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성군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성군 갑은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의성군 지역 일부를 관할했던 선거구이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의성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정우일, 박영출, 김규만, 오상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군의 정치 - 의성군수
    의성군수는 경상북도 의성군의 행정을 총괄하는 자리로, 1945년부터 1995년까지는 관선 군수가 임명되었고, 1995년부터는 민선 군수가 선출되어 현재 민선 8기 김주수 군수까지 이어지고 있다.
  • 의성군의 정치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의성군의회
    1995년 의성군에서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의성군의회는 총 17개 면 지역구에서 의원을 선출했으며, 일부 지역구에서는 무투표 당선도 있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영천시 (선거구)
    영천시 선거구는 1995년 영천시와 영천군 통합 이후 15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존재했던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도군 편입으로 영천시·청도군 선거구로 변경되어 폐지되었으며, 보수정당 소속 의원들이 주로 당선되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상주군 을
    상주군 을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상주군 일부에 설치되었다가 1963년 상주군 갑 선거구와 통합되며 폐지된 선거구로, 전진한, 백남식, 김정근, 김기영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무소속 후보 강세 속 정치적 변화를 겪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의성군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의성군 갑
의회국회
큰 지도경상북도
연도1948
폐지1963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의성군
의원수1인

2. 역사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의성군의 일부 지역(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의성군 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의성군 단독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의성군 갑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대 선거 결과 요약
선거명당선인정당득표수득표율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정우일무소속9,30428.75%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박영출대한국민당5,16814.40%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박영출무소속12,02734.77%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김규만민주당14,41040.13%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오상직민주당9,04624.15%



각 선거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1948년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정우일 후보가 28.7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정우일무소속9,30428.75%
김돈무소속7,46123.06%
이순무소속5,87718.16%
오윤근대동청년단4,28513.24%
박범상무소속2,8918.93%
구입본무소속2,5357.83%
합계32,353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박영출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국민당은 이승만 대통령을 지지하는 여당이었으나, 점차 야당화되어 갔다. 박영출 후보는 14.40%의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는데, 이는 당시 난립했던 군소 정당 및 무소속 후보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영출대한국민당5,16814.40
김규만대한청년당4,77613.31
신기훈무소속4,50112.54
박노수정경연구회4,13311.51
오기수대한청년당3,99511.13
박대환무소속3,3849.43
오윤근민주국민당2,5507.10
김돈무소속1,8025.02
정우일대한국민당1,5424.29
신홍기무소속1,3143.66
권중수대한청년당1,0402.89
김충한무소속8302.31
유정훈무소속6201.72
오동근무소속2270.63
합계35,882100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박영출 후보가 34.7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재선에 성공하였다. 당시 이승만 정권의 독재화에 대한 반발로 무소속 후보들이 강세를 보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영출무소속12,02734.77%
김규만무소속10,36729.97%
신기훈무소속9,60827.78%
박태춘농민회1,5374.44%
오상식무소속6681.93%
오윤식민주국민당1960.56%
권중수무소속1830.52%
합계34,586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김규만 후보가 당선되었다. 당시 제1야당이었던 민주당은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맞서 싸웠으며, 김규만 후보는 자유당 신기훈 후보와 접전 끝에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규만민주당14,41040.13%
신기훈자유당14,38640.07%
정운수무소속7,10419.78%
합계35,900100%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4.19 혁명 이후 치러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압승을 거둔 선거였다. 경상북도 의성군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오상직 후보가 9,046표를 얻어 24.1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오상직민주당9,04624.15
신진욱민주당8,14621.74
유시벽사회대중당7,14719.08
장시영무소속5,81415.52
정운수무소속5,14113.72
박노수무소속2,1625.77
합계37,456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