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타 라디초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베타 라디초바는 슬로바키아의 사회학자이자 정치인이다. 2010년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선거에서 중도 우파 연립 정부를 구성하여 슬로바키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으나, 2011년 유럽 금융 안정 기금(EFSF) 관련 표결 부결로 정권이 붕괴되었다. 2012년 총선 패배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코메니우스 대학교 강사로 복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여자 정치인 - 주자나 차푸토바
주자나 차푸토바는 슬로바키아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슬로바키아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슬로바키아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다.
이베타 라디초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베타 라디초바 |
출생명 | 이베타 카라피아토바 |
출생일 | 1956년 12월 7일 |
출생지 | 체코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현재 슬로바키아) |
사망일 | 해당 없음 |
사망지 | 해당 없음 |
배우자 | 스타노 라디치 (2005년 사망), 마리안 발라즈 |
서명 | Accession Treaty 2011 Iveta Radičová signature.svg |
학력 | |
모교 | 코메니우스 대학교,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슬로바키아 민주 기독교 연합-민주당 (2006–2012) |
직책 | |
대통령 | 이반 가슈파로비치 |
임기 시작 | 2010년 7월 8일 |
임기 종료 | 2012년 4월 4일 |
이전 총리 | 로베르트 피초 |
다음 총리 | 로베르트 피초 |
임기 시작 | 2011년 11월 28일 |
임기 종료 | 2012년 4월 4일 |
이전 장관 | 류보미르 갈코 |
다음 장관 | 마르틴 글바치 |
총리 | 미쿨라시 주린다 |
임기 시작 | 2005년 10월 17일 |
임기 종료 | 2006년 7월 4일 |
이전 장관 | 류도비트 카니크 |
다음 장관 | 비에라 토마노바 |
2. 초기 생애 및 학업
이베타 라디초바는 1956년 12월 7일 브라티슬라바 구시가지 네드발로바 거리에서 태어났다. 한때 코시체에서 저널리스트를 꿈꿨던 아버지는 브라티슬라바 시내의 인쇄소에서 근무했다. 가정 형편은 넉넉하지 않았으며, 오빠는 그녀가 태어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5]
1975년 코멘스키 대학교 사회학부를 졸업했다. 1989년까지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사회학 연구소에서 가족 정책 연구반 코디네이터로 일했으며, 이후 모교인 코멘스키 대학교 사회학부 강사가 되었다. 1990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을 갔다.[3]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이베타 카라피아토바[5]는 1956년 12월 7일 체코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엄격했고, 어머니는 천사와 같았다고 한다.[2] 카라피아토바는 가난 속에서 성장했으며, 이는 공산주의 정부와 그 아래에서 성공하지 못한 아버지의 무능력 때문이라고 말했다.[5] 아버지가 그녀를 학교에 등록시키러 갔을 때, 교장은 그녀가 글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유치원을 건너뛰게 했다. 어린 시절 내내 춤을 연습했으며, 16세에 그만두었다. 그녀와 반 친구들이 과제에서 요구되는 사회주의 주제를 거부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중등학교를 졸업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교에 입학했다.[2]1975년부터 1979년까지 코메니우스 대학교에서 사회학을 공부했다.[1] 가족 친구이자 사회학자인 알렉산데르 히르너|Alexander Hirnercz의 형제인 톤 히르너의 조언에 따라 이 과목을 선택했다.[5] 사회학과 수학을 결합한 학위를 받으려고 했지만, 지원자가 그녀뿐이어서 프로그램이 취소되었다.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을 때 스타노 라디치|Stano Radičsk를 만났다. 1979년에 결혼했고, 1980년에 딸 에바를 낳았다.[2] 학사 학위를 받은 후,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같은 과목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3]
브라티슬라바 구시가지 네드발로바 거리에서 태어났다. 한때 코시체에서 저널리스트를 꿈꿨던 아버지는 브라티슬라바 시내의 인쇄소에서 근무했다. 가정의 생활 수준은 낮았으며, 오빠는 그녀가 태어나기 전에 세상을 떠났다.
