115] 웹사이트 NHK高知放送局サイト「NHK高知放送局のあゆみ」 https://www.nhk.or.j[...]
[116] 서적 四国放送の50年 四国放送 2002
[117] 서적 夢にはじまる 南海放送五十年史
[118] 서적 NHK年鑑'91 日本放送出版協会 1991
[119] 뉴스 朝日新聞1992年4月1日朝刊 32ページ(テレビ欄) 朝日新聞 1992-04
[120] 뉴스 朝日新聞1995年4月2日朝刊 20ページ(翌4月3日のテレビ欄) 朝日新聞 1995-04
[121] 뉴스 テレビ欄 朝日新聞 1995-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