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우옌흐우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우옌흐우토는 프랑스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며 베트남 독립 운동에 참여한 인물이다. 그는 1949년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비엣꽁) 중앙위원회 의장과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협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베트남 통일 이후 부주석을 거쳐 임시 국가 주석을 지냈으며, 1981년부터 1992년까지 국가 평의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그는 1996년 호치민 시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롱안성 출신 - 쯔엉떤상
쯔엉떤상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베트남 국가 주석을 역임했으며, 베트남 노동당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 호치민시 인민위원회 위원장과 호치민시 당위원회 서기를 거쳐 국가 주석에 선출되어 산업화와 현대화, 외교에 힘썼다. - 베트남의 변호사 - 부반머우
부반머우는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 태어나 법학자 및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응오딘지엠 정권에서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남베트남 총리로 임명되어 사이공 함락 직전 항복을 선언한 후 프랑스로 망명했다. - 흥옌성 출신 - 응우옌반린
응우옌 반 린은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도이 모이 경제 개혁을 주도했으며, 프랑스 식민 지배 저항 운동 참여, 베트콩 게릴라 활동 지휘, 사이공 당 서기 역임 등의 경력을 가진 인물로서, 시장경제 도입을 통해 베트남 경제 성장에 기여했으나 부작용을 비판하며 말년에는 자본주의 정책 폐기를 주장하고 미국,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 흥옌성 출신 - 단씨점
단씨점은 1705년 베트남에서 태어난 시인으로, 당쩐꼰의 한시를 쯔놈으로 번역하고 여성들을 위한 작품을 썼으며 1748년 남편과 사별했다.
응우옌흐우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응우옌흐우토 (Nguyễn Hữu Thọ) |
로마자 표기 | Nguyen Huu Tho |
한자 표기 | 阮有壽 |
출생일 | 1910년 7월 10일 |
출생지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롱안성 벤륵현 |
사망일 | 1996년 12월 24일 |
사망지 | 베트남 호찌민시 |
국적 | 베트남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베트남 공산당 (1949–1994) |
국가 주석 대행 | 시작: 1980년 3월 30일 종료: 1981년 7월 4일 |
국가 주석 대행의 전임자 | 톤득탕 |
국가 주석 대행의 후임자 | 쯔엉찐 (국가평의회 의장으로서) |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주석 | 시작: 1969년 6월 8일 종료: 1976년 7월 2일 |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주석의 전임자 | 신설 |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주석의 후임자 | 톤득탕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주석으로서) |
국회 의장 | 시작: 1981년 4월 26일 종료: 1987년 4월 19일 |
국회 의장의 전임자 | 쯔엉찐 |
국회 의장의 후임자 | 레꽝다오 |
국가 부주석 | 시작: 1976년 7월 2일 종료: 1992년 7월 19일 |
국가 부주석의 전임자 | 응우옌르엉방 (북베트남 부주석으로서) |
국가 부주석의 후임자 | 응우옌티빈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중앙위원회 의장 | 시작: 1962년 2월 16일 종료: 1977년 1월 31일 |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중앙위원회 의장의 후임자 | 신설 |
수상 | |
수상 내역 | 금성훈장 레닌 평화상 |
2. 생애
응우옌흐우토는 프랑스 식민지 시절 변호사로 활동하며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 지도자를 거쳐 베트남 통일 이후 고위직을 역임한 인물이다.
1959년 응오딘지엠 정권에 항거하여 반정부 운동을 주도하다가 정치범으로 체포, 수감되었으며 베트남 전쟁이 진행 중이던 1961년에 탈옥하여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에 사령관 자격으로 참전했다. 석방된 후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중앙위원회 의장이 되었다. 1969년부터 1976년 남베트남이 북베트남에 병합될 때까지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협의회 의장을 역임했다.
1975년 남베트남 임시 혁명 정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1976년까지 의장이 되어 남베트남 지역을 정리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프랑스 유학
응우옌흐우토는 1930년 프랑스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1933년에 귀국하여 프랑스 식민 법정에서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변호하는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였다.[2][3] 1947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한창이던 시기에 남베트남 지역에서 프랑스의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직간접적 간섭에 반발하여 변호사, 엔지니어, 의사, 약사, 교사, 기자 수백 명을 동원하여 사이공의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였다.1948년 베트남 민족 연맹에 가입했고, 1949년에는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하였다.[2][3] 1950년부터 1952년까지 구금되기도 하였다. 그는 이후 1954년 제네바 협정을 지지했지만, 응오딘지엠 정부에 반대하였다. 1954년 8월, 평화와 제네바 협정 수호를 위한 위원회를 창설했으나, 같은 해 11월 남베트남 정부에 의해 탄압받고 금지되었으며, 응우옌흐우토와 다른 위원회 구성원들은 경찰 급습 후 투옥되었다.[2][3]
2. 2. 인권 변호사 활동과 반프랑스 독립운동
1930년 프랑스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1933년에 귀국하여 프랑스 식민 법정에서 무고하고 가난한 사람을 변호하는 인권 변호사로 활동하였다. 1947년,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한참이던 시기에 남베트남 지역에서 프랑스의 남베트남 정부에 대한 직간접적 간섭에 반발하여 변호사, 엔지니어, 의사, 약사, 교사, 기자 수백명을 동원하여 사이공의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였다.[2][3]1959년 응오딘지엠 정권에 항거하여 반정부 운동을 주도하다가 정치범으로 체포, 수감되었으며 베트남 전쟁이 진행 중이던 1961년에 탈옥 후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비엣꽁)에 사령관 자격으로 참전했다.
