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매크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미지 매크로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하여 유머, 풍자, 또는 특정 메시지를 전달하는 인터넷 현상이다. Something Awful 포럼에서 유래되었으며, 텍스트는 Impact 글꼴을 사용하여 이미지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2007년 이후 널리 퍼졌으며, lolcat과 같은 다양한 형식으로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정치, 사회적 이슈를 풍자하는 내용이 많으며, 특정 정치인이나 연예인의 이미지가 사용되기도 한다. O RLY?, lolcat, Rage comic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일부 이미지 매크로는 혐오 표현을 담고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대 신조어 - 조중동
조중동은 대한민국 3대 일간지인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를 통칭하는 말로, 보수적 성향과 보도 행태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사용되며, 과거 친일 행적 논란, 정치적 편향성, 오보 및 왜곡 보도 등으로 비판받는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있는 신문들이다. - 2000년대 신조어 - 유튜버
유튜버는 유튜브에 비디오를 제작 및 게시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도 불리며 MCN의 등장으로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향력 증가와 수익 창출에도 불구하고 시장 과점, 수익 불안정성, 영상 조작, 저작권 침해 등 문제점과 비판이 존재한다. - 인터넷 문화 - 틱톡
틱톡은 2016년에 시작된 짧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능과 챌린지를 통해 사용자 참여를 유도하며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한편, 중독성, 유해 콘텐츠,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등 논란이 제기되기도 한다. - 인터넷 문화 - 이모지
이모지는 1999년 NTT 도코모에서 처음 도입된 그림 문자로, 유니코드 표준 제정 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언어적 기능을 수행하며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치지만, 플랫폼별 표현 방식 차이와 의미 해석 논란도 존재한다. - 인터넷 밈 - 허경영
허경영은 대한민국의 정치인, 가수, 기업가로 여러 차례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 등에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했으며, 기행과 허위 사실 유포, 종교적 활동 등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인터넷 밈 - 이호성 (1967년)
이호성은 해태 타이거즈의 4번 타자로 한국시리즈 4회 우승에 기여하고 골든글러브를 2회 수상한 야구 선수였으나, 은퇴 후 사기 혐의로 구속되고 내연녀와 세 딸을 살해한 혐의로 수배 중 자살한 살인범이다.
이미지 매크로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이미지 기반 유머 |
설명 | 텍스트가 추가된 이미지 |
특징 | |
형식 | 이미지에 텍스트 추가 |
목적 | 유머, 풍자, 사회 비판 등 |
확산 | 인터넷, 소셜 미디어 |
예시 | |
유명 이미지 매크로 | 성공한 아이 재해 소녀 철학적인 랩터 나쁜 운 브라이언 |
관련 개념 | |
관련 용어 | 밈 인터넷 밈 바이럴 마케팅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Shifman, Limor (2013). Memes in digital culture. MIT Press. Knobel, Michele; Lankshear, Colin (2007). "Online Memes, Affinities, and Cultural Production". A New Literacies Sampler. Peter Lang. pp. 199–228. |
2. 어원 및 용법
"이미지 매크로"라는 용어는 Something Awful 포럼에서 유래되었다.[2] 이 이름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짧은 텍스트인 "매크로"가 포럼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구문 분석되어 미리 정의된 이미지의 코드로 확장된다는 사실에서 파생되었다.[2] 이는 컴퓨터 과학 개념인 매크로 지시어와 관련이 있으며, "특정 입력 시퀀스(종종 일련의 문자)가 정의된 절차에 따라 출력 시퀀스(또한 종종 일련의 문자)에 어떻게 매핑되어야 하는지를 지정하는 규칙 또는 패턴"이다. "매크로"는 그 자체가 "매크로 인스트럭션"의 줄임말이다.
이미지 매크로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다.
2007년부터 lolcat 및 유사한 이미지 매크로(일종의 인터넷 현상)가 이를 만든 초기 커뮤니티를 넘어 널리 퍼져 인기를 얻었다.[3][12]
3. 형식
한국에서는 연예인, 정치인,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 특정 상황이나 감정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자주 사용된다.
3. 1. 일반적인 형식
일반적인 이미지 매크로 형식은 다음과 같다.[13]3. 2. 한국 특유의 형식
한국에서는 이미지와 텍스트의 배치가 더 자유로운 경우가 많다. 유행어, 신조어, 특정 커뮤니티 용어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정치, 사회적 이슈를 풍자하는 내용이 많으며, 이는 중도진보적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4. 대표적인 예시
2000년대 중반부터 고양이를 비롯한 여러 동물들의 사진에 유머러스한 캡션을 덧붙인 이미지들이 인기를 얻었다.[5] 흔히 쓰이는 동물 관련 이미지 매크로에는 lolcat, every time you masturbate... God kills a kitten, O RLY?, Doge, Grumpy Cat 등이 있다.
