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는 1933년 바레인에서 태어나 1961년 부친의 사망으로 바레인의 하킴이 되었고, 1971년 바레인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초대 아미르가 되었다. 그는 1973년 의회 선거를 통해 투표권을 확대하려 했으나, 1975년 의회를 해산하고 절대 권력을 유지했다. 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는 동생 할리파 빈 살만 알 칼리파와 권력을 분담하여, 외교 및 의례적 역할을 수행하며 바레인을 근대 국가로 발전시키고 금융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1999년 3월 6일 심장마비로 사망했으며, 그의 장남 하마드 빈 이사 알칼리파가 뒤를 이어 아미르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레인의 무슬림 - 하마드 빈 이사 알칼리파
하마드 빈 이사 알칼리파는 1999년 바레인의 에미르가 된 후 2002년 국왕으로 즉위하여 정치 개혁과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 등 외교적 변화를 이끌었다. - 바레인의 무슬림 - 에스라 알샤페이
에스라 알샤페이는 바레인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 마잘을 설립하고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반체제 의견을 증폭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미드이스트 튠스를 설립하여 언더그라운드 음악가들을 위한 플랫폼을 제공하고, 다양한 기관에서 상을 받았으며, MIT 미디어 랩 이사 및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로 활동했다. - 친위 쿠데타를 한 지도자 - 보리스 옐친
보리스 옐친은 소련 공산당에서 활동하다가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 되어 소련 해체 후 시장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며, 헌법 위기와 체첸 전쟁을 겪고 1999년 사임 후 2007년 사망했다. - 친위 쿠데타를 한 지도자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 | |
---|---|
기본 정보 | |
![]() | |
군주 칭호 | 바레인 아미르(에미르) |
통치 기간 | 1971년 8월 16일 – 1999년 3월 6일 |
섭정 | 할리파 빈 살만 알 할리파 |
섭정 유형 | 총리 |
이전 군주 | 직책 신설 본인 (하킴) |
다음 군주 |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
군주 칭호 | 바레인 하킴 |
통치 기간 | 1961년 11월 2일 – 1971년 8월 16일 |
섭정 | 할리파 빈 살만 알 할리파 |
섭정 유형 | 총리 |
즉위일 | 1961년 12월 16일 |
이전 군주 | 살만 빈 하마드 알 할리파 |
다음 군주 | 직책 폐지'' 본인 (아미르(에미르)) |
배우자 | 헤사 빈트 살만 알 할리파 |
자녀 | 하마드 셰이크 라셰드 셰이크 무함마드 셰이크 압둘라 셰이크 알리 셰이카 무니라 셰이카 마리얌 셰이카 샤이카 셰이카 노라 |
왕가 | 할리파 |
아버지 | 살만 빈 하마드 알 할리파 |
어머니 | 무자 빈트 하마드 알 할리파 |
출생일 | 1933년 6월 3일 |
출생지 | 자스라, 바레인 |
사망일 | 1999년 3월 6일 |
사망지 | 마나마, 바레인 |
매장지 | 알 리파아 묘지 |
종교 | 수니 이슬람 |
2. 생애 초기와 즉위
1933년 바레인의 자스라에서 살만 빈 하마드 알 칼리파와 모우자 빈트 하마드 알 칼리파 사이에서 태어났다. 1961년 11월 부친이 사망하자 바레인의 하킴 자리에 올랐으며,[1][2] 1961년 12월 16일에 공식 즉위했다.[1][2] 1968년 나자프의 시아파 아야톨라 무신 알 하킴을 방문하여 시아파와의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3]
이사 빈 살만 알 칼리파는 1961년 11월 부친의 사망 이후 에미르 자리에 올랐으며, 12월 16일에 즉위했다.[1][2] 1968년에는 나자프에서 시아파와의 관계 강화를 위해 무신 알 하킴을 방문했다.[3]
3. 통치 기간
1999년 3월 6일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유해는 알 리파아 묘지에 매장되었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그의 죽음에 깊은 슬픔을 표하며, 그를 "평화의 좋은 친구", "지역의 안정을 위한 힘"이라고 칭송했다. 장남인 하마드 빈 이사 알 칼리파가 아미르 자리를 계승했다.[20]
3. 1. 독립과 아랍에미리트 연합 불참
1971년 바레인은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고,[21] 이사는 초대 아미르(수장)가 되었다. 바레인 정부는 당초 아랍에미리트 연합(UAE)에 가입하는 것을 검토했지만, 이사는 제안된 헌법에 대한 불만을 이유로 카타르와 함께 UAE 가입을 철회시켰다.