코친차이나에서 활동한, 프랑스에서 교육받은 변호사였으며,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의 회원이자 베트남 독립 투쟁에 참여했다. 1948년 베트남 민족 연맹(Liên Việt)에 가입했고, 1949년에는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50년부터 1952년까지 구금되었다. 이후 1954년 제네바 협정을 지지했지만, 남베트남 대통령 응오딘지엠 정부에는 반대했다. 1954년 8월, 평화와 제네바 협정 수호를 위한 위원회를 창설했으나, 같은 해 11월 남베트남 정부에 의해 탄압받고 금지되었으며, 응우옌흐우토와 다른 위원회 구성원들은 경찰 급습 후 투옥되었다.[2][3] 1961년 탈출에 성공할 때까지 구금 상태에 있었다.
2. 3.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베트콩) 활동
1959년 응오딘지엠 정권에 항거하여 반정부 운동을 주도하다가 정치범으로 체포되어 수감되었다. 베트남 전쟁이 진행 중이던 1961년에 감옥을 탈출,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비엣꽁)의 사령관 자격으로 참전했다.[2][3] 1965년에는 반제국주의 연설을 했는데, 이 연설은 나중에 영어로 "SPEECH"라는 제목의 소책자로 출판되었다.2. 4. 베트남 통일 이후
1975년 남베트남 임시 혁명 정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1976년까지 의장이 되어 남베트남 지역을 정리, 수습하였다.[2] 통일 후 똔득탕이 사망할 때까지 베트남의 부주석을 지냈다.[3]똔득탕 사망 후 1980년 4월부터 1981년 7월까지 임시 국가 주석을 맡았고, 1981년 7월 쯔엉찐이 임명될 때까지 재임했다. 국가 주석직 사임 후 1987년까지 국회 의장을 역임했다. 1981년부터 1992년까지 국가 평의회 부의장을 역임했으며, 1983-84년에는 레닌 평화상을 수상했다.
1996년 12월 24일 호치민시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2. 5. 사망
응우옌흐우토는 1996년 12월 24일 호치민시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3]3. 평가 및 영향
응우옌흐우토는 프랑스에서 교육받은 변호사로, 코친차이나에서 활동했으며,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의 회원이자 베트남 독립 투쟁에 참여했다.[2][3] 1949년에는 베트남 공산당에 입당했다.[2][3] 1954년 제네바 협정을 지지했지만, 남베트남 대통령 응오딘지엠 정부에 반대했다.[2][3]
1961년 탈출하여 석방된 후 민족해방전선 중앙위원회 의장이 되었다. 1969년에는 남베트남 공화국 임시 혁명 정부 협의회 의장이 되었으며, 1976년 남베트남이 북베트남에 병합될 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다.
통일 베트남에서 그는 부주석을 지냈으며, 톤득탕 사망 후에는 임시 국가 주석(1980년 4월~1981년 7월)을 맡았다. 1981년 7월 쯔엉찐이 국가 주석으로 임명될 때까지 임시 국가 주석직을 수행했다. 이후 1987년까지 국회 의장을, 1981년부터 1992년까지 국가 평의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레닌 평화상(1983-84)을 수상했다.
1996년 12월 24일 호치민 시에서 8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e la Guerre d'Indochine
Paris
2006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Indochina War (1945–1954)
Kopenhagen
2011
[2]
서적
How Pol Pot Came to Power
London: Verso
1985
[3]
간행물
Saigon: A History
2011
[4]
서적
1985
[5]
서적
2006
[6]
문서
[7]
웹사이트
http://d-arch.ide.go[...]
[8]
웹사이트
http://d-arch.ide.go[...]
[9]
뉴스
157ヵ国2機関代表が「即位の礼」に参列 外務省発表
朝日新聞
1990-11-10
[10]
뉴스
「グエン・フー・ト氏死去 ベトナム解放運動指導」
朝日新聞
199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