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쿨라시 주린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쿨라시 주린다는 슬로바키아의 정치인이다. 1990년 기독교 민주 운동 창립 멤버로 정치에 입문하여, 운수 우편 통신부 차관, 국회의원을 거쳐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슬로바키아 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재임 기간 동안 시장 경제 자유화 정책을 추진하여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높은 실업률과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비판도 받았다. 2010년에는 외무부 장관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페테르 펠레그리니
슬로바키아 정치인 페테르 펠레그리니는 은행, 투자, 금융을 전공하고 국민의회 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재무차관, 교육부 장관, 국회의장, 총리를 거쳐 2024년 대통령에 당선, 슬로바키아 역사상 대통령, 총리, 국회의장을 모두 역임한 최초의 인물이 되었다. - 슬로바키아의 대통령 - 요제프 티소
슬로바키아의 가톨릭 사제이자 정치인인 요제프 티소는 슬로바키아 인민당 지도자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괴뢰국인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냈으나, 종전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사형당해 그의 행적은 슬로바키아 내에서 논쟁적이다. - 슬로바키아의 총리 - 로베르트 피초
로베르트 피초는 슬로바키아의 정치인으로, 세 차례 총리를 역임했으며, 친러시아 성향을 보이며 우크라이나 지원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2024년 암살 시도를 겪었다. - 슬로바키아의 총리 - 구스타우 후사크
구스타우 후사크는 슬로바키아 출신의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정치인으로, 프라하의 봄 이후 친소련 노선으로 전환하여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서기장과 대통령을 역임하며 개혁 세력을 탄압하고 소련의 영향력 아래 체코슬로바키아를 통치하다가 벨벳 혁명으로 사임하고 사망했다. - 슬로바키아의 정치인 - 알렉산데르 둡체크
알렉산데르 둡체크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제1서기로, 1968년 '프라하의 봄' 동안 "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개혁을 추진했으나 소련의 침공으로 실각 후 망명 생활을 했고, 벨벳 혁명 후 연방 의회 의장으로 복귀했지만 1992년 사망했다. - 슬로바키아의 정치인 - 얀 콜라르
얀 콜라르는 슬로바키아의 시인이자 범슬라브주의 사상가로, 슬라브 민족의 단결과 문화 교류를 강조하며 슬라브 민족주의 운동에 기여하고 《슬라바의 딸》을 저술했다.
미쿨라시 주린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55년 2월 4일 |
출생지 | 슬로바키아 스피슈스키슈트브르토크 |
배우자 | 에바 주린도바 |
모교 | 질리나 대학교 |
직책 | |
마르텐스 센터 의장 | 2013년 12월 3일 부터 |
정치 경력 | |
슬로바키아 총리 | 재임 시작: 1998년 10월 30일 재임 종료: 2006년 7월 4일 대통령: 루돌프 슈스터, 이반 가슈파로비치 이전: 블라디미르 메치아르 이후: 로베르트 피초 |
슬로바키아 대통령 권한대행 | 재임 시작: 1998년 10월 30일 재임 종료: 1999년 6월 15일 이전: 블라디미르 메치아르 (권한대행) 이후: 루돌프 슈스터 공동 권한대행: 요제프 미가시 |
외무부 장관 | 재임 시작: 2010년 7월 8일 재임 종료: 2012년 4월 4일 총리: 이베타 라디초바 이전: 미로슬라프 라이차크 이후: 미로슬라프 라이차크 |
교통 통신 우정 장관 | 재임 시작: 1994년 3월 16일 재임 종료: 1994년 12월 13일 총리: 요제프 모라우치크 이전: 로만 호프바우어 이후: 알렉산더 레제시 |
소속 정당 |
2. 초기 생애 및 경력
미쿨라시 주린다는 1955년 2월 4일 동슬로바키아의 스피슈스키 슈르토크 마을에서 태어났다. 1979년 질리나 수송 통신 대학교를 졸업하고, 1988년에는 그곳에서 박사후 연구를 마치고 과학 후보 학위(CSc.)를 받았다. 1979년부터 1988년까지 질리나의 교통 연구소(슬로바키아)(VÚD)에서 경제 분석가로 일했고, 1988년부터 1990년까지는 브라티슬라바에 있는 체코슬로바키아 철도(ČSD) 지역 본부 내 정보 기술 부서의 이사로 일했다.