3. 2. 의회 민주주의 시도와 좌절
이사는 의회 민주주의의 온건한 형태를 도입하려 시도하여 1973년 의회 선거에서 모든 남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다.[17] 그러나 1974년에 정부가 제출한 국가안보법안의 통과를 의회가 거부하자, 1975년 8월에 이사는 의회를 해산했다.[18] 이사의 치세 중에 의회제로 복귀하지 못했으며, 좌익 진영이나 이슬람주의 진영으로부터 간헐적으로 있었던 항의와 싸울 수 밖에 없었고, 그것은 1994년에 정점에 달했다.
3. 3. 칼리파 빈 살만 알 칼리파와의 협력
그의 재임 기간 동안 그와 그의 형제인 셰이크 칼리파 빈 살만 간에는, 에미르가 외교 및 의례적인 역할을 맡고 칼리파는 총리로서 정부와 경제를 통제하는 협약이 있었다.[6]
3. 4. 경제 발전
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는 38년간 통치하면서 바레인을 근대 국가로 변모시키고 페르시아만 지역의 주요 금융 중심지로 성장시켰다. 1981년 사우디 왕가의 모하메드 빈 파이살 알 사우드(파이살 국왕의 아들)가 시작한 다르 알-말 알-이슬라미 신탁의 창립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7] 재임 기간 동안 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는 외교 및 의례적인 역할을 맡고, 그의 형제인 셰이크 칼리파 빈 살만은 총리로서 정부와 경제를 통제하는 협약을 맺었다.[6]
4. 사망과 유산
이사 빈 살만 알 칼리파는 1999년 3월 6일 마나마에 있는 정부 청사에서 윌리엄 코언 미국 국방부 장관과의 회담 직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8] 향년 67세였다.[9] 그가 참석한 마지막 행사는 사망 한 달 전에 열린 후세인 국왕의 장례식이었다.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이사 빈 살만의 사망 소식에 "깊은 슬픔"을 표했으며, 그를 "평화를 사랑하는 좋은 친구"라고 칭했다.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또한 "큰 슬픔"을 표하며 이사 빈 살만을 이 지역의 "안정의 원동력"으로 묘사했다. 그는 알 리파 묘지에 묻혔다.
그의 장남 하마드 빈 이사 알 칼리파가 그의 뒤를 이어 바레인의 아미르가 되었다.[8]
5. 가족
이사 빈 살만 알칼리파는 사촌인 헤사 빈트 살만 알칼리파와 1949년 5월 8일에 결혼했다. 헤사 빈트 살만 알칼리파는 살만 빈 이브라힘 알칼리파의 딸이었다. 이들은 5남 4녀를 두었다.
