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는 유튜브에 동영상을 제작하여 게시하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유튜버는 구글 애드센스, 제휴 링크, 상품 판매, 멤버십 등을 통해 수익을 얻으며, 기업 스폰서십을 통해 수입을 보충하기도 한다.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되면서 유튜버는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2010년대 이후 부와 명성을 얻는 사례가 증가했다. 유튜버는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일부는 주류 미디어로 진출하기도 한다. 유튜버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어워드를 통해 인정을 받으며, 구독자 수에 따라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그러나 자극적인 콘텐츠, 허위 정보 유포, 과도한 경쟁, 윤리적 문제 등과 같은 문제점도 존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는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며, MCN 산업의 발달과 함께 새로운 직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유튜브에 관한 - 수전 워치츠키 수전 다이앤 워치츠키는 구글의 초기 직원으로서 구글 애드센스 기획과 유튜브 인수를 주도하고 유튜브 CEO를 역임하며 유튜브를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시킨 미국의 기업인이었다.
매체 산업 - 출판 출판은 문자의 발명과 인쇄술의 발전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행위이며, 상업 출판, 자가 출판, 전자 출판 등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현대에는 전자책, 온라인 출판 등 새로운 기술과 방식을 통해 변화하고 있다.
매체 산업 - 멀티 채널 네트워크 멀티 채널 네트워크(MCN)는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에서 크리에이터를 지원하고 관리하는 기업 또는 단체로, 콘텐츠 제작 지원, 마케팅, 저작권 관리, 수익 창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광고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불공정 계약 및 수익 배분 문제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비디오 게임 문화 - 칩튠 칩튠은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와 게임기의 보급과 함께 등장하여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 음악 장르로, 독특한 음색과 기법으로 독립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하여 현재는 다양한 음악가들과 행사를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며 주류 팝 음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디오 게임 문화 - 아바타 아바타는 힌두교 용어에서 유래하여 신의 화신을 뜻하며,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를 나타내는 가상 신체를 의미하고, 게임, 소셜 미디어, 메타버스 등에서 사용자의 개성을 표현하고 소통하는 핵심 수단으로 활용되며 AR/VR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현실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유튜버는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제휴 링크(affiliate links), 상품 판매(merchandising), Patreon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한 제3자 멤버십을 통해 수입을 보충할 수 있다.[24] 인기 채널은 비디오에 포함되는 대가를 지불하는 기업 스폰서를 확보했다.[24] 2018년에는 월마트(Walmart), 노드스트롬(Nordstrom) 등이 유튜브 스타를 인플루언서로 찾았다.[25]
초창기 유튜브에는 플랫폼에서 동영상을 수익화할 방법이 없었다. 사이트 콘텐츠의 상당 부분은 수익 창출 계획 없이 취미로 제작한 개인 제작물이었습니다.[26][27] 당시 유튜브 CEO인 채드 허리(Chad Hurley)는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고 여겨지는 광고 분야로 확장하는 아이디어를 거부했다.[29] 하지만 유튜브는 2007년 8월 인비디오 광고를 시작했고, 2008년에는 사전 광고(preroll ads)를 도입했다.[30]
2007년 12월 유튜브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이 프로그램은 특정 지표(현재는 지난 1년 동안 구독자 1,000명과 공개 시청 시간 4,000시간)를 충족하는 채널[31]이 동영상에 광고를 게재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30]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유튜브 인물들이 처음으로 플랫폼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32]
2010년대에는 플랫폼에서의 성공으로 유튜버가 부와 명성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이 급격히 증가했다. 2010년 12월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는 전년도 유튜브 최고 수입자는 웹 시리즈 ''짜증나는 오렌지(Annoying Orange)''의 제작자인 데인 보이디가이머(Dane Boedigheimer)이며, 수입은 약 25만 7천 달러라고 추산했다.[33] 5년 후 ''포브스(Forbes)''는 최고 수입 유튜브 인물 목록을 처음으로 발표했는데, 전년도 최고 수입자인 퓨디파이(PewDiePie)의 수입을 1,200만 달러로 추산했으며, 이는 카메론 디아즈(Cameron Diaz)나 귀네스 팰트로(Gwyneth Paltrow)와 같은 인기 배우보다 많은 금액이다.[34] ''포브스''는 그 해 10위 수입자는 로사나 판시노(Rosanna Pansino)로 250만 달러라고 추산했다. 2021년까지 유튜버 수입은 더욱 확대되었으며, 포브스는 그 해 최고 수입자는 미스터비스트(MrBeast)로 5,100만 달러라고 추산했다.[41]
YouTube에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과 그것을 직업으로 하는 것은 동의어가 아니지만, 많은 유명 유튜버들은 게시한 동영상으로 수익을 얻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이다.
2007년 5월경 YouTube가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사용자에게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를 권유한 것이 시작으로 여겨진다. 초기에는 상업 콘텐츠 제공자에게만 제안되었다.[47] 이후 비디오 화면 옆에 광고를 게재하는 조건으로 사용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2011년 4월에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했다. 더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YouTube 광고로 수입을 얻는 사람들도 나타났다.[48]
2017년 4월부터 총 재생 횟수가 100만 회 이상이어야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가 허용되었지만, 2018년 2월부터는 과거 12개월간의 총 재생 시간이 4,000시간 이상, 그리고 채널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라는 더욱 엄격한 조건으로 변경되었다. 여기에 더해 YouTube에서의 저작권 침해, 스팸 등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정책 준수 여부 평가가 엄격해졌다.[49][50]2023년 2월부터는 짧은 동영상(Shorts)에서도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채널 구독자 수가 500명 이상이고, 유효한 공개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최근 12개월 동안 3,000시간 이상인 경우 멤버십 및 슈퍼챗 기능이 제공된다. 광고 수익을 얻는 조건은 채널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고, 유효한 공개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최근 12개월 동안 4,000시간 이상이거나 유효한 공개 짧은 동영상(Shorts)의 시청 횟수가 최근 90일 동안 1,000만 회 이상인 경우이다.[51]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연예계에서 YouTube 시장으로 진출하는 사람들도 있다.[52]
독일 오펜부르크 대학교(Universität Offenburg) 마티아스 바르톨(Mathias Bartl)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광고 수익으로 생계를 유지하려는 유튜버의 96.5%가 평균적인 미국 빈곤선 이하의 수입만을 얻는다. 재생 횟수 상위 3%의 인기 유튜버는 한 달 재생 횟수가 140만 회를 넘지만, 그래도 평균 연봉은 1만 6,800달러이며, 미국의 빈곤선 소득 1만 2,140달러를 간신히 웃도는 정도다”라고 한다.[53]
유튜버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 수단은 광고 수익이지만, 유튜브의 광고 수익 알고리즘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는다.
광고 수익(Advertising Revenue) 이외의 수익 수단으로는 “채널 멤버십[54]”, “슈퍼챗[55]”, “슈퍼 스티커”, “슈퍼 땡스[56]” 등 네 가지의 디지털 아이템이 있다.
채널 멤버십 - 월별 멤버십 구독자에게 회원 전용 동영상, 조기 시청, 회원 전용 라이브 방송, 회원 전용 라이브 채팅, 라이브 채팅에서의 다양한 표시 특권, 커뮤니티 탭에서의 다양한 특권, 회원 전용 디지털 콘텐츠, 상품샵에서의 할인 코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57]
슈퍼챗 - 2017년 1월 시작. 라이브 방송 채팅에서 게시글 댓글과 함께 기부하는 기능
슈퍼 스티커 - 2019년 11월 시작. 라이브 방송 채팅에서 전용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함께 기부하는 기능
슈퍼 땡스 - 2021년 7월 시작. 공개 동영상에 박수와 함께 기부하는 기능[58]
2. 1. 1. 수익 창출 조건
유튜버는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제휴 링크(affiliate links), 상품 판매(merchandising), Patreon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한 제3자 멤버십을 통해 수입을 보충할 수 있다.[24] 인기 채널은 비디오에 포함되는 대가를 지불하는 기업 스폰서를 확보했다.[24] 2018년에는 월마트(Walmart), 노드스트롬(Nordstrom) 등이 유튜브 스타를 인플루언서로 찾았다.[25]
2007년 12월 유튜브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이 프로그램은 특정 지표(현재는 지난 1년 동안 구독자 1,000명과 공개 시청 시간 4,000시간)를 충족하는 채널[31]이 동영상에 광고를 게재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30]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유튜브 인물들이 처음으로 플랫폼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32]
YouTube에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과 그것을 직업으로 하는 것은 동의어가 아니지만, 많은 유명 유튜버들은 게시한 동영상으로 수익을 얻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이다.