1990년 기독교 민주 운동(KDH) 창립 멤버로 슬로바키아 정치에 입문했다. 1991년 슬로바키아 교통 및 우편 부 차관을 역임했다. 1992년 슬로바키아 국회의원이 되었고 예산 및 재무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체코슬로바키아 분열과 독립 슬로바키아 수립(1993년) 당시 KDH의 경제 담당 부의장이었다. 요제프 모라브치크 총리 재임 기간(1994년 3월–10월)에는 교통, 우편 및 공공 사업부 장관을 역임했다. 1994년 총선에서 블라디미르 메치아르가 승리한 후, 국회 의원으로서 야당으로 돌아갔다.[2]
3. 정치 경력
3. 1. 총리 (1998–2006)
1997년, 기독교민주운동, 민주당, 민주연합, 슬로바키아 사회민주당, 슬로바키아 녹색당 5개 야당은 슬로바키아 민주 연합(SDK)을 결성했다. 주린다는 이 연합의 대변인을 거쳐 1998년 7월 4일 의장이 되었다.[2] 1998년 10월, 주린다는 SDK를 이끌고 블라디미르 메치아르 정부를 상대로 한 선거에서 승리하여 총리에 임명되었다.[2]
주린다 정부는 슬로바키아의 재통합 과정을 추진하고, 유럽 연합 및 대서양 횡단 경제 및 정치 구조와의 관계에서 정치적 반전을 기록했다. 2000년 9월 슬로바키아의 OECD 가입, 유럽 연합과의 가입 협상 완료, U.S. Steel과 같은 주요 투자자들의 슬로바키아 시장 진출은 주린다 내각 개혁의 성공 사례이다. U.S. Steel은 향후 10년 동안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2]
2000년 1월, 주린다는 슬로바키아 민주 기독교 연합(SDKÚ)을 창당하고 의장을 맡았다. 2002년 3월 당내 선거에서 지도적 지위를 재확인받았으며, 2002년 9월 총선에서 다시 승리하여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헝가리 연립 정당, 기독교 민주 연합, 새 시민 연합이 SDKÚ와 함께 집권 연합을 구성했다. 2004년 초에는 자유 포럼이 SDKU에서 분리되었다.
2002년 NATO 프라하 정상 회담에서 슬로바키아의 NATO 가입 초청이 결정되었고, 같은 해 12월 코펜하겐 정상 회담에서 EU 가입 협상이 완료되어 비준 절차가 시작되었다. 주린다 정부는 예산 적자를 GDP의 3% 미만으로 줄여 2009년 슬로바키아가 유로존에 가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또한 6%가 넘는 경제 성장을 기록하며 이 지역에서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였다. PSA 푸조-시트로앵, 기아와 같은 자동차 회사들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이 슬로바키아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주린다 정부는 세계 은행으로부터 세계 최고의 시장 개혁 정부로 평가받았다.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에 19%의 단일 세율을 도입하여 스티브 포브스는 슬로바키아를 "투자자들의 낙원"이라고 칭했다. 그러나 실업률은 주린다의 첫 번째 정부에서 20%까지 증가했고, 퇴임 당시에도 12%로 유럽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는 등 특히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문제에 직면했다. 2006년 슬로바키아 총선에서 주린다의 정당은 방향-사회민주주의(SMER)에 패배했다. SDKÚ-DS는 18% 이상의 득표율로 2위를 차지했지만, 메치아르 정당의 지원을 받아 우익 연립 정부를 재구성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주린다는 더 이상 통치할 수 없었다. SMER 지도자 로베르트 피초는 메치아르의 HZDS와 슬로타의 슬로바키아 국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주린다 총리 취임 이후, 메치아르 정권 하에서 막대한 적자를 안고 있던 국가 재정의 재건과 국내 경제의 자유화를 목표로 국유 회사의 민영화 등 시장 개방을 급속히 추진했다. 2000년 12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했고, 2004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럽 연합(EU)에 가입했다.