1975년에 코메니우스 대학교 사회학부를 졸업했다. 1989년까지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사회학 연구소의 가족 정책 연구반 코디네이터를 맡은 후, 코메니우스 대학교 사회학부 강사가 되었다. 1990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을 갔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비공산주의 정치 조직 "폭력에 반대하는 공중"(VPN, Verejnosť proti násiliu)에 참여했지만, 특별한 활동 없이 정치 활동에서 물러났다.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사적 아카데미 이스트로폴리타나 부소장, 2005년까지 코메니우스 대학교 정치학부 강사를 역임했다. 같은 해, 사회학부 교수가 되어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사회학부장에 취임했지만, 2007년에 퇴직했다.
남편은 사회학자이자 코미디 작가 겸 사회자였던 스타노 라디치였다. 2005년에 사별했다.
2. 2. 학술 경력 및 사회 활동
라디초바는 1979년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의 가족 연구팀장으로 일하면서 슬로바키아와 같은 공산주의 국가의 가족 정책 시행 방식을 연구했다.[3] 이 분야의 대부분 학자들과 달리 슬로바키아 공산당에 가입하거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연구하지 않고, 덜 이념적인 준수를 요구하는 방법론을 전공했다.[5][4] 그녀는 반공산주의 신념에 대해 비교적 솔직하게 밝혔다.[5]1989년 벨벳 혁명이 시작되면서 라디초바는 폭력 반대 공중 운동에 참여하여 대변인이 되었다. 이 역할은 벨벳 혁명에 두드러지게 관여한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3] 같은 해,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를 떠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랄프 다렌도르프와 함께 연구했다. 1990년 슬로바키아로 돌아와 코메니우스 대학교(현, 코멘스키 대학교)에서 사회학 및 정치학을 가르치기 시작했으며, 1992년부터 2005년까지 사회 정책 분석 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코메니우스 대학교와 사회 정책 분석 센터에서 젠더 문제 연구를 전문으로 했다.[3] 오픈 소사이어티 재단의 슬로바키아 지부 이사장도 역임했다.[4] 이후 폭력 반대 공중을 떠나 우익 시민 민주당의 대변인이 되었지만, 당내 공식적인 직책은 없었다.[5]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 해체에 반대했고, 블라디미르 메치아르의 반권위주의 통치 기간 동안 자유 민주주의를 지지했다.[4] 1998-1999학년도에는 풀브라이트 프로그램을 통해 뉴욕 대학교에서 방문 연구원으로 있었다.[3] 2005년에는 슬로바키아 최초의 여성 사회학 정교수가 되었고, 같은 해 말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의 사회학 연구소장이 되었다.[3]
라디초바는 1975년 코멘스키 대학교 사회학부를 졸업하고,[3] 1989년까지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사회학 연구소의 가족 정책 연구반 코디네이터를 맡았다. 이후 모교인 코멘스키 대학교 사회학부 강사가 되었으며, 1990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로 유학을 갔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비공산주의 정치 조직 "폭력에 반대하는 공중"(VPN, Verejnosť proti násiliu)에서 활동했고, 1993년부터 1997년까지 사립 아카데미 이스트로폴리타나 부소장, 2005년까지 코멘스키 대학교 정치학부 강사를 역임했다. 2005년 사회학부 교수가 되어 슬로바키아 과학 아카데미 사회학부장에 취임했지만, 2007년에 퇴직했다.
3. 정치 경력
이베타 라디초바는 슬로바키아의 사회 정책 연구 권위자로 인정받아 2005년 제2차 미쿨라시 주린다 내각의 노동·가정·사회 문제 장관을 역임했다. 2006년 국민의회 선거에서 당선되어 슬로바키아 민주 기독교 연합·민주당(SDKÚ-DS)에 입당했고, 사회 문제·보건 담당 부당수를 맡았다.
