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속시스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속시스목은 절지동물 줄기군과 진보된 분류군의 특징을 조합한 특징을 가진 분류군이다. 반원형 갑각, 크고 구형의 눈, 가시로 덮인 전방부속지, 이분지 여러 쌍을 가지며, 몸통은 체절화가 덜하다. 이속시스목은 이속시스와 수루시카리스 두 속으로 구성되며, 수중 또는 바닥 가까이에서 연한 몸을 가진 먹이를 사냥하는 포식자로 추정된다. 분류학적으로 초기 절지동물로 여겨졌으나, 2022년 연구를 통해 투조이아와 관련이 없음이 밝혀졌으며, 현재는 중지동물에 속한다. 이속시스목에 속하는 종들은 수영하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다양한 서식 환경에서 살았을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속시스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이속시스목 | |
![]() | |
![]()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미분류_아문 | 중지동물 |
목 | 이속시스목 |
목_명명 | Simonetta & Delle Cave, 1975 |
과 | 이속시스과 |
과_명명 | Vogdes, 1893 |
하위_링크 | 속 |
하위 | 이속시스속 수루시카리스속 |
학명_이명 | Isoxysidae Brooks & Caster, 1956 |
기타 명칭 | |
라틴어 | Isoxyida |
2. 특징
이속시스목은 절지동물 줄기군과 좀 더 진보한 분류군에서 보이는 특징의 조합을 지니고 있다. 반원형 갑각과 크고 구형의 눈, 가시로 덮여있으며 커다랗고 위로 굽은 한 쌍의 전방부속지, 몸통에 연달아 달리는 이분지 여러 쌍이 있다.[1][2] 대부분의 절지동물들이 그렇듯 체절화되고 경화된 몸을 가지지만, 몸통 부분의 경우 방사치목처럼 체절화가 되지 않았고 경화가 덜하다.[1][2]
이속시스목의 제대로 된 분류는 다소 논쟁거리이다. 이들이 종종 초기 절지동물로 취급되나, 절지동물 과 계통에 어디가 실제로 들어맞는지에 대해 이의가 제기되었다. 원래는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투조이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는데, 이유는 등갑의 모양이 비슷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2022년 연구에 따라 투조이아가 히메노카리나목의 일원이었던 것이 발견되면서, 이속시스목과는 매우 관련없음이 밝혀지게 되었다. 현재 이 분류군은 머리의 해부학적 재조직(분화된 첫 부속지 쌍으로 일명 '중대뇌' 쌍, 다체절화한 머리, 구하체/윗입술 복합체[5][6][7])으로 구성원을 구별하는 제안된 절지동물의 분기군인 중지동물에 분류되었다. 절지동물의 왕관군 바깥에 놓여져 있으며, 대악류와 협각아문은 이속시스목보다는 서로 매우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1]
이속시스와 수루시카리스 두 속만이 이속시스과의 구성원으로 있다. 이들은 거의 세계적인 분포를 가지고 있으며 20종이 알려져 있는 이속시스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버지스 셰일 지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단 하나의 종만 포함하고 있는 수루시카리스이다.[2][3][4] 이 절지동물들은 수중이나 바닥 가까이에서 연한 몸을 가진 먹잇감을 사냥하는 포식자로 사료된다.[2][3][4]
3. 분류
이 분기도는 Zhang et al. 2023 논문의 결과에 따라 다른 절지동물군과 비교한 이속시스목과의 관계성을 보여준다.[1]
3. 1. 계통
이속시스목의 분류는 다소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들은 종종 초기 절지동물로 취급되지만, 절지동물 계통에서 정확히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1] 초기에는 등갑 모양의 유사성 때문에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투조이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22년 연구를 통해 투조이아가 히메노카리나목의 일원이었음이 밝혀지면서, 이속시스목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이 분류군은 분화된 첫 부속지 쌍(일명 '중대뇌' 쌍), 다체절화한 머리, 구하체/윗입술 복합체[5][6][7] 등의 머리 해부학적 재구성을 통해 구성원을 구별하는 절지동물 분기군인 중지동물로 분류된다. 이속시스목은 절지동물 왕관군 바깥에 위치하며, 대악류와 협각아문은 이속시스목보다 서로 더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
아래는 Zhang et al. 2023 논문에 따른 절지동물군과 이속시스목의 관계를 나타낸 분기도이다.[1]
3. 2. 하위 분류
