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림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림(李琳, ? ~ 1391년)은 고려 시대의 무신, 문신이자 시인입니다. 본관은 고성(固城)이며, 이성림(李成琳)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렸습니다.
생애 및 주요 활동:
- 1355년(공민왕 시기) 음서를 통해 무관으로 관직에 진출했습니다.
- 무신과 문신으로 활동하며, 덕적도와 자연도, 울주군 등에서 왜구를 격퇴하는 데 공을 세웠습니다.
- 1374년 공민왕이 시해된 후 그의 서자인 우왕을 섬겼습니다.
- 1379년 딸이 우왕의 비(근비 이씨)가 되면서 철성부원군에 봉해졌습니다.
- 우왕의 장인이자 창왕의 외할아버지로서, 고려 왕실과 깊은 인연을 맺었습니다.
- 1388년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 이후 우왕이 폐위되고, 이듬해 창왕마저 폐위되면서 정치적 위기를 맞았습니다.
- 1389년 공양왕 즉위 후 교주강릉도 철원(현재의 강원도 철원군)으로 유배되었고, 1390년 양광도 국원경(현재의 충청북도 충주시)으로 이배되었습니다.
- 1391년 유배지에서 병으로 사망했습니다.
가족 관계:
- 아버지: 이교
- 어머니: 성주 이씨
- 딸: 근비 이씨 (우왕의 비)
- 사위: 우왕
- 외손자: 창왕
기타:
- 이림은 이조년의 외손자이며, 이인임, 이인복 등과 외사촌 관계입니다.
- 이성계를 암살하고 우왕을 복위시키려는 음모에 가담했다가 발각되어 유배를 갔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 조선 개국 이후 그의 혈통은 사위를 통해 조선 왕실과 인연을 맺기도 했습니다.
이림은 고려 말 격동의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로, 왕실과의 혼인을 통해 권력을 얻었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몰락한 비운의 인물이기도 합니다.
이림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림 |
원어명 | 李琳 |
사망지 | 고려 양광도 국원경 |
종교 | 불교 |
별명 | 일명 이성림(李成琳) 작위는 철성부원군(鐵城府院君) |
배우자 | 有 |
직책 | 고려국 문하시중 (高麗國 門下侍中) |
정당 | 무소속 |
임기 | 1389년 ~ 1389년 |
군주 | 고려 창왕 |
섭정 | 반복해 이성계 |
부모 | 이교(부), 성주 이씨 부인(모) |
자녀 | 근비 이씨(딸) |
친인척 | 우왕(사위) 창왕(외손자) 이조년(외조부) 이포(외숙부) 이백년(외종조부) 이천년(외종조부) 이만년(외종조부) 이억년(외종조부) 공민왕(사돈) 이인복(외사촌) 이인임(외사촌) 이인미(외사촌) 이인립(외사촌) 이인달(외사촌) 이인민(외사촌) |
출생일 | ? |
사망일 | 1391년 |
군사 복무 | |
군복무 | 고려 군사 |
복무 기간 | 1355년 ~ 1379년 |
계급 | 판개성부사 |
지휘 | 고려 경상도 조전원수 고려 양광도 조전원수 고려 전라도 조전원수 |
참전 | 덕적도에서 왜구 격퇴 자연도에서 왜구 격퇴 울주군에서 왜구 격퇴 |
기타 | |
경력 | 고려 우왕의 국구(國舅)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