2007년 5월경 YouTube가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사용자에게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를 권유한 것이 시작으로 여겨진다. 초기에는 상업 콘텐츠 제공자에게만 제안되었다.[47] 이후 비디오 화면 옆에 광고를 게재하는 조건으로 사용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2011년 4월에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했다. 더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YouTube 광고로 수입을 얻는 사람들도 나타났다.[48]
2017년 4월부터 총 재생 횟수가 100만 회 이상이어야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가 허용되었지만, 2018년 2월부터는 과거 12개월간의 총 재생 시간이 4,000시간 이상, 그리고 채널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라는 더욱 엄격한 조건으로 변경되었다. 여기에 더해 YouTube에서의 저작권 침해, 스팸 등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정책 준수 여부 평가가 엄격해졌다.[49][50]2023년 2월부터는 짧은 동영상(Shorts)에서도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채널 구독자 수가 500명 이상이고, 유효한 공개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최근 12개월 동안 3,000시간 이상인 경우 멤버십 및 슈퍼챗 기능이 제공된다. 광고 수익을 얻는 조건은 채널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고, 유효한 공개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최근 12개월 동안 4,000시간 이상이거나 유효한 공개 짧은 동영상(Shorts)의 시청 횟수가 최근 90일 동안 1,000만 회 이상인 경우이다.[51]
2. 1. 2. 수익 구조
유튜버는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제휴 링크(affiliate links), 상품 판매(merchandising), Patreon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한 제3자 멤버십을 통해 수입을 보충할 수 있다.[24] 인기 채널은 비디오에 포함되는 대가를 지불하는 기업 스폰서를 확보했다.[24] 2018년에는 월마트(Walmart), 노드스트롬(Nordstrom) 등이 유튜브 스타를 인플루언서로 찾았습니다.[25]
초창기 유튜브에는 플랫폼에서 동영상을 수익화할 방법이 없었다. 사이트 콘텐츠의 상당 부분은 수익 창출 계획 없이 취미로 제작한 개인 제작물이었습니다.[26][27] 당시 유튜브 CEO인 채드 허리(Chad Hurley)는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고 여겨지는 광고 분야로 확장하는 아이디어를 거부했다.[29] 하지만 유튜브는 2007년 8월 인비디오 광고를 시작했고, 2008년에는 사전 광고(preroll ads)를 도입했다.[30]
2007년 12월 유튜브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시작했는데, 이 프로그램은 특정 지표(현재는 지난 1년 동안 구독자 1,000명과 공개 시청 시간 4,000시간)를 충족하는 채널[31]이 동영상에 광고를 게재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허용했다.[30] 파트너 프로그램을 통해 유튜브 인물들이 처음으로 플랫폼에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32]
2010년대에는 플랫폼에서의 성공으로 유튜버가 부와 명성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이 급격히 증가했다. 2010년 12월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는 전년도 유튜브 최고 수입자는 웹 시리즈 ''짜증나는 오렌지(Annoying Orange)''의 제작자인 데인 보이디가이머(Dane Boedigheimer)이며, 수입은 약 25만 7천 달러라고 추산했다.[33] 5년 후 ''포브스(Forbes)''는 최고 수입 유튜브 인물 목록을 처음으로 발표했는데, 전년도 최고 수입자인 퓨디파이(PewDiePie)의 수입을 1,200만 달러로 추산했으며, 이는 카메론 디아즈(Cameron Diaz)나 귀네스 팰트로(Gwyneth Paltrow)와 같은 인기 배우보다 많은 금액이다.[34] ''포브스''는 그 해 10위 수입자는 로사나 판시노(Rosanna Pansino)로 250만 달러라고 추산했다. 2021년까지 유튜버 수입은 더욱 확대되었으며, 포브스는 그 해 최고 수입자는 미스터비스트(MrBeast)로 5,100만 달러라고 추산했다.[41]
YouTube에 동영상을 게시하는 것과 그것을 직업으로 하는 것은 동의어가 아니지만, 많은 유명 유튜버들은 게시한 동영상으로 수익을 얻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이다.
2007년 5월경 YouTube가 많은 조회수를 기록한 사용자에게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를 권유한 것이 시작으로 여겨진다. 초기에는 상업 콘텐츠 제공자에게만 제안되었다.[47] 이후 비디오 화면 옆에 광고를 게재하는 조건으로 사용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고, 2011년 4월에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했다. 더 많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YouTube 광고로 수입을 얻는 사람들도 나타났다.[48]
2017년 4월부터 총 재생 횟수가 100만 회 이상이어야 파트너 프로그램 참여가 허용되었지만, 2018년 2월부터는 과거 12개월간의 총 재생 시간이 4,000시간 이상, 그리고 채널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라는 더욱 엄격한 조건으로 변경되었다. 여기에 더해 YouTube에서의 저작권 침해, 스팸 등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정책 준수 여부 평가가 엄격해졌다.[49][50]2023년 2월부터는 짧은 동영상(Shorts)에서도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채널 구독자 수가 500명 이상이고, 유효한 공개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최근 12개월 동안 3,000시간 이상인 경우 멤버십 및 슈퍼챗 기능이 제공된다. 광고 수익을 얻는 조건은 채널 구독자 수가 1,000명 이상이고, 유효한 공개 동영상의 총 재생 시간이 최근 12개월 동안 4,000시간 이상이거나 유효한 공개 짧은 동영상(Shorts)의 시청 횟수가 최근 90일 동안 1,000만 회 이상인 경우이다.[51]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연예계에서 YouTube 시장으로 진출하는 사람들도 있다.[52]
독일 오펜부르크 대학교(Universität Offenburg) 마티아스 바르톨(Mathias Bartl)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광고 수익으로 생계를 유지하려는 유튜버의 96.5%가 평균적인 미국 빈곤선 이하의 수입만을 얻는다. 재생 횟수 상위 3%의 인기 유튜버는 한 달 재생 횟수가 140만 회를 넘지만, 그래도 평균 연봉은 1만 6,800달러이며, 미국의 빈곤선 소득 1만 2,140달러를 간신히 웃도는 정도다”라고 한다.[53]
유튜버의 가장 기본적인 수익 수단은 광고 수익이지만, 유튜브의 광고 수익 알고리즘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공개되지 않는다.
광고 수익(Advertising Revenue) 이외의 수익 수단으로는 “채널 멤버십[54]”, “슈퍼챗[55]”, “슈퍼 스티커”, “슈퍼 땡스[56]” 등 네 가지의 디지털 아이템이 있다.
