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금이는 1962년 충청북도에서 태어나 1984년 동화 《영구랑 흑구랑》으로 등단한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이다.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주로 쓰며 농촌 현실과 여성, 약자에 대한 관심을 보여왔다. 주요 작품으로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유진과 유진》,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 등이 있으며, IBBY 어너리스트,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한국 후보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2년 출생 - 정경심
정경심은 자녀 입시 비리 혐의로 징역 4년형이 확정되어 복역 후 가석방된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대학교수였다. - 1962년 출생 - 원유철
원유철은 고려대학교 졸업 후 5선 국회의원, 새누리당 원내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핵무장을 주장하고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이금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금이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작가 |
장르 | 청소년 문학, 어린이 문학 |
2. 생애
이금이는 1962년 충청북도 청원에서 태어나 1968년 서울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어린 시절 방학 때마다 할머니 댁을 방문하면서 할머니의 사랑을 받았으며, 할머니가 들려주는 이야기는 작가로서의 자양분이 되었다. 초등학생 시절에는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을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웠고, 특히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를 읽고 작가가 되기로 결심했다.[1]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습작을 거듭하여 1984년 ‘새벗문학상’에 동화가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고, 1985년에는 어린이잡지 《소년중앙》 문학상에도 당선되었다.[1]
1989년 결혼과 함께 충청북도 청원의 농촌 마을로 이주했는데, 이는 ‘농민의 삶’에 대한 관심과 농촌 운동에 몸담은 남편의 영향이 컸다. 그러나 그곳에서 농촌의 무거운 현실과 충돌하는 경험을 하며, 자연과 환경을 보호하려는 의지와 함께 사회를 향한 문제의식도 발전해갔다.[1]
1999년, 경제적 상황이 어려워져 농촌 생활을 정리하고 서울로 이주한 후, 아동문학과 청소년문학 창작에 집중하여 한국 문학에서 생소한 장르였던 청소년소설 장르를 개척했다. 2004년에는 청소년소설 《유진과 유진》을 발표했다.
2016년에는 장편 역사소설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를 발표했고, 이 작품으로 2018년 IBBY 어너리스트 글 부문 작가로 선정되었다.[1] 2020년에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한국 후보로 선정되었고,[2] 영어로 출판된 첫 소설인 ''The Picture Bride''와 ''유진과 유진''은 뮤지컬로 각색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1962년 충청북도 청원에서 태어나 1968년 서울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어린 시절 방학마다 할머니 댁을 방문하며 할머니로부터 많은 이야기를 들었고, 이는 작가로서의 자양분이 되었다.[1] 초등학생 시절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을 읽으며 작가의 꿈을 키웠으며, 특히 《알프스의 소녀 하이디》에 감명받았다.[1]2. 2. 등단과 초기 활동
이금이는 1984년 〈영구랑 흑구랑〉으로 등단했다.[1]2. 3. 농촌으로의 이주와 현실 인식
1989년 결혼과 함께 충청북도 청원의 농촌 마을로 이주했다. 이는 농촌 운동에 몸담았던 남편의 영향도 있었지만, 어린 시절의 꿈을 간직한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도 컸다.[1] 그러나 이금이는 그곳에서 농촌의 무거운 현실과 마주하게 된다.[1] 도시와 농촌의 빈부 격차, 산업 위주의 경제성장으로 인한 농촌의 경제적 어려움, 가족 해체, 아동 소외, 환경오염 등의 문제들을 직접적으로 경험하며, 작품 세계에 큰 변화를 겪게 된다.[1]2. 4. 도시로의 이주와 청소년소설 개척
1999년 이금이는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농촌 생활을 정리하고 서울로 이주하게 된다. 이후 아동문학과 청소년문학 창작에 전념하며, 특히 한국 문학에서 생소했던 청소년소설 장르를 개척하는 데 앞장섰다. 2004년에는 성폭력 피해를 입은 두 소녀의 이야기를 다룬 청소년소설 《유진과 유진》을 발표하여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2. 5. 역사소설 발표와 IBBY 어너리스트 선정
2016년 장편 역사소설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를 발표하였다. 이 작품은 한국 현대사의 아픔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작품으로, 이금이는 이 작품으로 2018년 IBBY 어너리스트 글 부문 작가로 선정되었다.[1]3. 문학 세계
이금이는 결혼과 출산, 육아 경험을 통해 여성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고 작품을 통해 여성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왔다. 초기작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에서는 비전형적인 새엄마를 등장시켜 '모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고, 이는 한국 동화에서 '새엄마'에 대한 인식을 발전시켰다.[1] 2004년에는 성폭력이라는 민감한 소재를 다룬 청소년소설 《유진과 유진》을 발표하여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1] 2013년에는 《얼음이 빛나는 순간》을 통해 10대 소녀의 원치 않는 임신과 출산 문제를 다루었으며,[1] 최근작인 장편 역사소설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에서는 한국 현대사와 전쟁, 성폭력 문제를 전면에 등장시키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었다.[1]
농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농촌의 현실을 작품에 반영해왔는데,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시리즈에서는 농촌 가정의 어려움과 새엄마, 입양, 노인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었다. 《너도 하늘말나리야》에서는 한부모 가정 소녀의 성장 과정을 통해 농촌과 도시의 대비를 보여주었다.[14]
또한,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왔다. 장편동화 내 어머니 사는 나라는 남북통일과 이산가족의 만남에 대한 바람을,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는 발달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처럼 이금이는 한국에서 청소년소설이라는 장르를 주목하고 시도한 초기 작가 중 한 명으로,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했다.
