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수앱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2000년 이수화학 생명공학 사업본부로 출범하여 200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제품으로는 항혈전 치료제 클로티냅®, 고셔병 치료제 애브서틴®,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 등이 있으며, anti-ErbB3 항암항체 신약 ISU104, B형 혈우병 치료제 ISU304,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ISU305, 세레자임® 바이오시밀러 ISU302 등의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2019년 기준 매출액은 210억원, 영업이익은 -159억원, 당기순이익은 -178억원을 기록했으며, 사회공헌활동으로 희귀난치성질환 연합회와 선천성대사질환 협회를 후원하고 있다.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수그룹 - 이수건설
    이수건설은 1976년 동림산업으로 설립되어 199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건설 회사이며, 2002년 아파트 브랜드 브라운스톤을 런칭하여 고급 주거 공간을 제공하고 전국에 단지를 공급하며 성장해왔다.
  • 이수그룹 - 이수C&E
    이수C&E는 2014년부터 다양한 국가의 영화를 배급해 온 대한민국의 영화 배급 및 제공 회사로,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 배급에 актив하게 참여했다.
이수앱지스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식회사 이수앱지스
원어ISU Abxis Co., Ltd.
창립2001년 3월 28일
상장일2009년 2월 3일
장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22 C동 5층 (글로벌 R&D센터)
산업바이오 제약
인물황엽 (대표이사)
서비스항암 신약, 희귀질환치료제 등 항체치료제 기술 기반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대표 제품애브서틴®, 파바갈®, 클로티냅®
자본금13,312,646,000원 (2019)
매출액21,019,125,540원 (2019)
영업이익-15,828,900,714원 (2019)
순이익-17,816,396,430원 (2019)
자산 총액92,763,103,712원 (2019)
모기업㈜이수화학
종업원154명 (2020)
웹사이트이수앱지스 공식 웹사이트

2. 연혁

2000년 이수화학 생명공학 사업본부가 출범하였다. 2001년에는 ㈜페타젠을 창립하였고, 2004년 주식회사 이수앱지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에는 국내 최초로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을 개발했다. 2009년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다.

2011년 anti-ErbB3 항암항체신약 개발에 착수했다. 2012년에는 전세계 3번째 고셔병 치료제인 애브서틴®을 개발했다. 2013년 B형 혈우병 신약 공동개발에 착수했으며, 2014년에는 전세계 3번째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을 개발했다. 2018년 anti-ErbB3 항암항체신약은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에 선정되었고, 미국암학회(AACR)에서 비임상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anti-ErbB3 항암항체신약 임상1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2020년, 이수앱지스는 B형 혈우병 신약 공동개발사인 Catalyst Biosciences(美)의 임상 2상을 완료했다. anti-ErbB3 항암항체신약에 대해서는 미국암학회(AACR)에서 바이오마커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임상 1상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또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임상 1상을 완료했으며, 항체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했다.

2. 1. 2000년대

2000년 이수화학 생명공학 사업본부가 출범하였다. 2001년에는 ㈜페타젠을 창립하였고, 2004년 주식회사 이수앱지스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006년에는 국내 최초로 항체치료제인 클로티냅®을 개발했다. 2009년에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다.

2. 2. 2010년대

2011년 anti-ErbB3 항암항체신약 개발에 착수했다. 2012년에는 전세계 3번째 고셔병 치료제인 애브서틴®을 개발했다. 2013년 B형 혈우병 신약 공동개발에 착수했으며, 2014년에는 전세계 3번째 파브리병 치료제 파바갈®을 개발했다. 2018년 anti-ErbB3 항암항체신약은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에 선정되었고, 미국암학회(AACR)에서 비임상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에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anti-ErbB3 항암항체신약 임상1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2. 3. 2020년대

2020년, 이수앱지스는 B형 혈우병 신약 공동개발사인 Catalyst Biosciences(美)의 임상 2상을 완료했다. anti-ErbB3 항암항체신약에 대해서는 미국암학회(AACR)에서 바이오마커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임상 1상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또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임상 1상을 완료했으며, 항체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했다. 2021년에는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3. 사업 부문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한다. 항암 신약 및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한다.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항암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희귀질환 치료제와 항암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3. 1. 항체 치료제 개발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을 개발한다. 항암 신약 및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한다.