채널 멤버십 - 월별 멤버십 구독자에게 회원 전용 동영상, 조기 시청, 회원 전용 라이브 방송, 회원 전용 라이브 채팅, 라이브 채팅에서의 다양한 표시 특권, 커뮤니티 탭에서의 다양한 특권, 회원 전용 디지털 콘텐츠, 상품샵에서의 할인 코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57]
슈퍼챗 - 2017년 1월 시작. 라이브 방송 채팅에서 게시글 댓글과 함께 기부하는 기능
슈퍼 스티커 - 2019년 11월 시작. 라이브 방송 채팅에서 전용 애니메이션 이미지와 함께 기부하는 기능
슈퍼 땡스 - 2021년 7월 시작. 공개 동영상에 박수와 함께 기부하는 기능[58]
2. 2. 멀티 채널 네트워크 (MCN)
유튜버는 구글 애드센스(Google AdSense)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제휴 링크(affiliate links), 상품 판매(merchandising), Patreon과 같은 플랫폼을 이용한 제3자 멤버십을 통해 수입을 보충할 수 있다.[24] 인기 채널은 기업 스폰서를 확보하여 비디오에 포함되는 대가를 받기도 한다.[24] 2018년에는 월마트(Walmart), 노드스트롬(Nordstrom) 등이 유튜브 스타를 인플루언서로 활용했다.[25]
초창기 유튜브에는 플랫폼에서 동영상을 수익화할 방법이 없었다. 사이트 콘텐츠는 대부분 수익 창출 계획 없이 취미로 제작한 개인 제작물이었다.[26][27] 초기에는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하여 독점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참여형 비디오 광고 형태가 도입되었다.[28] 첫 광고는 폭스의 프로그램 ''프리즌 브레이크(Prison Break)''였으며, 파리스 힐튼(Paris Hilton) 채널의 동영상 위에 나타났다.[28][29] 당시 해당 채널은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Warner Bros. Records)에서 운영했으며, 플랫폼 최초의 브랜드 채널로 언급되었다.[29] 2007년 8월 인비디오 광고, 2008년에는 사전 광고(preroll ads)가 도입되었다.[30] 2007년 12월 유튜브는 파트너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특정 지표를 충족하는 채널이 동영상에 광고를 게재하고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30][31]
2010년대에는 유튜버가 부와 명성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졌다. 2010년 ''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는 웹 시리즈 ''짜증나는 오렌지(Annoying Orange)''의 제작자 데인 보이디가이머(Dane Boedigheimer)의 수입을 약 25만 7천 달러로 추산했다.[33] 5년 후 ''포브스(Forbes)''는 최고 수입 유튜버 퓨디파이(PewDiePie)의 수입을 1,200만 달러로 추산했다.[34] 2021년까지 유튜버 수입은 더욱 확대되었으며, 포브스는 그 해 최고 수입자는 미스터비스트(MrBeast)로 5,100만 달러라고 추산했다.[41]
기업이 인기 있는 유튜버에게 상품 홍보 영상 제작을 의뢰하는 협찬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64] 이러한 영상 제작 중개 서비스를 담당하는 멀티 채널 네트워크(MCN)는 여러 유튜브 채널과 제휴하여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작, 자금 지원, 상호 홍보, 파트너 관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수익 배분/판매, 시청자 확보 등의 지원을 제공한다.
3. 사회적 영향
영향력 있는 유튜버들은 종종 마이크로 유명인으로 불린다.[2] 유튜브는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 소셜 미디어 비디오 플랫폼으로 널리 인식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유명인들은 기존의 상업적인 유명인 문화 시스템과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5][6] 이러한 인식은 유튜버들이 더 공감대를 형성하고 진정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게 만드는데, 이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통해 아티스트와 시청자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더욱 강화된다.[2][7]
2014년, 남가주대학교는 미국 13~18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유튜브 유명인 10명과 기존 유명인 10명 중 누가 더 영향력이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유튜브 인물들이 순위 상위 5위를 차지했으며, 유튜브 듀오 스모시(Smosh)가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2015년에 실시된 같은 조사에서는 상위 순위에 유튜버 6명이 올랐고, KSI가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9] 조엘라(Zoella),[2] PewDiePie와 같이 여러 유튜버들과 그들의 영향력은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10] 2010년대 후반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유튜버는 어린이들이 가장 갖고 싶어하는 직업으로 나타났다.[11][12][13]
유튜버들의 영향력은 플랫폼을 넘어 확장되었다. 일부 유튜버들은 리자 코시(Liza Koshy)처럼 주류 미디어로 진출하기도 했다. 리자 코시는 니켈로디언의 프로그램 ''더블 데어''의 리바이벌을 진행했고,[14]넷플릭스의 댄스 코미디 영화 ''워크 잇''에 출연했다.[15] 2019년에는 장난감 리뷰 및 브이로그 채널 라이언스 월드(Ryan's World)의 당시 7세 진행자인 라이언 카지(Ryan Kaji)가 주연한 프로그램 ''라이언스 미스터리 플레이데이트(Ryan's Mystery Playdate)''가 닉 주니어 채널에서 방영되기 시작했다.[16] 같은 해 NBC는 싱의 프로그램 ''A Little Late with Lilly Singh''을 자정 1시 35분 ET 시간대에 편성했다. 싱의 디지털 영향력은 당시 NBC 엔터테인먼트 공동 회장인 조지 치크스가 그녀를 진행자로 선택한 이유로 언급되었다.[17] 2024년에는 캐나다 유튜버 자스밋 싱 레이나(JusReign으로 알려짐)가 30분짜리 코미디 시리즈 늦깎이를 공개했다.
일부 유튜버들은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자선단체에 기부하거나 사회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제임스 스티븐 "미스터 비스트" 돈얼드슨과 마크 로버(Mark Rober)는 팀 트리스(Team Trees) 캠페인을 통해 2천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18][19] 펠리페 네토(Felipe Neto)는 브라질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대응을 비판했다.[20] 2020년, ''타임''지는 네토와 동료 유튜버 조조 시와(JoJo Siwa)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의 연례 명단에 포함시켰다.[21][22]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2013년 미시간 대학교 부교수 로버트 호브덴은 유튜브에서 개인의 산출량과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 g-지수와 h-지수와 유사한 새로운 지수를 만들 것을 주장했다.[23]
3. 1. 영향력
영향력 있는 유튜버들은 종종 마이크로 유명인으로 불린다.[2] 유튜브는 하향식이 아닌 상향식 소셜 미디어 비디오 플랫폼으로 널리 인식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유명인들은 기존의 상업적인 유명인 문화 시스템과 관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5][6] 이러한 인식은 유튜버들이 더 공감대를 형성하고 진정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게 만드는데, 이는 유튜브라는 매체를 통해 아티스트와 시청자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더욱 강화된다.[2][7]
2014년, 남가주대학교는 미국 13~18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유튜브 유명인 10명과 기존 유명인 10명 중 누가 더 영향력이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유튜브 인물들이 순위 상위 5위를 차지했으며, 유튜브 듀오 스모시(Smosh)가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 2015년에 실시된 같은 조사에서는 상위 순위에 유튜버 6명이 올랐고, KSI가 가장 영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7][9] 조엘라(Zoella),[2] PewDiePie와 같이 여러 유튜버들과 그들의 영향력은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10] 2010년대 후반의 여러 연구에 따르면 유튜버는 어린이들이 가장 갖고 싶어하는 직업으로 나타났다.[11][12][13]
유튜버들의 영향력은 플랫폼을 넘어 확장되었다. 일부 유튜버들은 리자 코시(Liza Koshy)처럼 주류 미디어로 진출하기도 했다. 리자 코시는 니켈로디언의 프로그램 ''더블 데어''의 리바이벌을 진행했고,[14]넷플릭스의 댄스 코미디 영화 ''워크 잇''에 출연했다.[15] 2019년에는 장난감 리뷰 및 브이로그 채널 라이언스 월드(Ryan's World)의 당시 7세 진행자인 라이언 카지(Ryan Kaji)가 주연한 프로그램 ''라이언스 미스터리 플레이데이트(Ryan's Mystery Playdate)''가 닉 주니어 채널에서 방영되기 시작했다.[16] 같은 해 NBC는 싱의 프로그램 ''A Little Late with Lilly Singh''을 자정 1시 35분 ET 시간대에 편성했다. 싱의 디지털 영향력은 당시 NBC 엔터테인먼트 공동 회장인 조지 치크스가 그녀를 진행자로 선택한 이유로 언급되었다.[17] 2024년에는 캐나다 유튜버 자스밋 싱 레이나(JusReign으로 알려짐)가 30분짜리 코미디 시리즈 늦깎이를 공개했다.