3. 1. 여성 문제에 대한 관심
이금이는 결혼과 출산, 육아를 경험하면서 여성의 삶을 새롭게 인식하였고, 작품을 통해 여성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왔다. 초기작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에서는 비전형적인 새엄마를 등장시켜 '모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졌다.[1] 이 새로운 인물은 한국 동화에서 '새엄마'에 대한 인식을 한 차원 발전시켰다.[1]2004년에는 성폭력이라는 민감한 소재를 다룬 청소년소설 《유진과 유진》을 발표했다.[1] 이 작품은 어린 시절 성추행을 당한 경험이 있는 두 소녀가, 각기 다른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맞이하는 이야기를 다룬다.[1] 작가는 유아나 청소년이 성폭력 피해를 입었을 때 어른의 역할이 중요하며, 잘못될 경우 피해자의 자기존중감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1] 이 작품은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에서 금기시되던 '성의 문제'를 공론화했다는 큰 의미를 지닌다.[1]
2013년에 발표된 청소년 소설 《얼음이 빛나는 순간》은 10대 소녀의 원치 않는 임신과 출산 문제를 다룬다.[1] 남성 주인공의 고민 역시 함께 드러내며, 두 소년 소녀가 출산과 양육을 함께하며 긍정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성장 과정을 희망적으로 제시한다.[1]
최근작인 장편 역사소설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는 한국 현대사와 전쟁, 성폭력 문제를 전면에 등장시킨다.[1] 이 작품에서 작가는 1920년대부터 현대까지 두 소녀의 삶을 통해 한국 현대사를 조명했다.[1] 특히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며, 한국 현대사에서 불행했던 여성 민중의 삶을 복원한다.[1]
이처럼 작가는 청소년소설을 통해 여성이라는 키워드를 주목한다. 특히 여성 청소년들에게는 가부장제로 인해 남성보다 더 어려운 삶이 기다리고 있음을 보여준다.[1] 이금이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삶을 주목하면서 청소년소설 장르 안에 녹여냈고, 이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의 발전을 가져왔고 한국 사회에서 여성 청소년의 삶을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1]
3. 2. 농촌 현실에 대한 조명
이금이는 농촌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농촌의 현실을 작품에 반영해왔다. 초기작 《영구랑 흑구랑》, 《봉삼 아저씨》 등에서는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위안을 얻는 농촌 아이들의 모습을 그렸지만, 결혼 후 충북 청원군으로 이주한 뒤에는 농촌의 경제적 어려움, 가족 해체, 환경오염 등의 문제들을 직시하며 작품 세계를 확장했다.[14]《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시리즈에서는 농촌 가정의 어려움과 새엄마, 입양, 노인 문제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었다. 큰돌이와 영미 남매는 친엄마가 집을 나간 후, 이웃 할머니의 제안으로 영미는 도시로 입양을 가게 된다. 영미는 밤티마을을 그리워하며 도시에 적응하지 못하지만, 큰돌이 아빠와 재혼한 팥쥐엄마의 노력으로 다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다. 후속작에서는 팥쥐엄마의 사랑으로 안정된 큰돌이네를 중심으로 노인 부양 문제, 친엄마와 새엄마의 만남을 통한 모성의 문제 등 주제를 확장해 나간다.[14]
《너도 하늘말나리야》에서는 한부모 가정 소녀의 성장 과정을 통해 농촌과 도시의 대비를 보여주었다. 시골 보건소장으로 부임한 엄마와 단둘이 사는 소녀 미르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아름다운 자연에 의지하여 이를 극복해 나간다.[14]
3. 3.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관심
이금이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작품을 꾸준히 발표해왔다. 작품의 공통점은 한국사회의 어두운 구석을 살피려는 작가의 강한 의지가 담겨 있다는 점이다.장편동화 내 어머니 사는 나라는 남한에 사는 어린이 수빈이가 북한이 고향인 할아버지와 북한의 금강산 여행에 동행하는 이야기이다. 작가는 직접 금강산을 방문한 체험에 남북통일과 이산가족의 만남에 대한 바람을 담아냈다. 장편동화 나와 조금 다를 뿐이야는 발달장애인 어린이를 등장시켜 장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이야기이다.