이름 | 비고 |
---|---|
하마드 빈 이사 (1950년 출생) | 현 국왕 |
라셰드 빈 이사 | 2011년 12월 17일 사망 |
모하메드 빈 이사 | 국가 방위군 사령관 (1997년 ~ 2008년) |
압둘라 빈 이사 | 승마 클럽 고위 위원회 부회장 |
알리 빈 이사 | 왕실 법원부 장관 (1955년 출생) |
무니라 빈트 이사 | |
마리암 빈트 이사 | |
셰이카 빈트 이사 | |
누라 빈트 이사 |
6. 서훈
국가 | 훈장 |
---|---|
스페인 |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 대십자장 (1981년 12월 4일)[10] |
이집트 | 나일 훈장 대십자장 |
프랑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 |
독일 |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대십자장 |
이란 | 팔레비 훈장 대십자장 |
이라크 왕국 | 두 강의 훈장 1등급(1968년 5월), 2등급 (1952년 4월 3일) |
이라크 왕국 | 파이살 2세 국왕 즉위 기념 메달 (1953년 5월 2일) |
요르단 | 알-후세인 빈 알리 훈장 칼라 포함 특급 대수장 |
요르단 | 르네상스 최고 훈장 대수장 |
쿠웨이트 | 쿠웨이트 무바라크 대왕 훈장 칼라 |
레바논 | 레바논 삼나무 훈장 대수장 (2등급, 1958년) |
모로코 | 무하마드 훈장 칼라 |
오만 | 시민 오만 훈장, 1등급 |
카타르 | 국가 독립 훈장 칼라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선린 훈장 대십자장 (1995년)[11] |
시리아 | 우마이야 훈장 대십자장 |
튀니지 | 독립 훈장 대십자장 |
아랍에미리트 | 알 나흐얀 훈장 1등급 |
이란 제국 | 페르시아 제국 2,500주년 기념 기념 메달 (1971년 10월 14일).[12][13] |
영국 | 성 미카엘과 성 조지 훈장 명예 기사단장(KCMG, 1964년 7월 14일) 및 명예 기사 대십자장(GCMG, 1979년 2월 15일) |
영국 | 바스 훈장 명예 기사 대십자장(GCB, 1984년 4월 10일) |
영국 |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대관식 메달 (1953년 6월 2일) |
참조
[1]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
웹사이트
Chronology for Shi'is in Bahrain
http://www.refworld.[...]
UNHCR
2014-09-13
[3]
간행물
Shia and the State in Bahrain
https://web.archive.[...]
2010-11
[4]
간행물
Generational change
http://dro.dur.ac.uk[...]
2006-06
[5]
뉴스
Democratic test ended
https://news.google.[...]
1975-08-28
[6]
간행물
Fixing the Kingdom: Political Evolution and Socio-Economic Challenges in Bahrain
http://qspace.qu.edu[...]
[7]
서적
Global Leaders in Islamic Finance: Industry Milestones and Reflections
Wiley
[8]
뉴스
Bahrain's ninth al Khalifa
http://news.bbc.co.u[...]
1999-03-06
[9]
뉴스
Sheik Isa, 65, Emir of Bahrain Who Built Non-Oil Economy
https://www.nytimes.[...]
1999-03-07
[10]
웹사이트
Boletín Oficial del Estado
http://www.boe.es/bo[...]
2014-06-20
[11]
웹사이트
1995 National Orders awards
https://web.archive.[...]
INFO
2012-09-18
[12]
웹사이트
Badraie
https://web.archive.[...]
Badraie
2014-06-20
[13]
웹사이트
Badraie
http://badraie.com/i[...]
2014-06-20
[14]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
웹사이트
Chronology for Shi'is in Bahrain
http://www.refworld.[...]
UNHCR
2014-09-13
[16]
간행물
Shia and the State in Bahrain
http://www.alternati[...]
2010-11
[17]
간행물
Generational change
http://dro.dur.ac.uk[...]
2006-06
[18]
뉴스
Democratic test ended
https://news.google.[...]
1975-08-28
[19]
간행물
Fixing the Kingdom: Political Evolution and Socio-Economic Challenges in Bahrain
http://qspace.qu.edu[...]
[20]
뉴스
Bahrain's ninth al Khalifa
http://news.bbc.co.u[...]
1999-03-06
[21]
뉴스
Sheik Isa, 65, Emir of Bahrain Who Built Non-Oil Economy
https://www.nytimes.[...]
1999-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