일부 유튜버들은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자선단체에 기부하거나 사회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제임스 스티븐 "미스터 비스트" 돈얼드슨과 마크 로버(Mark Rober)는 팀 트리스(Team Trees) 캠페인을 통해 2천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18][19] 펠리페 네토(Felipe Neto)는 브라질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대응을 비판했다.[20] 2020년, ''타임''지는 네토와 동료 유튜버 조조 시와(JoJo Siwa)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의 연례 명단에 포함시켰다.[21][22]
이러한 영향력 때문에 2013년 미시간 대학교 부교수 로버트 호브덴은 유튜브에서 개인의 산출량과 영향력을 평가하기 위해 g-지수와 h-지수와 유사한 새로운 지수를 만들 것을 주장했다.[23]
3. 1. 1. 사회 운동 참여
일부 유튜버들은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자선단체에 기부하거나 사회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냈다. 제임스 스티븐 "미스터 비스트" 돈얼드슨과 마크 로버(Mark Rober)는 팀 트리스(Team Trees) 캠페인을 통해 2천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18][19] 펠리페 네토(Felipe Neto)는 브라질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코로나19 범유행에 대한 대응을 비판했다.[20] 2020년, ''타임''지는 네토와 동료 유튜버 조조 시와(JoJo Siwa)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의 연례 명단에 포함시켰다.[21][22]
3. 2. 인기 직업
일본FP협회에 따르면, 일본의 "초등학생 장래희망 직업 랭킹 톱 10"에서 2016년까지는 순위권 밖이었지만, 2017년과 2018년에는 6위에 랭크되었으며, 아이들이 목표로 하는 직업으로서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2019년 이후는 다시 순위권 밖).[71][72] 리쿠교 대학의 신체영상학과에서는 대부분이 유튜버와 관련된 직업에 종사하고, 방송 업계에 진출한 사람은 1명이라는 현상도 일어나고 있다.[73]
영국에서도 3명 중 1명의 아이가 동경하는 직업이 되고 있다.[53] 대한민국 교육부 발표 초등학생 장래희망 직업에서도 3위를 차지했고, 구직정보 사이트 "사람인(saramin)" 조사에서는 성인의 63%가 유튜버에 도전할 의향을 보이고 있다.[74]
매스미디어에 출연하는 경우도 있으며, 연수입이 수억에서 수십억 엔에 달하는 사람이나, 독자적으로 악수회 등의 이벤트를 여는 사람도 있지만, 극소수이다.[75]
정부에서도 젊은 세대에 대한 정보 발신 수단으로서 유효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BUZZ MAFF와 같은 공무원 유튜버도 등장하고 있다.
4. 유튜브 크리에이터 어워드
YouTube는 특정 구독자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정행위 및 위반 경고가 없는 배포 기준을 충족하는 채널에 대해 시상을 하고 있다.[65] 채널에 대한 시상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상을 수상하는 유튜버도 있다. 시상 기준에 도달하면 YouTube 측에서 후보자가 사용하는 "Creator Studio"에 통지가 전송되며, 후보자의 수취인 정보를 제출함으로써 시상 기념품이 증정된다. 일본에서는 키즈라인, 센모모아이시 Ch, 히카킨 TV, 하지메샤쵸, 준야, 사가와 등 총 5개 채널이 "다이아몬드 크리에이터 어워드"를 수상했다(2022년 8월 현재).
크리에이터 혜택 레벨은 다음과 같다.
그래파이트(구독자 수 100명 ~) - 채널 URL 이름 설정 자격을 얻는다. 커뮤니티 기능을 얻는다.
오팔(1000명 ~) -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수익 창출) 이용 자격의 최소 조건이다.
브론즈(1만 명 ~) - 전 세계에 있는 YouTube 스페이스 이용 자격을 얻는다.
크리에이터 시상 마일스톤은 다음과 같다.
31x31픽셀 실버(10만 명 ~) - 재생 버튼을 본뜬 은색 盾이 증정된다. 파트너 매니저가 배정된다.
31x31픽셀 골드(100만 명 ~) - 금색 盾이 증정된다.
다이아몬드(1000만 명 ~) - 다이아몬드 盾이 증정된다.
루비(5000만 명 ~) - 커스텀 어워드이기도 하다. 스트리머 전용 특주 트로피가 증정된다.
레드 다이아몬드(1억 명 ~) - 빨간색 다이아몬드 盾이 증정된다.
4. 1. 수상 기준
유튜브는 특정 구독자 수를 보유하고 있으며 부정행위 및 위반 경고가 없는 채널에 대해 시상을 하고 있다.[65] 채널에 대한 시상이기 때문에, 여러 개의 상을 수상하는 유튜버도 있다. 시상 기준에 도달하면 YouTube 측에서 후보자가 사용하는 "Creator Studio"에 통지가 전송되며, 후보자의 수취인 정보를 제출함으로써 시상 기념품이 증정된다.
크리에이터 혜택 레벨은 다음과 같다.
그래파이트(구독자 수 100명 ~) - 채널 URL 이름 설정 자격을 얻는다. 커뮤니티 기능을 얻는다.
오팔(1000명 ~) -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수익 창출) 이용 자격의 최소 조건이다.
브론즈(1만 명 ~) - 전 세계에 있는 YouTube 스페이스 이용 자격을 얻는다.
크리에이터 시상 마일스톤은 다음과 같다.
실버(10만 명 ~) - 재생 버튼을 본뜬 은색 盾이 증정된다. 파트너 매니저가 배정된다.
골드(100만 명 ~) - 금색 盾이 증정된다.
다이아몬드(1000만 명 ~) - 다이아몬드 盾이 증정된다.
루비(5000만 명 ~) - 커스텀 어워드이기도 하다. 스트리머 전용 특주 트로피가 증정된다.
레드 다이아몬드(1억 명 ~) - 빨간색 다이아몬드 盾이 증정된다.
5. 문제점
=== 자극적인 콘텐츠 ===
2010년대부터 영상 촬영을 위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메이와쿠케이/迷惑系일본어”라고 불리는 유튜버가 증가하여 그 존재가 사회 문제화되었다.[76][77] 2020년에는 일본에서 허위의 피해 신고나 실종자의 소식을 흘리는 등 유튜버의 과격화가 진행되어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되었다.[78]
IT 저널리스트 오카다 유카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수법에 대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불법 행위를 촬영한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의 비판을 받아 “엔죠/炎上일본어”하면 많은 시청자를 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炎上商法(엔죠쇼호)의 일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79]
범죄심리학자 키리유 마사유키는 유튜버의 폐를 끼치는 행위가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에 대해 “체포되는 것조차 시청자의 주목을 얻어 영상 재생 수를 늘리는 수단이 될지도 모른다”고 분석하고 있다.[80]
저널리스트 사사키 토시나오는 “어디까지의 행위라면 허용되고, 어디부터는 허용되지 않는가 하는 기준을 플랫폼 측이 명확하게 하고 있지 않다”고 유튜브 측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한 경찰에 의한 본보기적인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단속 행위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를 노리고 있겠지만, 과도한 권력 개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율적으로 막아 나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81]
유튜버는 YouTube에서의 조회수와 구독자 수에 따른 광고 수익을 얻고 있는 관계로,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무분별한 동영상이나 자극적인 내용의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구독자 확보 및 조회수 조작을 하는 업체에 의뢰하는 사람, 동영상 내용과는 무관한 태그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으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자극적인 동영상이나 몰상식한 동영상에 대해 YouTube가 제휴를 해지한 사례가 있다.[84] 2018년 1월 로건 폴이 일본 아오키가하라 주카이에서 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시체를 발견하고, 충격을 받으면서도 농담을 하는 등의 모습을 자신의 YouTube 채널에 공개했다.[84] 이 행위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YouTube는 "구글 프리퍼드"(YouTube의 인기 채널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판매枠) 대상이었던 폴의 채널을 제외했다.[84] 나중에 폴은 사과 동영상을 공개했다.[84]
일본에서도 2020년 2월 4일, 하지메샤쵸가 전일본공수 기체 석이석 충돌 사고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의 숲"(현: 모리노 시즈쿠 공원, 이와테현시즈쿠이시정)을 "심령 스팟"으로 소개하는 동영상을 게시했다. "돌아가신 분에게 실례"라는 등 시청자들로부터 비판이 잇따라 동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사과하는 사태가 되었다.[85]