이금이는 한국에서 청소년소설이라는 장르를 주목하고 시도한 초기 작가 중 한 명이다.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은 매우 힘든 존재이며, 한국 청소년 인권과 문화에 대한 인식이 낮아 청소년문학도 뒤늦게 발전하였다. 청소년을 교육의 대상이 아닌 문화 주체로 보고 그들을 응원하는 문학이 집중적으로 창작된 것은 2000년대를 넘어서면서부터이며, 이금이가 그 선두에 서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소재를 찾으려는 성실함과 문학을 대하는 진지함으로 그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을 한 차원 높이 발전시켰다.
4. 작품 목록
വിഭാഗം |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동화 | 다리가 되어 주세요 | 계몽사 | 1987년 | 2005년 (프로니출판) |
꽃향기 바람 | 대교출판 | 1988년 | 1999년, 2007년 (프로니출판) | |
영구와 흑구 | 현암사 | 1991년 | 2002년 (프로니출판) | |
송아지 내기 | 정한출판 | 1991년 | 2008년 (푸르니출판사) | |
솔모루 목장의 아이들 | 동아출판 | 1994년 | ||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 대교출판, 푸른책들 | 1994년 | 2004년 (프로니출판) | |
맨발 아이들 | 현암사 | 1996년 | 2007년 (프로니출판) | |
모래알 학교 | 대교출판 | 1996년 | 2002년 (프로니출판) | |
내 이가 지붕 위로 | 두산동아 | 1996년 | 2001년 (프로니출판) | |
도들마루에서 온 깨비 | 시공사 | 1999년 | ||
햄스터라고 불리는 쥐 | 프로니출판 | 1999년 | ||
너도 하늘말나리야 | 푸른책들 | 1999년 | ||
밤티마을 영미네 집 | 프로니출판 | 2000년 | ||
우리 엄마의 나라 | 프로니출판 | 2000년 | ||
나랑 조금 다르다고 | 프로니출판 | 2000년 | ||
어머니 지구 | 프로니출판 | 2000년 | ||
김치는 영어로도 김치 | 푸르니출판사 | 2001년 | ||
푸르니와 구니 | 푸르니출판사 | 2002년 | ||
맞아, 고래야! | 푸르니출판사 | 2002년 | ||
내 친구 재덕이 | 프로니출판 | 2002년 | ||
손재주 소년 | 프로니출판 | 2002년 | ||
미토의 똥도 귀여워 | 프로니출판 | 2003년 | ||
아주 작은 학교 | 프로니출판 | 2004년 | ||
밤티마을 봄이네 집 | 프로니출판, 푸른책들 | 2005년 | ||
팔만대장경 속 열두 동물 | 푸르니출판사 | 2005년 | ||
위탁 가정 | 프로니출판 | 2006년 | ||
내 어머니 사는 나라 | 푸른책들 | 2007년 | ||
아이스크림과 수상스키 | 푸르니출판사 | 2007년 | ||
선생님이 날 싫어해 | 푸르니출판사 | 2008년 | 2022년 (밤티출판사) | |
우리 집 비밀 도우미 | 푸르니출판사 | 2008년 | ||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돼 | 푸르니출판사 | 2009년 | 2022년 (밤티출판사) | |
소희의 방 | 푸른책들 | 2010년 | ||
싫어, 몰라, 그냥 | 푸르니출판사 | 2010년 | 2022년 (밤티출판사) | |
호랑이를 탄 할머니 | 푸르니출판사 | 2011년 | ||
너를 위한 애완동물 먹이 | 프로니출판 | 2012년 | ||