2009년 4월, 교육법 개정안 의결 시 동료 의원의 표를 대리 투표한 사실이 밝혀져 의원직을 사퇴했다.[3]
2010년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정치 자금 의혹으로 출마를 철회한 미쿨라시 주린다의 뒤를 이어 당수로 선거를 이끌었다. SDKÚ-DS는 15.42%의 득표율로 제2당이 되었지만, 제1당인 방향 - 사회민주주의(SMER-SD)와 연립 여당들이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면서 중도 우파 4당 연립 정권을 구성하게 되었다. 이로써 라디초바는 슬로바키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 라디초바 정권은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각료 전원이 구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및 구 슬로바키아 공산당 당원 경력이 없는 내각이었다.[16]
그러나 2011년 10월 11일, 그리스 금융 위기와 관련하여 유럽 금융 안정 기금(EFSF) 기능 강화를 묻는 표결에서 라디초바 내각 신임안이 함께 부결되면서 정권이 붕괴되었다.[17][18] 이후 야당의 요구로 2012년 3월 조기 총선이 실시되었고, EFSF 기능 강화안은 10월 13일 재투표에서 가결되었다.[19]
3. 1. 국회의원 활동
라디초바는 2006년 슬로바키아 총선에서 국민 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중도 우파 정당인 슬로바키아 민주 기독교 연합 – 민주당(SDKÚ-DS)과 연계된 무소속 후보로 선출되었으며, 그해 11월에 정식으로 이 정당에 가입했다.[3] 이후 당의 부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사회 문제 및 주택 위원회의 부의원을 역임하며 가족 및 복지 관련 문제에 특화된 활동을 했다.[7] SDKÚ-DS는 야당이었기 때문에 그녀는 법안을 통과시키는 데 제약을 받았다.[3]2009년4월, 교육법 개정안 의결 시 동료 의원의 표를 대리 투표한 행위가 밝혀져 의원직에서 물러났다.[3]
3. 2. 2009년 대통령 선거
라디초바는 2009년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후보였다. 공식적으로 SDKÚ-DS으로 출마했으며, 기독교민주운동, 헝가리 연립당, 시민보수당의 지지를 받았다. 가족 및 성 평등에 대한 비교적 진보적인 입장에 반대하는 기독교민주운동을 설득하기 위해 협상해야 했다. 그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이 문제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표명하기로 동의했으며,[3] 낙태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4]상대 후보와 차별화를 시도하며, 침착하게 말하고 개인적인 공격을 삼가는 등 예의를 지키는 정책을 유지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그녀의 공격성 부족이 국가의 이익을 위해 싸울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체코슬로바키아 해체에 대한 이전 반대는 슬로바키아인이 아닌 사람에 대한 충성심으로 묘사되었다고 비판했다.[3] 헝가리 연립당의 지지는 헝가리 인구가 많은 슬로바키아 남부 지역 외에서는 그녀의 지지도에 해를 끼쳤다.[4]
라디초바는 38.1%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하여, 현직 대통령 이반 가슈파로비치와 결선 투표에 진출했다. 결선 투표에서 가슈파로비치의 55.5%에 비해 44.5%의 득표율로 패배했다.[3]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2009년 선거 |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3대 | 슬로바키아 민주기독교연합-민주당 | 38.05% | 713,735표 | 44.47% | 988,808표 | 2위 | 낙선 |
3. 3. 의원직 사퇴 및 재선
대통령 선거 이후, 라디초바는 정치 스캔들에 휘말렸다. 2010년 4월 21일, 동료 국회의원 타티아나 로소바가 의회 건물에 부재했을 때, 라디초바는 의회 규칙에 어긋나게 그녀를 대신하여 투표했고, 이틀 후 의원직에서 사임했다.[7] 2009년 4월에는 교육법 개정안 의결 시 연단에 있던 동료 의원의 표까지 대리 투표한 행위가 밝혀져 의원직에서 물러났다.2010년 국민의회 선거에서는, 자신의 정치 자금 의혹으로 출마를 철회한 미쿨라시 주린다로부터 당수 자리를 물려받아 선거를 이끌었다. SDKÚ-DS의 득표율은 15.42%로 개정 전보다 3석 적은 28석에 그쳤지만, 제2당의 자리를 유지했다. 제1당인 방향 - 사회민주주의 (SMER-SD)와 연립을 구성하는 슬로바키아 국민당 (SNS)과 인민당 - 민주 슬로바키아 운동 (ĽS-HZDS)이 참패하여 여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SMER-SD의 로베르트 피초 총리의 연립 협의 제안을 거부한 후, 중도 우파 4당에 의한 신 연립 정권을 구성했다.