3. 2. 항암 신약 개발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항암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3. 3.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이수앱지스는 항체 치료제 기술을 기반으로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희귀질환 치료제와 항암 신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4. 주요 제품 및 개발 파이프라인

현재 판매 중인 희귀의약품 3종은 다음과 같다.


  • 클로티냅®(Clotinab®영어)은 대한민국 최초의 항체치료제인 항혈전치료제이다. 심장으로 연결되는 관상동맥 혈류 개선을 위해 혈관을 넓혀주기 위한 관상동맥확장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시술 중 고위험환자들의 허혈성 심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현재 국내 시장 점유율 100%를 유지하고 있다.
  • 애브서틴®(Abcertin®)은 세계 3번째 개발에 성공한 고셔병 치료제이다. 고셔병은 필수 효소인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β-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복합지방질이 장기나 세포에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라는 지방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되어 빈혈, 혈소판 감소, 간 비장 비대, 골수침윤, 때로는 신경계 증상을 보인다. 애브서틴®은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셔병 환자에게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된다.
  • 파바갈®(Fabagal®)은 파브리병 치료제이다. 파브리병은 리소좀이라고 하는 세포 내 소기관에서 필요한 효소인 α-gal A (α-galactosidase A)의 결여 또는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X염색체 관련 열성유전의 희귀 유전성 대사 질환으로, 해당 효소의 결여 및 결핍은 지방대사의 이상을 일으켜 세포나 조직의 혈관벽에 GL-3(globotriaosyl-ceramide)와 관련된 당지질(glycosphingolipids)의 비정상적인 축적을 일으켜 혈관벽의 통로를 좁게 하여 혈류와 영양공급을 저해시켜 피부, 신장, 심장, 신경계의 미세한 혈관들에 영향을 주어 조직과 기관의 기능을 손상 시킨다. 파바갈®은 파브리 환자의 장기간 효소 대체 요법으로 사용된다.


임상시험 단계인 2가지 신약 파이프라인은 다음과 같다.

  • '''ISU104'''는 세계 최초로 ErbB3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표적 항암제로 개발 중인 anti-ErbB3 항암항체 신약이다. 완전 인간 항체로 기존의 ErbB1 혹은 ErbB2 항암제에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ErbB3 표적 항암 치료제이다. 암유발 단백질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암의 발생 및 진행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ErbB간의 이량제화를 억제하여 암유발이나 종양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두경부암을 1차 적응증 타깃으로 개발 중이며 유방암, 대장암 등 고형암 확장 가능성을 연구 중이다. 2020년 9월 유럽종양학회에서 세툭시맙(Cetuximab)과의 병용 임상의 우수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 ISU304는 B형 혈우병 치료제로, 9번 응고인자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B형 혈우병(전체 혈우병 환자의 약 20%)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다. 세계 최초로 피하주사 제형으로 개발 중이며, 2017년 유럽 및 미국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Catalyst Biosciences)와 공동 개발 중이며, 2020년 6월 임상 2상을 완료하였다.


개발 중인 바이오시밀러는 다음과 같다.