2020년 9월 체포된 배우가 보석으로 풀려났을 때, 배우에게 페트병을 건네주려고 하다 경찰관에게 연행된 유튜버처럼, 접속 수를 늘리려고 묵과할 수 없는 행위를 하는 "피해 유튜버"의 존재도 지적되고 있다.[86] 예를 들어, "돌출"이라고 하여 구독자가 많은 유명 유튜버의 집을 특정하여 사전 연락 없이 촬영하거나 무리하게 협업을 요청하는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슈퍼마켓의 상품을 계산하기 전에 먹고 나중에 절도 혐의로 체포되는 등의 사례가 있다.[87]
사회적 관심이 높은 사건·사고·부고가 있었을 때 등, 여론의 집중에 편승하는 형태로 당사자의 감정을 해치거나, 관계자인 체하여 주목을 끌려는 "몰상식 유튜버"가 문제가 되고 있다. 돌아가신 분을 모욕하는 듯한 제목의 동영상은 "역발상형", "몰상식형"이라고 불리며, 전문적으로 다루는 게시자가 적지 않다.[88][89]
=== 허위 정보 유포 ===
바가지요금을 받는 가게 잠입 취재 등 “사회의 어두운 면을 파헤치는 계열” 영상을 다수 공개해 온 유튜버가, 다른 유튜버에게 조작을 폭로당해 자신이 공개해 온 영상이 모두 조작이었다고 고백하거나,[90] “대식 계열”로 활동해 온 유튜버가 편집 실수로 음식을 토하는 모습이 담겨 논란이 되는 등,[90] 은밀 마케팅이 발각되어 유튜버 이외의 연예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 사례도 있다.[91]
또한, 방치되거나 위험한 환경에 있다고 알려진 동물·애완동물을 구조·보호하고 그 모습을 촬영하여 유튜브에 공개하는 “동물 구조 영상”이 2021년 무렵부터 급증했지만,[92] 그러한 영상을 시청하고 “조작이 아니냐”고 의문을 가진 일부 유튜버·유튜브 시청자들의 풀뿌리 고발 운동에 의해,[93] 유튜브의 동영상 게시 정책(규약) 개정으로 이어졌다.[94] 이 개정으로 일본 국내에서도 인기 유튜버가 정책 위반인 “조작 판정”을 받았다는 사례도 있다.[92]
=== 과도한 경쟁 ===
유튜버는 YouTube에서의 조회수와 구독자 수에 따른 광고 수익을 얻고 있는 관계로,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무분별하거나 자극적인 내용의 동영상을 게시한다. 구독자 확보 및 조회수 조작을 하는 업체에 의뢰하거나, 동영상 내용과는 무관한 태그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84]
이러한 자극적인 동영상이나 몰상식한 동영상에 대해 YouTube가 제휴를 해지한 사례가 있다.[84] 2018년 1월 로건 폴이 일본 아오키가하라 주카이에서 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시체를 발견하고, 충격을 받으면서도 농담을 하는 등의 모습을 자신의 YouTube 채널에 공개했다.[84] 이 행위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YouTube는 "구글 프리퍼드"(YouTube의 인기 채널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판매枠) 대상이었던 폴의 채널을 제외했다.[84] 나중에 폴은 사과 동영상을 공개했다.[84]
일본에서도 2020년 2월 4일, 하지메샤쵸가 전일본공수 기체 석이석 충돌 사고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의 숲"(현: 모리노 시즈쿠 공원, 이와테현시즈쿠이시정)을 "심령 스팟"으로 소개하는 동영상을 게시했다. "돌아가신 분에게 실례"라는 등 시청자들로부터 비판이 잇따라 동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사과했다.[85]
2020년 9월 체포된 배우가 보석으로 풀려났을 때, 배우에게 페트병을 건네주려고 하다 경찰관에게 연행된 유튜버처럼, 접속 수를 늘리려고 묵과할 수 없는 행위를 하는 "피해 유튜버"의 존재도 지적되고 있다.[86] 예를 들어, "돌출"이라고 하여 구독자가 많은 유명 유튜버의 집을 특정하여 사전 연락 없이 촬영하거나 무리하게 협업을 요청하는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슈퍼마켓의 상품을 계산하기 전에 먹고 나중에 절도 혐의로 체포되는 등의 사례가 있다.[87]
사회적 관심이 높은 사건·사고·부고가 있었을 때 등, 여론의 집중에 편승하는 형태로 당사자의 감정을 해치거나, 관계자인 체하여 주목을 끌려는 "몰상식 유튜버"가 문제가 되고 있다. 돌아가신 분을 모욕하는 듯한 제목의 동영상은 "역발상형", "몰상식형"이라고 불리며, 전문적으로 다루는 게시자가 적지 않다.[88][89]
=== 윤리적 문제 ===
2010년대부터 영상 촬영을 위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라고 불리는 유튜버가 증가하여 그 존재가 사회 문제화되었다.[76][77] 2020년에는 일본에서 허위의 피해 신고나 실종자의 소식을 흘리는 등 유튜버의 과격화가 진행되어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되었다.[78]
IT 저널리스트 오카다 유카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수법에 대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불법 행위를 촬영한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의 비판을 받아 “炎上(엔죠)”하면 많은 시청자를 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炎上商法(엔죠쇼호)의 일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79]
범죄심리학자 키리유 마사유키는 유튜버의 폐를 끼치는 행위가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에 대해 “체포되는 것조차 시청자의 주목을 얻어 영상 재생 수를 늘리는 수단이 될지도 모른다”고 분석하고 있다.[80]
저널리스트 사사키 토시나오는 “어디까지의 행위라면 허용되고, 어디부터는 허용되지 않는가 하는 기준을 플랫폼 측이 명확하게 하고 있지 않다”고 유튜브 측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한 경찰에 의한 본보기적인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단속 행위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를 노리고 있겠지만, 과도한 권력 개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율적으로 막아 나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81]
5. 1. 자극적인 콘텐츠
2010년대부터 영상 촬영을 위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메이와쿠케이/迷惑系일본어)라고 불리는 유튜버가 증가하여 그 존재가 사회 문제화되었다.[76][77] 2020년에는 일본에서 허위의 피해 신고나 실종자의 소식을 흘리는 등 유튜버의 과격화가 진행되어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되었다.[78]
IT 저널리스트 오카다 유카(岡田有花)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수법에 대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불법 행위를 촬영한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의 비판을 받아 “炎上(엔죠)”하면 많은 시청자를 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炎上商法(엔죠쇼호)의 일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79]
범죄심리학자 키리유 마사유키(桐生正幸)는 유튜버의 폐를 끼치는 행위가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에 대해 “체포되는 것조차 시청자의 주목을 얻어 영상 재생 수를 늘리는 수단이 될지도 모른다”고 분석하고 있다.[80]
저널리스트 사사키 토시나오(佐々木俊尚)는 “어디까지의 행위라면 허용되고, 어디부터는 허용되지 않는가 하는 기준을 플랫폼 측이 명확하게 하고 있지 않다”고 유튜브 측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한 경찰에 의한 본보기적인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단속 행위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를 노리고 있겠지만, 과도한 권력 개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율적으로 막아 나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81]
유튜버는 YouTube에서의 조회수와 구독자 수에 따른 광고 수익을 얻고 있는 관계로,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무분별한 동영상이나 자극적인 내용의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구독자 확보 및 조회수 조작을 하는 업체에 의뢰하는 사람, 동영상 내용과는 무관한 태그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으며,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자극적인 동영상이나 몰상식한 동영상에 대해 YouTube가 제휴를 해지한 사례가 있다.[84] 2018년 1월 로건 폴(Logan Paul)이 일본 산나리현 아오키가하라 주카이(青木ヶ原樹海)에서 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시체를 발견하고, 충격을 받으면서도 농담을 하는 등의 모습을 자신의 YouTube 채널에 공개했다.[84] 이 행위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YouTube는 "구글 프리퍼드"(YouTube의 인기 채널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판매枠) 대상이었던 폴의 채널을 제외했다.[84] 나중에 폴은 사과 동영상을 공개했다.[84]