숨은 길 찾기 | 푸른책들 | 2014년 | ||
어느 밤 | 사계절출판사 | 2016년 | ||
말괄량이 공주처럼 | 사계절출판사 | 2019년 | ||
내 이름을 불렀어 | 선트리Books | 2019년 | ||
차대기를 찾아서 | 사계절출판사 | 2021년 | ||
청소년소설 | 너도 하늘말나리야 | 푸른책들 | 1999 | |
소희의 방 | 푸른책들 | 2010 | ||
숨은 길 찾기 | 푸른책들 | 2014 | ||
유진과 유진 | 푸른책들 | 2004 | ||
사진 신부 | 창비 | 2020 | ||
인생 여행자 | 문학동네 | 2019 | ||
대신 내가 갈까? | 사계절 | 2016 | ||
얼음이 반짝이는 순간 | 푸르니 | 2013 | ||
우리, 거인들의 땅에서 | 푸르니 | 2021 | ||
꼭두각시의 춤 | 푸르니 | 2010 | ||
안녕, 나의 첫사랑 | 푸르니 | 2009 | ||
절벽 | 푸르니 | 2008 | ||
내 주머니 속의 고래 | 푸르니 | 2008 | ||
너 또한 황혼의 연꽃 | 푸르니 | 1999 | ||
대신 내가 갈까? 1, 2 | 사계절 | 2016 | 역사소설, 145mm×225mm, 292쪽 / 127mm×188mm, 285쪽 |
이금이는 동화와 청소년 소설을 주로 집필해 왔으며, 다양한 작품들이 국내외에서 출간되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대표적인 작품들은 위의 표와 같다.
4. 1. 동화
이금이는 다양한 주제와 배경으로 동화를 집필해왔다. 초기에는 농촌 사회를 배경으로 한 작품이 많았지만, 점차 현대 가족과 사회 문제로 주제를 확장했다.밤티마을한국어 시리즈는 한국 농촌을 배경으로, 부모님의 이혼과 재혼으로 인한 가족 구성원의 변화와 갈등, 그리고 사랑을 다룬다.[14] 주인공 큰돌이와 영미 남매는 친어머니가 집을 나간 후, 도시로 입양을 간 영미가 겪는 적응의 어려움과 시골 마을에 대한 그리움을 그리고 있다. 이후 새엄마 '팥쥐엄마'의 등장으로 가족은 다시 화합하고, 농촌의 노인 문제, 친엄마와 새엄마의 만남 등 다양한 주제로 확장된다.[14]
: 초기작의 농촌 배경을 유지하면서도, 한부모 가정이라는 한국 사회에서 소외된 주제를 다룬다.[15]
- '''《소희의 방》''' (2010년)
: 엄마의 재혼으로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만나게 된 소희가 겪는 소외감과 불안, 그리고 극복 과정을 다룬다.[15]
- '''《숨은 길 찾기》''' (2014년)
: 중학교를 졸업하는 세 소년, 소녀들이 자신의 진로와 미래를 탐색하는 과정을 그린다.[15]
- '''《내 어머니 사는 나라》''' (2007년)
: 남한 어린이가 한국 전쟁으로 실향민이 된 할아버지와 함께 북한의 금강산을 여행하는 이야기이다. 금강산의 아름다움과 함께 남북 분단 문제와 이산가족의 아픔, 통일에 대한 바람을 담고 있다.[14]
'''출판 목록'''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비고 |
---|---|---|---|
1987년 | 다리가 되어 주세요 | 계몽사 | 2005년 (프로니출판) |
1988년 | 꽃향기 바람 | 대교출판 | 1999년, 2007년 (프로니출판) |
1991년 | 영구와 흑구 | 현암사 | 2002년 (프로니출판) |
1991년 | 송아지 내기 | 정한출판 | 2008년 (푸르니출판사) |
1994년 | 솔모루 목장의 아이들 | 동아출판 | |
1994년 | 밤티마을 큰돌이네 집 | 대교출판, 푸른책들 | 2004년 (프로니출판) |