  • '''ISU305: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 ISU305는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비정형 용혈성요독증후군, 중증근무력증 치료제로 쓰이는 알렉시온(Alexion)사의 솔리리스(Soliris®)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이다.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은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 성분 생성에 관여하는 X-염색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야간에 용혈 현상을 일으켜 혈색 소변을 보이는 특징을 보이며, 초기에는 주로 피로감, 경한 만성 용혈로 인한 경미한 황달, 경미한 비장 및 간 비대 등을 보이며 용혈성 빈혈, 조혈 결핍, 정맥혈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은 작은 혈관 안에 혈전이 생성되어 뇌졸중, 심장마비, 신부전, 사망 등을 유발한다. 중증근무력증은 일시적인 근력약화와 근육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신경근육접합질환으로 눈꺼풀처짐, 얼굴근력양화, 발음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ISU305는 초고가 약가인 솔리리스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이며, 시판 시 환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0년 8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임상 1상을 완료하였다.
  • '''ISU302: 세레자임® 바이오시밀러''' : 전세계 1위 고셔병 치료제인 Sanofi-Genzyme영어(美)사의 세레자임(Cerezyme®)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중이다. 현재 한국 및 일부 국가에서 애브서틴®으로 판매되고 있는 희귀질환 치료제와 동일한 제품으로 고셔병은 필수 효소인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β-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복합지방질이 장기나 세포에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라는 지방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되어 빈혈, 혈소판 감소, 간 비장 비대, 골수침윤, 때로는 신경계 증상을 보이며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셔병환자에게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된다. 선진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바이오시밀러 임상1상을 2019년 11월 호주에서 승인 받고 현재 임상을 진행 중이다.


이밖에도 다수의 면역항암 신약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또한, CAR-NK 세포 치료제, 알츠하이머 치료제인 anti-ASM 항체 치료제를 산학연 공동개발 과제도 추진 중에 있다.

4. 1. 희귀의약품

클로티냅®(Clotinab®영어)은 대한민국 최초의 항체치료제인 항혈전치료제이다. 심장으로 연결되는 관상동맥 혈류 개선을 위해 혈관을 넓혀주기 위한 관상동맥확장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시술 중 고위험환자들의 허혈성 심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현재 국내 시장 점유율 100%를 유지하고 있다.

애브서틴®(Abcertin®)은 세계 3번째 개발에 성공한 고셔병 치료제이다. 고셔병은 필수 효소인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β-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복합지방질이 장기나 세포에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라는 지방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되어 빈혈, 혈소판 감소, 간 비장 비대, 골수침윤, 때로는 신경계 증상을 보인다. 애브서틴®은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셔병 환자에게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된다.

파바갈®(Fabagal®)은 파브리병 치료제이다. 파브리병은 리소좀이라고 하는 세포 내 소기관에서 필요한 효소인 α-gal A (α-galactosidase A)의 결여 또는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X염색체 관련 열성유전의 희귀 유전성 대사 질환으로, 해당 효소의 결여 및 결핍은 지방대사의 이상을 일으켜 세포나 조직의 혈관벽에 GL-3(globotriaosyl-ceramide)와 관련된 당지질(glycosphingolipids)의 비정상적인 축적을 일으켜 혈관벽의 통로를 좁게 하여 혈류와 영양공급을 저해시켜 피부, 신장, 심장, 신경계의 미세한 혈관들에 영향을 주어 조직과 기관의 기능을 손상 시킨다. 파바갈®은 파브리 환자의 장기간 효소 대체 요법으로 사용된다.

4. 1. 1. 클로티냅®

클로티냅®(Clotinab®영어)은 대한민국 최초의 항체치료제인 항혈전치료제이다. 심장으로 연결되는 관상동맥 혈류 개선을 위해 혈관을 넓혀주기 위한 관상동맥확장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시술 중 고위험환자들의 허혈성 심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현재 국내 시장 점유율 100%를 유지하고 있다.

4. 1. 2. 애브서틴®

애브서틴®(Abcertin®)은 세계 3번째 개발에 성공한 고셔병 치료제이다. 고셔병은 필수 효소인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β-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복합지방질이 장기나 세포에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라는 지방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되어 빈혈, 혈소판 감소, 간 비장 비대, 골수침윤, 때로는 신경계 증상을 보인다. 애브서틴®은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셔병 환자에게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된다.

