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광렬은 이광헌 아우구스티노의 동생으로, 천주교 신자이다. 그는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금욕적인 삶을 살았으며, 1839년 체포되어 신앙을 증언하다가 7월 20일 참수형을 받았다. 1925년 복자,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 - 김대건
김대건 안드레아는 한국 최초의 천주교 사제이자 순교자로, 천주교 신앙을 가진 가문에서 태어나 사제의 길을 걸으며 마카오와 필리핀에서 신학을 공부한 후 조선에서 선교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26세에 순교하였고, 그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어 1984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 -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
한국의 로마 가톨릭 성인은 조선 시대 박해 속에서 순교한 천주교 신자들로, 한국 천주교 순교 성인 103위가 대표적이며, 이들의 순교는 한국 천주교회의 기반을 굳건히 하고 역사적 의미를 깊게 새기고 있으며, 현재도 추가적인 시복·시성 운동이 진행 중이다. - 1795년 출생 - 토머스 칼라일
토머스 칼라일은 19세기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프랑스 혁명사》, 《영웅 숭배론》 등의 저서를 통해 빅토리아 시대 문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웅 숭배론, 민주주의 비판 등의 사상을 펼쳤다. - 1795년 출생 - 존 키츠
존 키츠는 1795년 런던에서 태어난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으로, 가난한 환경 속에서 외과의사 견습생으로 일하다 시 창작에 몰두하여 "그리스의 옛 항아리에 대한 송가" 등의 명작을 남겼으나 25세에 결핵으로 요절했고 사후에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영국 문학의 거장이 되었다. - 광주 이씨 - 이순재
이순재는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전직 국회의원으로, 1956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60년 이상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라마 '거침없이 하이킥', 영화 '굿모닝 프레지던트' 등에 출연했으며 국회의원과 은관문화훈장을 수훈하고 예능 출연 및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 광주 이씨 - 이우재 (1934년)
이우재(1934년)는 육군 준장으로 예편 후 정치, 기업, 체육 분야에서 활동하며, 제11대 국회의원, 한국전기통신공사 초대 사장, 체신부 장관, 대한사격연맹 회장 등을 역임했다.
이광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광렬 요한 |
로마자 표기 | I Gwangryeol Yohan |
한자 표기 | 李光烈 요한 |
출생 | 1795년 |
사망 | 1839년 7월 20일 |
출생지 | 경기도 광주 |
사망지 | 서울 서소문 |
직업 | 순교자 |
신분 |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주요 활동 | |
축일 | 7월 20일 9월 20일 (로마 달력,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
시복일 | 1925년 7월 5일 |
시복자 | 교황 비오 11세 |
시성일 | 1984년 5월 6일 |
시성자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2. 생애
이광렬은 이광헌 아우구스티노의 동생으로, 형을 따라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정직하고 열정적이며 신심이 두터웠던 그는 북경을 왕래하는 천주교 신자단의 일원이었으며, 북경에서 세례를 받았다. 귀국 후 금욕적인 삶을 살며 독신으로 살기로 결심했고, 그의 신앙생활은 모든 이들이 탄복할 정도로 충직하여 언제나 하느님의 뜻을 따랐다.[1]
1839년 4월 8일 체포된 후, 이광렬은 혹독한 형벌에도 신앙을 굽히지 않았다. 형 이광헌이 먼저 처형된 후 감옥에서 기다리면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839년 7월 20일 45세의 나이로 참수되어 순교했다.
2. 1. 초기 생애와 신앙
이광렬은 이광헌 아우구스티노의 동생으로, 형을 따라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그는 정직하고 열정적이며 신심이 두터웠다. 북경을 왕래하는 천주교 신자단의 일원이었으며, 북경에서 세례를 받았다. 귀국 후에는 금욕적인 삶을 살았으며 독신으로 살기로 결심했다. 그의 신앙 생활은 매우 충직하여 모든 사람들이 탄복하였다. 그는 언제나 하느님의 뜻을 따랐다.[1]2. 2. 체포와 순교
1839년 4월 8일에 체포된 이광렬은 수차례 주뢰를 트는 혹독한 형벌을 받았다. 당시 형법에 따르면 한 차례 심문 때마다 형리는 죄수를 각각의 몽둥이가 부러질 때까지 30 차례씩 매질하는 관행이 있었다. 이광렬은 모든 고통을 견디며 신앙을 증언하였다. 그는 형 이광헌과 함께 처형될 예정이었으나, 조선 형법에 따라 형제가 같은 날 처형될 수 없었기에 형이 먼저 처형되고 이광렬은 감옥에서 기다렸다. 감옥에서도 그의 언행은 많은 사람들에게 감명을 주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839년 7월 20일 일곱 명의 교우들과 함께 참수되었다. 그의 나이 45세였다.3. 시복 및 시성
1925년 7월 5일 로마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비오 11세가 집전한 79위 시복식을 통해 복자 품에 올랐고,[4] 1984년 5월 6일 서울특별시 여의도에서 한국 천주교 창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집전한 미사 중 이뤄진 103위 시성식을 통해 성인 품에 올랐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 Martyrology
https://www.vatican.[...]
The Vatican
[2]
서적
The new glories of the Catholic church, 1859 pg. 41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http://www.pauline.o[...]
2008-05-09
[4]
뉴스
교황, 화해와 평화..8월의 크리스마스되길
http://www.pbc.co.kr[...]
평화방송
2014-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