1996년 | 맨발 아이들 | 현암사 | 2007년 (프로니출판) |
1996년 | 모래알 학교 | 대교출판 | 2002년 (프로니출판) |
1996년 | 내 이가 지붕 위로 | 두산동아 | 2001년 (프로니출판) |
1999년 | 도들마루에서 온 깨비 | 시공사 | |
1999년 | 햄스터라고 불리는 쥐 | 프로니출판 | |
1999년 | 너도 하늘말나리야 | 푸른책들 | |
2000년 | 밤티마을 영미네 집 | 프로니출판 | |
2000년 | 우리 엄마의 나라 | 프로니출판 | |
2000년 | 나랑 조금 다르다고 | 프로니출판 | |
2000년 | 어머니 지구 | 프로니출판 | |
2001년 | 김치는 영어로도 김치 | 푸르니출판사 | |
2002년 | 푸르니와 구니 | 푸르니출판사 | |
2002년 | 맞아, 고래야! | 푸르니출판사 | |
2002년 | 내 친구 재덕이 | 프로니출판 | |
2002년 | 손재주 소년 | 프로니출판 | |
2003년 | 미토의 똥도 귀여워 | 프로니출판 | |
2004년 | 아주 작은 학교 | 프로니출판 | |
2005년 | 밤티마을 봄이네 집 | 프로니출판, 푸른책들 | |
2005년 | 팔만대장경 속 열두 동물 | 푸르니출판사 | |
2006년 | 위탁 가정 | 프로니출판 | |
2007년 | 내 어머니 사는 나라 | 푸른책들 | |
2007년 | 아이스크림과 수상스키 | 푸르니출판사 | |
2008년 | 선생님이 날 싫어해 | 푸르니출판사 | 2022년 (밤티출판사) |
2008년 | 우리 집 비밀 도우미 | 푸르니출판사 | |
2009년 | 내가 원하는 대로 안 돼 | 푸르니출판사 | 2022년 (밤티출판사) |
2010년 | 소희의 방 | 푸른책들 | |
2010년 | 싫어, 몰라, 그냥 | 푸르니출판사 | 2022년 (밤티출판사) |
2011년 | 호랑이를 탄 할머니 | 푸르니출판사 | |
2012년 | 너를 위한 애완동물 먹이 | 프로니출판 | |
2014년 | 숨은 길 찾기 | 푸른책들 | |
2016년 | 어느 밤 | 사계절출판사 | |
2019년 | 말괄량이 공주처럼 | 사계절출판사 | |
2019년 | 내 이름을 불렀어 | 선트리Books | |
2021년 | 차대기를 찾아서 | 사계절출판사 |
4. 2. 청소년소설
이금이는 여러 편의 청소년 소설을 발표하며 한국 청소년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사회에서 소외된 주제나 금기시되던 문제를 다루면서 청소년들의 고민과 성장을 깊이 있게 그려냈다.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너도 하늘말나리야 | 푸른책들 | 1999 |
소희의 방 | 푸른책들 | 2010 |
숨은 길 찾기 | 푸른책들 | 2014 |
유진과 유진 | 푸른책들 | 2004 |
사진 신부 | 창비 | 2020 |
인생 여행자 | 문학동네 | 2019 |
대신 내가 갈까? | 사계절 | 2016 |
얼음이 반짝이는 순간 | 푸르니 | 2013 |
우리, 거인들의 땅에서 | 푸르니 | 2021 |
꼭두각시의 춤 | 푸르니 | 2010 |
안녕, 나의 첫사랑 | 푸르니 | 2009 |
절벽 | 푸르니 | 2008 |
내 주머니 속의 고래 | 푸르니 | 2008 |
너 또한 황혼의 연꽃 | 푸르니 | 1999 |
- '''《너도 하늘말나리야》'''(1999)는 이금이의 초기작으로, 농촌 사회를 배경으로 한부모 가정의 다양한 모습을 다룬다.[15] 후속작에서는 가정 환경이 다른 세 청소년의 성장 과정을 통해 가족 해체의 변화와 미묘한 심리를 이야기한다.