일본에서도 2020년(레이와 2년) 2월 4일, 하지메샤쵸(はじめしゃちょー)가 전일본공수 기체 석이석 충돌 사고(全日空機雫石衝突事故)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의 숲"(현: 모리노 시즈쿠 공원(森のしずく公園), 이와테현 시즈쿠이시정(岩手県雫石町))을 "심령 스팟"으로 소개하는 동영상을 게시했다. "돌아가신 분에게 실례"라는 등 시청자들로부터 비판이 잇따라 동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사과하는 사태가 되었다.[85]
2020년 9월 체포된 배우가 보석으로 풀려났을 때, 배우에게 페트병을 건네주려고 하다 경찰관에게 연행된 유튜버처럼, 접속 수를 늘리려고 묵과할 수 없는 행위를 하는 "피해 유튜버"의 존재도 지적되고 있다.[86] 예를 들어, "돌출"이라고 하여 구독자가 많은 유명 유튜버의 집을 특정하여 사전 연락 없이 촬영하거나 무리하게 협업을 요청하는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슈퍼마켓의 상품을 계산하기 전에 먹고 나중에 절도 혐의로 체포되는 등의 사례가 있다.[87]
사회적 관심이 높은 사건·사고·부고가 있었을 때 등, 여론의 집중에 편승하는 형태로 당사자의 감정을 해치거나, 관계자인 체하여 주목을 끌려는 "몰상식 유튜버"가 문제가 되고 있다. 돌아가신 분을 모욕하는 듯한 제목의 동영상은 "역발상형", "몰상식형"이라고 불리며, 전문적으로 다루는 게시자가 적지 않다.[88][89]
5. 2. 허위 정보 유포
바가지요금을 받는 가게 잠입 취재 등 “사회의 어두운 면을 파헤치는 계열” 영상을 다수 공개해 온 유튜버가, 다른 유튜버에게 조작(やらせ)을 폭로당해 자신이 공개해 온 영상이 모두 조작이었다고 고백하거나,[90] “대食い 계열”로 활동해 온 유튜버가 편집 실수로 음식을 토하는 모습이 담겨 논란이 되는 등,[90] 은밀 마케팅이 발각되어 유튜버 이외의 연예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 사례도 있다.[91]
또한, 방치되거나 위험한 환경에 있다고 알려진 동물·애완동물을 구조·보호하고 그 모습을 촬영하여 유튜브에 공개하는 “동물 구조 영상”이 2021년 무렵부터 급증했지만,[92] 그러한 영상을 시청하고 “조작이 아니냐”고 의문을 가진 일부 유튜버·유튜브 시청자들의 풀뿌리 고발 운동에 의해,[93] 유튜브의 동영상 게시 정책(규약) 개정으로 이어졌다.[94] 이 개정으로 일본 국내에서도 인기 유튜버가 정책 위반인 “조작 판정”을 받았다는 사례도 있다.[92]
5. 3. 과도한 경쟁
유튜버는 YouTube에서의 조회수와 구독자 수에 따른 광고 수익을 얻고 있는 관계로, 조회수를 늘리기 위해 무분별하거나 자극적인 내용의 동영상을 게시한다. 구독자 확보 및 조회수 조작을 하는 업체에 의뢰하거나, 동영상 내용과는 무관한 태그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84]
이러한 자극적인 동영상이나 몰상식한 동영상에 대해 YouTube가 제휴를 해지한 사례가 있다.[84] 2018년 1월 로건 폴이 일본 산나리현 아오키가하라 주카이(青木ヶ原樹海)에서 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시체를 발견하고, 충격을 받으면서도 농담을 하는 등의 모습을 자신의 YouTube 채널에 공개했다.[84] 이 행위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비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YouTube는 "구글 프리퍼드"(YouTube의 인기 채널에 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판매枠) 대상이었던 폴의 채널을 제외했다.[84] 나중에 폴은 사과 동영상을 공개했다.[84]
일본에서도 2020년 2월 4일, 하지메샤쵸가 전일본공수 기체 석이석 충돌 사고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위령의 숲"(현: 모리노 시즈쿠 공원(森のしずく公園), 이와테현시즈쿠이시정)을 "심령 스팟"으로 소개하는 동영상을 게시했다. "돌아가신 분에게 실례"라는 등 시청자들로부터 비판이 잇따라 동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사과했다.[85]
2020년 9월 체포된 배우가 보석으로 풀려났을 때, 배우에게 페트병을 건네주려고 하다 경찰관에게 연행된 유튜버처럼, 접속 수를 늘리려고 묵과할 수 없는 행위를 하는 "피해 유튜버"의 존재도 지적되고 있다.[86] 예를 들어, "돌출"이라고 하여 구독자가 많은 유명 유튜버의 집을 특정하여 사전 연락 없이 촬영하거나 무리하게 협업을 요청하는 동영상을 게시하거나, 슈퍼마켓의 상품을 계산하기 전에 먹고 나중에 절도 혐의로 체포되는 등의 사례가 있다.[87]
사회적 관심이 높은 사건·사고·부고가 있었을 때 등, 여론의 집중에 편승하는 형태로 당사자의 감정을 해치거나, 관계자인 체하여 주목을 끌려는 "몰상식 유튜버"가 문제가 되고 있다. 돌아가신 분을 모욕하는 듯한 제목의 동영상은 "역발상형", "몰상식형"이라고 불리며, 전문적으로 다루는 게시자가 적지 않다.[88][89]
5. 4. 윤리적 문제
2010년대부터 영상 촬영을 위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범죄 행위를 저지르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라고 불리는 유튜버가 증가하여 그 존재가 사회 문제화되었다.[76][77] 2020년에는 일본에서 허위의 피해 신고나 실종자의 소식을 흘리는 등 유튜버의 과격화가 진행되어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되었다.[78]
IT 저널리스트 오카다 유카(岡田有花)는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수법에 대해, 폐를 끼치는 행위나 불법 행위를 촬영한 영상을 시청한 사람들의 비판을 받아 “炎上(엔죠)”하면 많은 시청자를 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炎上商法(엔죠쇼호)의 일종이라고 설명하고 있다.[79]
범죄심리학자 키리유 마사유키(桐生正幸)는 유튜버의 폐를 끼치는 행위가 형사 사건으로 이어지는 사례에 대해 “체포되는 것조차 시청자의 주목을 얻어 영상 재생 수를 늘리는 수단이 될지도 모른다”고 분석하고 있다.[80]
저널리스트 사사키 토시나오(佐々木俊尚)는 “어디까지의 행위라면 허용되고, 어디부터는 허용되지 않는가 하는 기준을 플랫폼 측이 명확하게 하고 있지 않다”고 유튜브 측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또한 경찰에 의한 본보기적인 迷惑系(메이와쿠케이) 유튜버의 단속 행위에 대해서는 “일벌백계를 노리고 있겠지만, 과도한 권력 개입이 일어나지 않도록 자율적으로 막아 나가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81]
6. 한국의 유튜버
대한민국은 유튜버들을 유튜버보다는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 더 많이 부른다. 이 표현을 많이 사용하게 된 계기는 처음에는 유튜버를 포함한 인터넷 방송인들의 사회적 이미지가 좋지 않았고, 힘들지 않게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촬영하여 그로 인해 수익을 얻는 것이라고 판단해 사회적으로 좋지 않은 시선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인 미디어 사업이 발전하면서 크리에이터를 관리하고 법적으로 보호해주는 MCN(Multi Channel Network) 회사가 생겨났고 크리에이터가 새로운 직업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6. 1. 한국 유튜버의 특징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버를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 더 많이 부른다. 처음에는 유튜버를 포함한 인터넷 방송인들의 사회적 이미지가 좋지 않았고, 힘들지 않게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촬영하여 수익을 얻는다는 인식이 강해 부정적인 시선이 많았다. 하지만 1인 미디어 산업이 발전하면서 크리에이터를 관리하고 법적으로 보호해주는 MCN(Multi Channel Network) 회사가 생겨났고, 크리에이터는 새로운 직업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6. 2. MCN 산업
대한민국에서는 유튜버를 유튜브 크리에이터라고 더 많이 부른다. 처음에는 유튜버를 포함한 인터넷 방송인들의 사회적 이미지가 좋지 않았고,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통해 쉽게 수익을 얻는다는 부정적인 시선이 많았다. 그러나 1인 미디어 산업이 발전하면서 크리에이터를 관리하고 법적으로 보호해주는 MCN(Multi Channel Network) 회사가 생겨났고, 크리에이터는 새로운 직업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기업이 인기 있는 유튜버에게 상품 홍보 영상 제작을 의뢰하는 협찬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 제작 중개 서비스를 담당하는 멀티 채널 네트워크(MCN)는 여러 유튜브 채널과 제휴하여 서비스 및 프로그램 제작, 자금 지원, 상호 홍보, 파트너 관리, 디지털 저작권 관리, 수익 배분/판매, 시청자 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을 제공한다.