4. 1. 3. 파바갈®

파브리병(Fabry’s disease) 치료제이다. 파브리병은 리소좀이라고 하는 세포 내 소기관에서 필요한 효소인 α-gal A (α-galactosidase A)의 결여 또는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X염색체 관련 열성유전의 희귀 유전성 대사 질환으로, 해당 효소의 결여 및 결핍은 지방대사의 이상을 일으켜 세포나 조직의 혈관벽에 GL-3(globotriaosyl-ceramide)와 관련된 당지질(glycosphingolipids)의 비정상적인 축적을 일으켜 혈관벽의 통로를 좁게 하여 혈류와 영양공급을 저해시켜 피부, 신장, 심장, 신경계의 미세한 혈관들에 영향을 주어 조직과 기관의 기능을 손상 시킨다. 파바갈®은 파브리 환자의 장기간 효소 대체 요법으로 사용된다.

4. 2. 신약

'''ISU104'''는 세계 최초로 ErbB3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표적 항암제로 개발 중인 anti-ErbB3 항암항체 신약이다. 완전 인간 항체로 기존의 ErbB1 혹은 ErbB2 항암제에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ErbB3 표적 항암 치료제이다. 암유발 단백질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암의 발생 및 진행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ErbB간의 이량제화를 억제하여 암유발이나 종양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두경부암을 1차 적응증 타깃으로 개발 중이며 유방암, 대장암 등 고형암 확장 가능성을 연구 중이다. 2020년 9월 유럽종양학회에서 세툭시맙(Cetuximab)과의 병용 임상의 우수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ISU304는 B형 혈우병 치료제로, 9번 응고인자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B형 혈우병(전체 혈우병 환자의 약 20%)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다. 세계 최초로 피하주사 제형으로 개발 중이며, 2017년 유럽 및 미국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Catalyst Biosciences)와 공동 개발 중이며, 2020년 6월 임상 2상을 완료하였다.

4. 2. 1. ISU104 (anti-ErbB3 항암항체 신약)

'''ISU104'''는 세계 최초로 ErbB3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표적 항암제로 개발 중인 anti-ErbB3 항암항체 신약이다. 완전 인간 항체로 기존의 ErbB1 혹은 ErbB2 항암제에 내성이 발생한 환자의 치료를 위해 개발되고 있는 ErbB3 표적 항암 치료제이다. 암유발 단백질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암의 발생 및 진행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ErbB간의 이량제화를 억제하여 암유발이나 종양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두경부암을 1차 적응증 타깃으로 개발 중이며 유방암, 대장암 등 고형암 확장 가능성을 연구 중이다. 2020년 9월 유럽종양학회에서 세툭시맙(Cetuximab)과의 병용 임상의 우수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4. 2. 2. ISU304 (B형 혈우병 신약)

ISU304는 B형 혈우병 치료제로, 9번 응고인자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B형 혈우병(전체 혈우병 환자의 약 20%) 치료를 위해 개발되었다. 세계 최초로 피하주사 제형으로 개발 중이며, 2017년 유럽 및 미국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되었다. 미국 나스닥 상장사인 (Catalyst Biosciences)와 공동 개발 중이며, 2020년 6월 임상 2상을 완료하였다.

4. 3. 바이오시밀러

'''ISU305: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 ISU305는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비정형 용혈성요독증후군, 중증근무력증 치료제로 쓰이는 알렉시온(Alexion)사의 솔리리스(Soliris®)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이다.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은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 성분 생성에 관여하는 X-염색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야간에 용혈 현상을 일으켜 혈색 소변을 보이는 특징을 보이며, 초기에는 주로 피로감, 경한 만성 용혈로 인한 경미한 황달, 경미한 비장 및 간 비대 등을 보이며 용혈성 빈혈, 조혈 결핍, 정맥혈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은 작은 혈관 안에 혈전이 생성되어 뇌졸중, 심장마비, 신부전, 사망 등을 유발한다. 중증근무력증은 일시적인 근력약화와 근육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신경근육접합질환으로 눈꺼풀처짐, 얼굴근력양화, 발음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ISU305는 초고가 약가인 솔리리스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이며, 시판 시 환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0년 8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임상 1상을 완료하였다.