- '''《소희의 방》'''(2010)은 엄마의 재혼으로 새로운 가족 구성원을 만나면서 소희가 겪는 소외와 불안, 그리고 극복 과정을 다룬다.[15]
- '''《숨은 길 찾기》'''(2014)는 중학교를 졸업하는 세 소년, 소녀들이 진로와 미래를 탐색하는 과정에 집중한다.[15]
- '''《유진과 유진》'''(2004)은 유치원 시절 성추행을 겪은 두 소녀 유진과 유진의 이야기이다. 이들은 서로 다른 양육 태도를 가진 어머니 밑에서 성장하며, 작가는 이를 통해 아동 청소년 성폭력 문제와 어른의 역할, 피해자의 자기 존중감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작품은 한국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아동 청소년 문학에서 금기시되던 '성 문제'를 공론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16]
이금이의 작품들은 해외에서도 번역 출간되어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 The Picture Bride영어 (사진 신부한국어)
- 미국 (2022, Forge Books/Macmillan)[8]
- 호주 (2022, Scribe Publications)[9]
- そこに私が行ってもいいですか?일본어 (대신 내가 갈까?한국어)
- 미국 (2023, Forge Books/Macmillan)[11]
- 일본 (2022, 사토야마샤)[12]
- 有真与有真중국어 (유진과 유진한국어)
- 중국 (2023, 베이징 위첸 문화)
- Yujin et Yujin프랑스어 (유진과 유진한국어)
- 프랑스 (2011, 피퀴에)
4. 3. 역사소설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중국어》 1 (2016, 사계절, 145mm×225mm, 292쪽)《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중국어》 2 (2016, 사계절, 127mm×188mm, 285쪽)
이금이 작가의 역사소설이자 성장소설이다. 1920년대부터 한국 현대사회를 배경으로 수남과 채령 두 소녀의 삶을 통해 한국 현대사를 깊이 있게 조명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제2차 세계 대전이 낳은 비극, 그리고 한국 여성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수남이 겪은 일본군 위안부 생활과 종전 후 일본 패잔병들에게 능욕당하는 이야기는 한국 현대사에서 불행했던 여성 민중의 삶을 복원한다.[17]
5. 수상 내역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1984년 | 새벗문학상 | 《영구랑 흑구랑》 |
1985년 | 소년중앙 문학상 | 《봉삼 아저씨》 |
1987년 | 계몽사 아동문학상 | 《가슴에서 자라는 나무》 |
2007년 | 소천문학상 | 《금단현상》 |
2011년 | 윤석중문학상 | 《사료를 드립니다》 |
2017년 | 방정환 문학상 | 《하룻밤》 |
2018년 | IBBY 아너리스트 글 부문 | 《거기, 내가 가면 안돼요?》 |
2018년 | IBBY 명예의 책 | 《알 사탕》[5] |
2020년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한국 후보 | |
2024년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 한국 후보 | [4] |
6. 각색
참조
[1]
웹사이트
The IBBY Honour List 2018
https://www.ibby.org[...]
2023-02-01
[2]
웹사이트
Lee Geum-yi Selected as the Korean Nominee for the 2020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
https://www.ibby.org[...]
[3]
웹사이트
Panel Discussion and Talk, Asian Festival of Children's Content, May 26-29, 2022
https://www.koreasoc[...]
[4]
웹사이트
Lee Geum-yi Selected as the Korean Nominee for the 2020 Hans Christian Andersen Award
https://www.ibby.org[...]
[5]
웹사이트
The IBBY Honour List 2018
https://www.ibby.org[...]
2023-02-01
[6]
뉴스
Bang Jeong-hwan Literary Award
https://www.donga.co[...]
Dongailbo
[7]
웹사이트
Aloha, my moms, musical
https://fetcherx.com[...]
2023-02-07
[8]
웹사이트
The Picture Bride
https://us.macmillan[...]
[9]
웹사이트
The Picture Bride
https://scribepublic[...]
[10]
웹사이트
CAN'T I GO INSTEAD Book Information
https://www.sakyejul[...]
[11]
서적
CAN'T I GO INSTEAD.
https://www.worldcat[...]
FORGE
2023
[12]
서적
そこに私が行ってもいいですか?
https://www.worldcat[...]
2022-03
[13]
서적
World Cat-Searching For the Hidden Path
https://www.worldcat[...]
2021
[14]
논문
이금이의 아동 청소년문학 작품에 나타난 향토적 토포필리아 연구
건국대
2016
[15]
논문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갈등 양상 연구 : 이금이의 청소년소설을 중심으로
단국대
2012
[16]
간행물
유진과 유진 이금이 : 억압된 기억과 내면의 상처를 치유해 가는 삶의 여행
초등우리교육
2005-05
[17]
간행물
신분과 대륙을 넘어선 운명의 개척자
창비어린이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