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긍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긍익은 《연려실기술》의 저자이다. 그는 고증을 중요하게 여기고, '술이부작'과 '불편부당'의 정신으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연려실기술》을 저술했다. 국내 자료를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했으며, 객관성, 공정성, 체계성, 계기성, 현실성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그의 조부는 이진검이며, 부친은 이광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양명학자 - 심육
    조선 후기 소론 산림 학자이자 문신인 심육은 정제두의 문인으로 강화학파의 중심 인물이며, 세자시강원 찬선, 성균관 좨주, 형조참판, 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썼다.
  • 조선의 양명학자 - 심대윤
    심대윤은 조선 후기 몰락한 양반 가문 출신으로 유교 덕목 재구성과 기독교 비판을 담은 《복리전서》를 저술한 학자이자 저술가이다.
  • 1736년 출생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는 이탈리아 출신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로서 변분법, 라그랑주 역학 등을 개발하고 미터법 제정에 참여하며 18~19세기 수학과 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에펠탑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1736년 출생 - 제임스 와트
    제임스 와트는 뉴커먼 기관을 개량하여 현대적인 증기 기관을 개발하고 효율성을 극적으로 높여 산업 혁명의 핵심 동력이 되었으며, 그의 업적은 와트(단위)로 기념된다.
  • 조선의 역사가 - 박은식
    박은식은 언론인, 역사학자, 정치인으로서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주필을 지내며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국외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국무총리와 제2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을 저술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와 정당성을 알린 독립운동가이다.
  • 조선의 역사가 - 신채호
    신채호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전개한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역사가, 문필가로, 민족주의적 역사관과 독립운동에 대한 열정으로 한국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긍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긍익
한자 이름李肯翊
형제2남 2녀 중 장남(둘째)으로 이복 남동생은 이영익(李令翊)
장경(長卿)
완산(完山)·연려실(燃藜室)
출생일1736년
출생지조선 한성부 원교산 산자락 동네
거주지조선 한성부 원교산 산자락 동네
사망일1806년 (향년 71세)
사망지조선 한성부
분야유교 성리학
친인척이도희(동복 자형)
이진검(친할아버지)
권성중(외할아버지)
부모이광사(부)
안동 권씨 부인(모)
문화 류씨 부인(계모)
국적조선
당파소론 후예 세력

2. 저작

이긍익은 역사에 대한 철학과 안목을 담은 저서 《연려실기술》을 저술하였다. 그는 고증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술이부작(述而不作)'과 '불편부당(不便不黨)'의 정신으로 당파와 인지도를 가리지 않고 자료를 수집, 인용했다. 대부분 국내 자료에 국한했는데, 이는 한치윤(1765~1814)이 《해동역사》에서 외국 자료를 통해 한국사를 이해하려 한 것과 대조된다. 이긍익은 내 나라의 자료로 역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강한 자아의식을 갖고 있었다. 또한 역사 서술에서 객관성, 공정성, 체계성, 계기성, 현실성을 중요시했는데, 이는 당시 기준 앞선 역사 의식으로 평가받는다.[2]

2. 1. 《연려실기술》

이긍익은 역사에 대한 철학과 안목을 모두 살펴 볼 수 있는 저서로 《연려실기술》을 저술하였다. 이긍익은 고증을 역사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겼으며, '술이부작(述而不作)'과 '불편부당(不便不黨)'의 정신으로 남인, 북인, 노론, 소론 등 당파와 유명, 무명 인사를 가리지 않고 자료를 수집하고 인용하였으며, 대부분 국내 자료에 국한하였다. 이는 한치윤(1765~1814)이 《해동역사》를 저술할 때 외국 자료를 통해 한국사를 이해하려 한 것과 대조된다. 이긍익은 역사는 নিজ দেশের 자료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한다는 강한 자아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역사 서술에서 객관성, 공정성, 체계성, 계기성, 현실성을 중요하게 생각했는데, 이는 당시 상황에서 앞선 역사 의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3. 가계


  • 할아버지 : 이진검[4]
  • 할머니 : 윤지상의 딸
  • 아버지 : 이광사

참조

[1] 문서 서대문 바깥의 인왕산 중 팔각산 동네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깨진 링크) http://people.aks.ac[...]
[3] 뉴스 조선 최후의 문장가 이건창의 삶과 사상 上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8-09-26
[4] 문서 이진검 이진유 형제는 영빈 김씨의 외사촌 아우이기도 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