이속시스목의 분류는 다소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들은 종종 초기 절지동물로 취급되나, 절지동물 계통에서 정확히 어디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한다.[1] 원래는 등갑 모양의 유사성 때문에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투조이아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2022년 연구에 따라 투조이아가 히메노카리나목의 일원이었던 것이 밝혀지면서, 이속시스목과는 매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이 분류군은 머리의 해부학적 재조직(분화된 첫 부속지 쌍, 다체절화한 머리, 구하체/윗입술 복합체[5][6][7])으로 구성원을 구별하는 절지동물의 분기군인 중지동물에 분류되었다.[1] 절지동물의 왕관군 바깥에 놓여 있으며, 대악류와 협각아문은 이속시스목보다는 서로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
Zhang et al. 2023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이속시스목은 다른 절지동물군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관계를 보인다.[1]
4. 생태
이속시스목에 속하는 종들은 적극적으로 수영하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전방부속지를 이용해 연조직성 몸을 가진 먹이를 붙잡았으며, 거의 앞쪽에 있는 이분지 두 쌍이 먹이 가공에 보조로 이용되었을 것이다.[1] 이 목의 다양한 종들은 해저 바로 위를 헤엄치는 것(유해성)부터 넓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것(원양성)까지 다양한 지위를 차지했을 것으로 여겨진다.[4] 수영은 아마도 다리를 율동적 움직임에 맞추어서 이루어졌을 것이다.[1] 길쭉한 등갑이 있는 이속시스 종은 수많은 현생 해양 무척추동물처럼 수층을 따라 위아래로 수직 이동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4]
4. 1. 서식 환경
이속시스목에 속하는 종들은 적극적으로 수영하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전방부속지를 이용해 연조직성 몸을 가진 먹이를 붙잡았으며, 거의 앞쪽에 있는 이분지 두 쌍이 먹이 가공에 보조로 이용되었을 것이다.[1] 이 목의 다양한 종들은 해저 바로 위를 헤엄치는 유해성 생물부터 넓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원양성 생물까지 다양한 지위를 차지했을 것으로 여겨진다.[4] 수영은 아마도 다리를 율동적 움직임에 맞추어서 이루어졌을 것이다.[1] 길쭉한 등갑이 있는 이속시스 종은 수많은 현생 해양 무척추동물처럼 수층을 따라 위아래로 수직 이동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4]4. 2. 수영 방식
이속시스목에 속하는 종들은 적극적으로 수영하는 포식자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전방부속지를 이용해 연조직성 몸을 가진 먹이를 붙잡았으며, 거의 앞쪽에 있는 이분지 두 쌍이 먹이 가공에 보조로 이용되었을 것이다.[1] 이 목의 다양한 종들은 해저 바로 위를 헤엄치는 유해성부터 넓은 바다에서 헤엄치는 원양성까지 다양한 지위를 차지했을 것으로 여겨진다.[4] 수영은 아마도 다리를 율동적 움직임에 맞추어서 이루어졌을 것이다.[1] 길쭉한 등갑이 있는 이속시스 종은 수많은 현생 해양 무척추동물처럼 수층을 따라 위아래로 수직 이동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4]참조
[1]
저널
Three-dimensional morphology of the biramous appendages in Isoxys from the early Cambrian of South China,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euarthropod evolution
2023-04-19
[2]
저널
Cephalic and Limb Anatomy of a New Isoxyid from the Burgess Shale and the Role of "Stem Bivalved Arthropods" in the Disparity of the Frontalmost Appendage
2015-06-03
[3]
저널
Arthropod visual predators in the early pelagic ecosystem: evidence from the Burgess Shale and Chengjiang biotas
2009-07
[4]
저널
Vertically migrating Isoxys and the early Cambrian biological pump
2021-06-30
[5]
저널
Making sense of 'lower' and 'upper' stem-group Euarthropoda, with comments on the strict use of the name Arthropoda von Siebold, 1848
2016
[6]
저널
A new bivalved arthropod from the Cambrian (Stage 3) Qingjiang biota expands the palaeo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increases the diversity of Tuzoiidae
https://www.lyellcol[...]
2022-01
[7]
저널
The problematic Cambrian arthropod Tuzoia and the origin of mandibulates revisited
202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