7. 전망
7. 1. 제도적 개선 필요성
7. 2. 건강한 유튜브 생태계 조성
참조
[1]
웹사이트
YouTuber
https://dictionary.c[...]
2021-07-07
[2]
논문
In the Time of the Microcelebrity: Celebrification and the YouTuber Zoella
http://ijoc.org/inde[...]
2018-06-11
[3]
웹사이트
'YouTuber' is a real word now because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says so
https://mashable.com[...]
2021-07-07
[4]
간행물
Person of the Year 2006
https://web.archive.[...]
2023-08-10
[5]
서적
Status Update: Celebrity, Publicity, and Branding in the Social Media Ag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21-07-17
[6]
논문
The Unwatched Life Is Not Worth Living: The Elevation of the Ordinary in Celebrity Culture
http://dx.doi.org/10[...]
2021-06-27
[7]
웹사이트
Why are YouTube stars so popular?
https://www.theguard[...]
2018-05-03
[8]
웹사이트
Survey: YouTube Stars More Popular Than Mainstream Celebs Among U.S. Teens
https://variety.com/[...]
2021-08-06
[9]
뉴스
Digital Star Popularity Grows Versus Mainstream Celebrities
https://variety.com/[...]
2018-05-03
[10]
논문
The role of swearing in creating an online persona: The case of YouTuber PewDiePie
2017-08-01
[11]
웹사이트
The Most-Desired Career Among Young People Today Is 'YouTuber' (Study)
https://www.tubefilt[...]
2021-03-02
[12]
웹사이트
American kids want to be famous on YouTube, and kids in China want to go to space: survey
https://www.business[...]
2021-03-02
[13]
웹사이트
Forget law school, these kids want to be a YouTube star
https://www.cnbc.com[...]
2021-03-02
[14]
웹사이트
'Double Dare' Reboot Taps YouTube Star Liza Koshy as Host
https://www.hollywoo[...]
2021-03-02
[15]
웹사이트
'Work It': How Did Liza Koshy Learn to Dance Like That?
https://www.cheatshe[...]
2021-03-02
[16]
보도자료
Nickelodeon Embarks on New Direction with Its Biggest, Most Wide-Ranging Content Slate Ever – New Shows Are ''All That'' and Much More
http://www.thefutonc[...]
2021-03-02
[17]
웹사이트
Lilly Singh's NBC series debut proves late night TV and YouTube need each other
https://www.theverge[...]
2021-03-02
[18]
웹사이트
YouTube star MrBeast wants to plant 20 million trees. Elon Musk, Jack Dorsey, and more are helping him do it.
https://edition.cnn.[...]
2021-03-02
[19]
웹사이트
#teamtrees
https://teamtrees.or[...]
2021-03-02
[20]
웹사이트
Felipe Neto: how a YouTuber became one of Jair Bolsonaro's loudest critics
https://www.theguard[...]
2021-03-02
[21]
웹사이트
Felipe Neto Is on the 2020 TIME 100 List
https://time.com/col[...]
2021-03-02
[22]
웹사이트
JoJo Siwa Is on the 2020 TIME 100 List
https://time.com/col[...]
2021-03-02
[23]
논문
Bibliometrics for Internet media: Applying the ''h''-index to YouTube
2013-09-12
[24]
웹사이트
Evan Edinger: The five ways YouTubers make money
http://www.bbc.co.uk[...]
2020-07-10
[25]
뉴스
Walmart, Nordstrom and others look to YouTube stars to woo millennials and Gen Z
https://www.cnbc.com[...]
NBCUniversal
2018-08-07
[26]
웹사이트
YouTube hits 100m videos per day
http://news.bbc.co.u[...]
BBC News
2021-02-28
[27]
웹사이트
Will All of Us Get Our 15 Minutes On a YouTube Video?
https://www.wsj.com/[...]
2021-02-28
[28]
웹사이트
YouTube expands types of advertising
https://www.nbcnews.[...]
NBC News
2021-02-28
[29]
웹사이트
YouTube Shuns Pre-Roll Video Advertising
https://www.adweek.c[...]
2021-02-28
[30]
웹사이트
Infographic: The History of Video Advertising on YouTube
https://www.theatlan[...]
2021-02-28
[31]
웹사이트
YouTube Partner Program overview & eligibility
https://support.goog[...]
YouTube Help
2021-02-28
[32]
서적
Watching YouTube: Extraordinary Videos by Ordinary Peop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3]
웹사이트
Meet The YouTube Stars Making More Money Than EMTs, Cops, Firefighters, And Teachers
https://www.business[...]
2021-02-28
[34]
웹사이트
The World's Highest-Paid YouTube Stars 2015
https://www.forbes.c[...]
2021-02-28
[35]
웹사이트
The Highest-Paid YouTube Stars Of 2020
https://www.forbes.c[...]
2021-02-28
[36]
웹사이트
NME Investigation: Are YouTubers The New Pop Stars?
https://www.nme.com/[...]
2020-01-28
[37]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YouTube's celebrity pioneers
https://www.wired.co[...]
2021-02-28
[38]
웹사이트
YouTuber Dilemma: Staying 'Authentic' Amid 4K Cameras, Studio Money, Ad Dollars
https://deadline.com[...]
Deadline
2021-02-28
[39]
웹사이트
YouTubers: Money First, Fans Later
https://chris6d.medi[...]
Medium
2021-02-28
[40]
뉴스
The Social-Media Stars Who Move Markets
https://www.wsj.com/[...]
2021-08-28
[41]
웹사이트
The Highest-Paid YouTube Stars: MrBeast, Jake Paul and Markiplier Score Massive Paydays
https://www.forbes.c[...]
2022-04-05
[42]
웹사이트
We Ranked YouTube's Biggest Stars By How Much Money They Make
http://www.businessi[...]
2014-03-10
[43]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YouTube's celebrity pioneers
http://www.wired.co.[...]
2013-11-27
[44]
뉴스
動画職人になって
https://www.news-pos[...]
Yahoo!ニュース
2014-03-06
[45]
웹사이트
YouTuber
https://kotobank.jp/[...]
2022-09-15
[46]
웹사이트
ユーチューバー
https://jobcatalog.y[...]
2022-09-15
[47]
웹사이트
YouTube、ついにムービー投稿者に広告収入の分配を開始
https://gigazine.net[...] [48]
뉴스
YouTubeの収益化プログラム、日本のユーザー収入が3年で4倍に「それで生活している人もいる」
https://www.itmedia.[...]
ITmediaニュース
2012-07-30
[49]
뉴스
YouTubeの収益化、10,000再生以上が条件に!悲報ではなく、朗報!
http://network.bbtv.[...]
bbtvニュース
2017
[50]
웹사이트
YouTube が「 YouTube パートナープログラム」をアップデート|広告表示に不適切な動画への対応を強化
http://unyoo.jp/2018[...]
Unyoo.jp
2018-01-19
[51]
웹사이트
YouTube パートナー プログラムの概要と利用資格 - パソコン - YouTube ヘルプ
https://support.goog[...]
2023-06-02
[52]
뉴스
大御所タレントがYouTubeに続々と参入 テレビとの“セット売り”がセカンドキャリアとしての成功の鍵?
https://www.oricon.c[...]
ORICON NEWS
2022-02-18
[53]
웹사이트
子どもの3人に1人が憧れる職業「ユーチューバー」が生活できるようになるまでの壁とは?
https://gigazine.net[...]
2021-04-14
[54]
웹사이트
チャンネルメンバーシップで収益を得る
https://creatoracade[...]
2021-07-01
[55]
웹사이트
Super Chat と Super Sticker 購入の詳細 - パソコン - YouTube ヘルプ
https://support.goog[...]
2021-07-16
[56]
웹사이트
YouTube クリエイターの新たな収益源としてSuper Thanks を追加
https://youtube-jp.g[...]
2021-07-28
[57]
웹사이트
チャンネルメンバーシップで収益を得る
https://creatoracade[...]