3. 4. 슬로바키아 총리 (2010-2012)


라디초바의 연립 정부는 슬로바키아 민주 기독교 연합-민주당(SDKÚ-DS) 외에 기독교민주운동, 자유와 연대, 그리고 친 헝가리 정당인 모스트–히드를 포함했다. 총리 재임 상황으로 인해 그녀는 "우연한 총리"로 알려졌다.[3]
라디초바의 총리직은 불안정했다. 재무부 장관이던 미쿨라시 주린다, 외무부 장관이던 미클로시 등 정부 내 주요 당 간부들과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결국 대립적인 성격으로 변했다. 그녀가 구성한 연립 정부도 신뢰하기 어려웠는데, 정당들이 주요 쟁점에 대해 반드시 의견 일치를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3] 부패 스캔들로 인해 그녀가 임명한 몇몇 인물들을 교체해야 했으며,[3] 2011년 11월에는 국방부 장관이 스캔들로 사임하자 라디초바가 국방부 장관 대행을 겸임했다.[3]
2011년, 라디초바의 연립 정부는 유럽 재정 안정 기금 투표가 진행되면서 붕괴되었다. 자유와 연대 정당이 반대 입장에 합류하자 라디초바는 반대 투표가 정부에 대한 불신임 결의와 같다고 주장했으나, 이들을 설득하지 못했고 결국 그녀의 정부는 종말을 맞이했다.[3] 라디초바와 SDKÚ-DS는 유럽 통합이 기존 정부보다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이 결정을 옹호했다.[3]
2010년 국민의회 선거에서 라디초바는, 정치 자금 의혹으로 출마를 철회한 미쿨라시 주린다로부터 당수 자리를 물려받아 선거를 이끌었다. SDKÚ-DS의 득표율은 15.42%로 3석 적은 28석에 그쳤지만, 제2당의 자리를 유지했다. 제1당인 방향 - 사회민주주의 (SMER-SD)와 연립을 구성한 슬로바키아 국민당 (SNS)과 인민당 - 민주 슬로바키아 운동 (ĽS-HZDS)이 참패하여 여당이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게 되자, SMER-SD의 로베르트 피초 총리의 연립 협의 제안을 거부하고 중도 우파 4당에 의한 신 연립 정권을 구성했다. 이로써 슬로바키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 라디초바 정권은 민주화 이후 처음으로 각료 전원이 구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및 구 슬로바키아 공산당 당원 경력이 없는 내각이었다.[16]
그러나 2011년 10월 11일, 그리스 금융 위기를 둘러싸고 유럽 금융 안정 기금(EFSF) 기능 강화를 묻는 표결에 라디초바 내각 신임안도 함께 표결되었으나 부결되면서 정권이 붕괴되었다.[17][18] 이에 야당이 요구하던 총선거의 2012년 3월 조기 실시를 받아들였고, EFSF 기능 강화안은 10월 13일 재투표에서 가결되었다.[19]
4. 총리 퇴임 이후
라디초바는 전임자인 로베르트 피초에게 총리직을 넘겨주었다.[3] 정계 은퇴 후 코메니우스 대학교로 돌아가 강의를 계속했다. 2012년 5월 3일, SDKÚ-DS 부대표직을 포함한 당원 자격을 포기했다.[9] 2017년 판유러피안 대학교 대중 매체 학부 학장으로 선출되었다.[10] 2013년, 총리 경험에 대한 책인 『Krajina hrubých čiar』(마침표의 나라)를 출판했다.[11] 2014년 폴리스 슬로바키아 여론 조사에서 응답자의 23.2%가 라디초바를 최근 슬로바키아 최고의 정치인 중 한 명으로 꼽았는데, 이는 로베르트 피초 다음으로 높은 순위였으며, 가장 가치 없는 정치인 12인 명단에는 그녀의 이름이 없었다.[12] 2017년 여성 정치 지도자 상을 수상했다.[13] 2018년 포커스 여론 조사에서는 13.9%의 지지율로 슬로바키아 대통령 후보로 가장 인기 있는 인물로 나타났다.[14]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1차 득표율 | 1차 득표수 | 2차 득표율 | 2차 득표수 | 결과 | 당락 |
---|---|---|---|---|---|---|---|---|---|
2009년 선거 |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3대 | 슬로바키아 민주기독교연합-민주당 | 38.05% | 713,735표 | 44.47% | 988,808표 | 2위 | 낙선 |
참조
[1]
뉴스
Radičová dostala poverenie zostaviť vládu
http://www.sme.sk/c/[...]