이 기간 동안 슬로바키아 경제는 구미 및 한국 등의 적극적인 투자로 연 6%의 급성장을 이루었으며, 국가의 재정 적자는 국내 총생산(GDP)의 3% 이하로 감소하여, 이후 유로(Euro) 도입(2009년)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실업률이 20%대까지 증가하는 등, 지방을 중심으로 초래된 급속한 경제 개혁의 왜곡이 국민들의 불만으로 이어졌고, 2006년 국민 의회 선거에서 방향-사회민주주의에 패배하는 원인이 되었다.
3. 2. 야당 및 외무부 장관 (2006–2012)
2006년 슬로바키아 국민 의회 선거에서 소속 정당이 패배한 후, 미쿨라시 주린다는 슬로바키아 국민의회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2010년 슬로바키아 국민 의회 선거 후 발족한 이베타 라디초바 정권에서 외무 장관으로 취임하여 2012년까지 재임했다. 2010년 7월 9일 이베타 라디초바 총리 내각에서 외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2010년 11월 6일 SDKÚ-DS 당의 차기 4년 임기 의장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그는 유일한 후보였으며, 현직 총리인 라디초바(같은 당 출신)는 후보 지명을 거부했다.
4. 경제 정책 및 성과
미쿨라시 주린다는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국유 회사 민영화, 규제 완화, 세제 개혁 등 시장 경제 자유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2] 이러한 정책들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는 데 기여했다. 슬로바키아는 주린다 정부 시절 연 6% 이상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이는 유럽 지역에서 가장 빠른 속도였다. U.S. Steel, PSA 푸조-시트로앵, 기아 등 주요 기업들이 슬로바키아에 투자했다.
주린다 정부는 세계 은행으로부터 세계 최고의 시장 개혁 정부로 칭찬받았다.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에 19%의 단일 세율이 적용되면서 스티브 포브스는 슬로바키아를 "투자자들의 낙원"이라고 불렀다.
2000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고, 2004년 유럽 연합(EU)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는 등 국제 사회에서 슬로바키아의 위상을 높였다. 재정 적자를 국내 총생산(GDP)의 3% 미만으로 줄여 2009년 유로존 가입의 기반을 마련했다.[2]
그러나 급속한 경제 개혁의 부작용으로, 특히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실업률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실업률은 주린다의 첫 번째 정부에서 20%까지 증가했고, 퇴임 당시에도 12%로 유럽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5. 비판 및 논란
주린다의 경제 개혁은 높은 실업률과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었고, 실업률은 주린다의 첫 번째 임기 때 20%까지 증가했다.[3] 급격한 시장 개방 정책은 국민들의 불만을 야기했고, 이는 2006년 슬로바키아 총선에서 SMER-SD에 패배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3]
인민당 - 민주 슬로바키아 운동 (ĽS-HZDS) 유권자들은 주린다 연립 정부가 블라디미르 메치아르 총리를 물리친 후 주린다에게 반감을 가졌다. 언론인 카롤 로바스가 구스타브 크라이치를 지지하는 ĽS-HZDS 회의에서 70~80세 시민들이 "주린다는 집시다"라는 슬로건을 반복해서 외치는 것을 기록하기도 했다.[3]
6. 기타 활동 및 평가
주린다는 사이클과 장거리 달리기를 즐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라톤 선수로서 코시체에서 열린 국제 평화 마라톤(MMM)에 13번 참가했으며, 1986년 소 카르파티아 마라톤에서는 개인 최고 기록 2시간 54분 57초를 기록했다.[4] 2001년에는 슬로바키아 총리로서 뉴욕 시티 마라톤에 참가하여 42.195km 코스를 3시간 42분 만에 완주하기도 했다.
국제적으로 주린다는 성공적이고 진보적인 정치인으로 인식된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그를 친구라 칭하며 존경을 표했다.[4] 그는 콩코디아 리더십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공공-민간 협력 증진에 힘쓰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PP President Joseph Daul congratulates Mikuláš Dzurinda on his election as CES President | EPP
https://web.archive.[...]
2013-12-06
[2]
웹사이트
Coalition agreement goes to the wire
http://spectator.sme[...]
1998-11-02
[3]
뉴스
According to one HZDS supporter the Government is full of Hungarians, Communists and Gestapo members
http://www.sme.sk/c/[...]
1999-02-24
[4]
뉴스
They praised in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2006-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