2021-07-01
[58]
웹사이트
YouTube クリエイターの新たな収益源としてSuper Thanks を追加
https://youtube-jp.g[...]
2021-07-28
[59]
웹사이트
Less than 1% of all videos on YouTube ever reach more than 100,000 views
https://www.musicbus[...]
2019-06-12
[60]
웹사이트
Less than 1% of all videos on YouTube ever reach more than 100,000 views
https://www.musicbus[...]
2019-06-12
[61]
웹사이트
クリエイターを保護するための YouTube パートナー プログラム(YPP)の新たな変更点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youtube-crea[...]
2020-03-14
[62]
웹사이트
口コミサイト・インフルエンサーマーケティングの動向整理
https://www.caa.go.j[...]
2020-03-14
[63]
웹사이트
口コミサイト・インフルエンサーマーケティングの動向整理
https://www.caa.go.j[...]
2020-03-14
[64]
웹사이트
女性YouTuberネットワーク『ウーメディアチャンネル』、企業タイアップ動画制作サービス提供開始 第1弾はセゾンカードのTVCM
http://www.value-pre[...]
トレンダーズ
2014-03-26
[65]
웹사이트
表彰プログラム
https://www.youtube.[...]
YouTube
2019-01-12
[66]
뉴스
YouTubeクリエイターが無料で使える本格撮影スタジオ、グーグルが都内に開設
https://internet.wat[...]
2013-02-14
[67]
문서
뉴욕, 런던, 로스앤젤레스, 도쿄, 리우데자네이루, 토론토, 뭄바이, 베를린, 파리, 두바이
[68]
웹사이트
“YouTuberの拠点”が渋谷の中心に誕生 『YouTube Space Tokyo』2020年移転
https://realsound.jp[...]
2019-08-29
[69]
웹사이트
“YouTuberの拠点”が渋谷の中心に誕生 『YouTube Space Tokyo』2020年移転
https://realsound.jp[...]
2019-08-29
[70]
뉴스
「動く抗うつ剤」「ストロングゼロの擬人化」―― バーチャルYouTuber輝夜月(かぐや・るな)を見て今年も元気にやっていこう
https://nlab.itmedia[...]
ITmedia ねとらぼ
2018-01-06
[71]
웹사이트
小学生の「将来なりたい職業」ランキングトップ10
https://kyodonewsprw[...]
共同通信PRワイヤー
2020-10-02
[72]
뉴스
小学生のなりたい職業ランキング、YouTuberが3位に 保護者の本音は?
https://kai-you.net/[...]
Yahoo!ニュース
2019-02-24
[73]
웹사이트
YouTube世代の僕がラジオに就職した理由。いつか2つのメディアの融合を
https://www.business[...]
Business Insider Japan
[74]
뉴스
20代70%「ユーチューバーになりたい」…韓国の大学に「YouTube学科」も登場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語版
2019-12-13
[75]
뉴스
年収数千万とも言われており、YouTuber
https://news.livedoo[...]
Livedoor NEWS
2014-04-23
[76]
웹사이트
〈YouTube日本トップが語る〉DaiGo炎上、迷惑系YouTuber逮捕、災害報道、自宅学習支援……巨大化する動画プラットフォームの光と影
https://bunshun.jp/a[...]
2021-09-23
[77]
웹사이트
バズるために殺人する“迷惑系YouTuber”、10代少女に性的メッセージ送りつける男……SNSの闇を描く作品に注目
https://realsound.jp[...]
2021-09-22
[78]
웹사이트
過激ユーチューバー、摘発相次ぐ
https://www.nikkei.c[...]
2020-08-02
[79]
웹사이트
「迷惑系YouTuber」とは何か なぜ迷惑行為を繰り返すのか
https://www.itmedia.[...]
2021-09-23
[80]
웹사이트
過激ユーチューバー、摘発相次ぐ
https://www.nikkei.c[...]
2020-08-02
[81]
웹사이트
「“地味だけど楽しい”が評価される文化を」迷惑系YouTuber「へずまりゅう」逮捕、どうすれば“過激コンテンツ”は防げる? 経済・IT
https://times.abema.[...]
2021-09-23
[82]
웹사이트
バズるために殺人する“迷惑系YouTuber”、10代少女に性的メッセージ送りつける男……SNSの闇を描く作品に注目
https://realsound.jp[...]
2021-09-22
[83]
웹사이트
『仮面ライダー』で“迷惑系YouTuber”が題材に Twitterトレンド入りでへずまりゅうも反応
https://yutura.net/n[...]
2021-10-03
[84]
웹사이트
YouTube、日本の自殺者を映した人気投稿者との提携解除
http://www.bbc.com/j[...]
BBC
2018-01-11
[85]
뉴스
はじめしゃちょー、不謹慎動画で謝罪 「慰霊の森」を心霊スポットと紹介...墜落事故の追悼の場
https://www.j-cast.c[...]
株式会社ジェイ・キャスト
2020-02-07
[86]
웹사이트
〇〇ら“迷惑系YouTuber”が相次いで逮捕される理由 「110番通報増えた」(2/2)
https://dot.asahi.co[...]
2020-10-17
[87]
웹사이트
「迷惑系YouTuber」とは何か なぜ迷惑行為を繰り返すのか
https://news.yahoo.c[...]
2020-07-27
[88]
뉴스
犯人や「故人の息子」勝手に自称 「不謹慎系ユーチューバー」が増え続ける理由
https://www.j-cast.c[...]
株式会社ジェイ・キャスト
2020-05-27
[89]
웹사이트
伊勢谷友介に「メントスコーラ」したYouTuber 直前には竹内結子取材への「凸」も...「何でもありなのかな」
https://www.j-cast.c[...]
ジェイ・キャスト
2020-10-01
[90]
웹사이트
ユーチューバー、早くも限界で行き詰り…人気者たちの「やらせ」蔓延、一瞬でファン離反(2/2)ユーチューバーとして成功し続けることの難しさ
https://biz-journal.[...]
サイゾー
2020-11-01
[91]
웹사이트
ユーチューバー、早くも限界で行き詰り…人気者たちの「やらせ」蔓延、一瞬でファン離反(1/2)てんちむはステマがばれて大炎上
https://biz-journal.[...]
サイゾー
2020-11-01
[92]
웹사이트
「やらせ動物レスキュー動画」がひどすぎる!動物愛護を逆手にとった虐待とは(4/4)“やらせレスキュー”は今年急増したコンテンツ
https://diamond.jp/a[...]
週刊ダイヤモンド|DIAMOND online
2021-09-18
[93]
웹사이트
「やらせ動物レスキュー動画」がひどすぎる!動物愛護を逆手にとった虐待とは(3/4)やらせ動画の見分け方 気をつければ次々に見つかる違和感
https://diamond.jp/a[...]
DIAMOND online
2021-09-18
[94]
웹사이트
「やらせ動物レスキュー動画」がひどすぎる!動物愛護を逆手にとった虐待とは(1/4)YouTubeがポリシーを変更 動物虐待に対する新たな取り締まり
https://diamond.jp/a[...]
DIAMOND online
2021-09-18
[95]
웹사이트
人気YouTuberに突然「収益化無効」 “文字だけ動画”が対象に?
https://times.abema.[...]
AbemaTIMES
2019-04-23
[96]
웹사이트
ゆっくり動画が相次いで収益化停止。クリエイターから悲鳴絶えず「泣き寝入り」
https://yutura.net/n[...]
yutura
2019-04-24
[97]
뉴스
消防士ユーチューバー、ゲーム実況で収入115万円…副業禁止で懲戒「認識甘かった」
https://www.yomiuri.[...]
2022-01-12
[98]
웹사이트
YouTuber
https://dictionary.c[...]
2021-07-07
[99]
저널
In the Time of the Microcelebrity: Celebrification and the YouTuber Zoella
http://ijoc.org/inde[...]
2016-10-14
[100]
웹사이트
'YouTuber' is a real word now because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says so
https://mashable.com[...]
2016-12-28
[101]
웹사이트
jawed
https://www.youtube.[...]
2018-06-02
[102]
웹사이트
Extract Meta Data
https://citizenevide[...]
2018-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