2010-06-23
[2]
웹사이트
Iveta Radičová: Väčšina života je za mnou
https://korzar.sme.s[...]
2023-09-22
[3]
서적
Women Presidents and Prime Ministers in Post-Transition Democracies
Plagrave Macmillan
[4]
간행물
Twenty Years of Maturing: Slovak Women Exploring the Frontiers of Democracy
http://link.springer[...]
2009-10-08
[5]
뉴스
Neriadená profesorka
https://www.tyzden.s[...]
2009-03-28
[6]
웹사이트
VIDEO: Nebohý humorista Stano Radič by mal 65 rokov - jeho predpovede počasia sa stali legendárne... {{!}} Kultúra {{!}} Bratislavské noviny
https://www.bratisla[...]
2024-04-05
[7]
웹사이트
Iveta Radičová
http://spectator.sme[...]
2011-10-12
[8]
뉴스
Sociologist Iveta Radicova becomes Slovakia's first female prime minister
https://www.irishtim[...]
2024-04-05
[9]
뉴스
Iveta Radičová odišla z SDKÚ
http://www.sme.sk/c/[...]
[10]
웹사이트
Bývalá premiérka Radičová bude vychovávať budúcich novinárov
https://www.trend.sk[...]
2023-10-03
[11]
웹사이트
Radičová sa vracia k politike, ale len knižne
https://spravy.pravd[...]
2024-04-05
[12]
웹사이트
Fico vedie pozitívne aj negatívne, ale Radičová je na tom lepšie
https://www.trend.sk[...]
2023-10-03
[13]
웹사이트
Ex-PM Radičová praised as influential female leader
https://spectator.sm[...]
2023-09-22
[14]
웹사이트
Ak by to Kiska vzdal, najviac ľudí by chcelo za prezidentku Radičovú. Alebo Danka
https://www.trend.sk[...]
2023-10-03
[15]
웹사이트
Marián Balázs: Vstup do politiky nevylučujem
https://domov.sme.sk[...]
2024-04-05
[16]
뉴스
"Pravica stavia prvú vládu bez komunistov"(右派は初の非共産党員政権を構築する)
http://www.sme.sk/c/[...]
SME紙電子版
2010-06-16
[17]
뉴스
ユーロ圏金融強化策、スロバキアで否決
https://web.archive.[...]
2011-10-12
[18]
뉴스
スロバキア首相、EFSF拡充案承認に向け野党との対話開始を連立与党に要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1-10-12
[19]
뉴스
欧州基金強化策を承認のスロバキア、高い代償
https://web.archive.[...]
2011-10-15
[20]
뉴스
スロバキア総選挙で中道左派が単独過半数確保
http://www.yomiuri.c[...]
2012-03-11
[21]
PDF
"政治・経済月報(2012年5月)"
https://www.sk.emb-j[...]
在スロバキア日本大使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