O RLY는 "Oh, really?" (아, 정말?)의 약어로 인터넷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것은 원래 눈올빼미 사진(전형적인 O RLY 이미지 매크로)에서 시작되었으며,[6] 웹상으로 빠르게 퍼져나가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는 다른 매크로들을 만들어냈다.
lolcat은 고양이 사진에 유머를 더하는 텍스트를 결합하여 자신만의 하위 문화를 형성한 또 다른 스타일의 이미지 매크로이다. 텍스트는 종종 독특하고 문법에 맞지 않게 쓰이며, 이러한 사용 방식을 "lolspeak"라고 부른다. 대부분 이미지의 내용은 동물의 시점에서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5]
분노 코믹스의 "분노 얼굴"은 일상적이거나 과장된 상황, 또는 반응을 유머러스하게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7] 분노 코믹스 자체는 이미지 매크로가 아니지만, 특정 분노 얼굴 이미지를 가져와 이미지 매크로 형식으로 만들고, 그 이미지에 암시된 감정이나 맥락과 함께 사용한다.
"조언 동물"이라고 알려진 또 다른 인기 있는 유형의 이미지 매크로는, 색상이 있는 배경 앞에 다양한 출처에서 가져온 특정 인물이나 그림의 사진을 포함한다. 이러한 "캐릭터"는 종종 동일한 이미지를 공유하지만, 인터넷 사용자들이 각기 다른 유머러스한 캡션을 붙일 수 있다.[8] 이러한 캐릭터에는 Bad Luck Brian, Success Kid, Scumbag Steve 등이 있다. Bad Luck Brian 이미지 캡션은 불운한 상황을, Success Kid 이미지 캡션은 행운이 따르는 일상적인 상황을 묘사하며, Scumbag Steve 캡션은 누군가가 한 비우호적인 행동을 설명한다.
Know Your Meme과 같은 웹사이트는 인터넷 밈으로 불릴 만큼 인기를 얻은 Bad Luck Brian과 같은 이미지 매크로를 기록하며, 원래 의도된 의미, 확산 및 인기(시간에 따른 Google 검색 관심도를 기준으로 측정)와 같은 주제를 다룬다.
이미지 매크로의 또 다른 흔한 경향은 영화나 텔레비전의 특정 장면을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반지의 제왕의 One does not simply walk into Mordor와 Futurama에서 눈을 가늘게 뜨고 확신하지 못하는 표정을 짓는 캐릭터 Fry의 스크린 이미지를 사용한 'Not Sure If-'가 있다.
5. 비판 및 논란
일부 이미지 매크로는 인종차별, 성차별 등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 표현을 담고 있어 개 짖는 소리에 가담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18][19] 이미지 매크로의 의미가 모호하여 해석에 따라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포의 법칙이 언급되기도 한다.[20]
6. 관련 자료
Know Your Meme - 인터넷 밈과 이미지 매크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이다.
참조
[1]
서적
Memes in digital culture
MIT Press
[2]
웹사이트
SAClopedia entry for "image macro"
http://forums.someth[...]
2008-07-28
[3]
뉴스
With 'LOLcats' Internet Fad, Anyone Can Get In on the Joke
https://www.wsj.com/[...]
2008-02-13
[4]
뉴스
The reason every meme uses that one font
https://www.vox.com/[...]
Vox
2015-07-28
[5]
뉴스
Web photo phenomenon centers on felines, poor spelling
http://www.chron.com[...]
2012-04-01
[6]
뉴스
Internet Term of the Week
http://tigerweekly.c[...]
The Independent Tiger Weekly
2007-08-06
[7]
뉴스
Remember the "Me Gusta" Meme? Here's How It Began.
https://www.lifewire[...]
2017-01-05
[8]
뉴스
What Is a 'Meme'?
https://www.lifewire[...]
2017-01-05
[9]
서적
A New Literacies Sampler
Peter Lang
2007
[10]
서적
Memes in digital culture
MIT Press
[11]
웹사이트
SAClopedia entry for "image macro"
http://forums.someth[...]
2008-07-28
[12]
뉴스
With 'LOLcats' Internet Fad, Anyone Can Get In on the Joke
https://www.wsj.com/[...]
2007-08-25
[13]
뉴스
The reason every meme uses that one font
https://www.vox.com/[...]
Vox
2015-07-28
[14]
뉴스
Web photo phenomenon centers on felines, poor spelling
http://www.chron.com[...]
2012-04-01
[15]
뉴스
Internet Term of the Week
http://tigerweekly.c[...]
The Independent Tiger Weekly
2007-08-06
[16]
뉴스
Remember the "Me Gusta" Meme? Here's How It Began.
https://www.lifewire[...]
2017-01-05
[17]
뉴스
What Is a 'Meme'?
https://www.lifewire[...]
2017-01-05
[18]
웹사이트
Media Watch: Racist memes raise ire (06/06/2016)
http://www.abc.net.a[...]
2017-09-19
[19]
웹사이트
The Reason Right-Wing Memes Are the Most Popular Memes
https://www.vice.com[...]
2017-09-19
[20]
간행물
FCJ-156 Hacking the Social: Internet Memes, Identity Antagonism, and the Logic of Lulz.
http://twentytwo.fib[...]
201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