'''ISU302: 세레자임® 바이오시밀러''' : 전세계 1위 고셔병 치료제인 Sanofi-Genzyme영어(美)사의 세레자임(Cerezyme®)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중이다. 현재 한국 및 일부 국가에서 애브서틴®으로 판매되고 있는 희귀질환 치료제와 동일한 제품으로 고셔병은 필수 효소인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β-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복합지방질이 장기나 세포에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라는 지방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되어 빈혈, 혈소판 감소, 간 비장 비대, 골수침윤, 때로는 신경계 증상을 보이며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셔병환자에게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된다. 선진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바이오시밀러 임상1상을 2019년 11월 호주에서 승인 받고 현재 임상을 진행 중이다.

4. 3. 1. ISU305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ISU305는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 비정형 용혈성요독증후군, 중증근무력증 치료제로 쓰이는 알렉시온(Alexion)사의 솔리리스(Soliris®)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이다.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은 적혈구 세포막을 구성하는 단백 성분 생성에 관여하는 X-염색체에 돌연변이가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야간에 용혈 현상을 일으켜 혈색 소변을 보이는 특징을 보이며, 초기에는 주로 피로감, 경한 만성 용혈로 인한 경미한 황달, 경미한 비장 및 간 비대 등을 보이며 용혈성 빈혈, 조혈 결핍, 정맥혈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은 작은 혈관 안에 혈전이 생성되어 뇌졸중, 심장마비, 신부전, 사망 등을 유발한다. 중증근무력증은 일시적인 근력약화와 근육피로를 특징으로 하는 대표적인 신경근육접합질환으로 눈꺼풀처짐, 얼굴근력양화, 발음곤란 등의 증상을 보인다. ISU305는 초고가 약가인 솔리리스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 중이며, 시판 시 환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0년 8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임상 1상을 완료하였다.

4. 3. 2. ISU302 (세레자임® 바이오시밀러)

전세계 1위 고셔병 치료제인 Sanofi-Genzyme영어(美)사의 세레자임(Cerezyme®)의 바이오시밀러로 개발중이다. 현재 한국 및 일부 국가에서 애브서틴®으로 판매되고 있는 희귀질환 치료제와 동일한 제품으로 고셔병은 필수 효소인 β-글루코세레브로시다아제(β-Glucocerebrosidase)의 결핍에 의해 복합지방질이 장기나 세포에 축적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해당 효소가 결핍되면 글루코세레브로시드라는 지방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비장, 간, 골수 등에 축적되어 빈혈, 혈소판 감소, 간 비장 비대, 골수침윤, 때로는 신경계 증상을 보이며 이러한 증상을 나타내는 고셔병환자에게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된다. 선진국 시장 진출을 목표로 바이오시밀러 임상1상을 2019년 11월 호주에서 승인 받고 현재 임상을 진행 중이다.

5. 재무 정보

5. 1. 매출액

210억원 (2019년 기준)

5. 2. 영업이익

이수앱지스의 2019년 기준 영업이익은 -159억원이었다.

5. 3. 당기순이익


  • 178억원 (2019년 기준)

5. 4. 전환사채 발행 (2021년)

2021년 발행한 8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의 풋옵션(조기상환청구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500억원 규모의 채무(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전환사채) 상환을 위해 발행가액을 5900원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할 예정이며 발행 예정 신규 주식 수는 이수앱지스 주식 총수의 24.49%에 달한다.[1]

6. 사회공헌활동 (CSR)

이수앱지스는 2015년부터 매년 한국 희귀난치성질환 연합회를 후원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한국 선천성대사질환 협회도 매년 후원하고 있다.

6. 1. 한국 희귀난치성질환 연합회 후원

이수앱지스는 2015년부터 매년 한국 희귀난치성질환 연합회를 후원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한국 선천성대사질환 협회도 매년 후원하고 있다.

6. 2. 한국 선천성대사질환 협회 후원

이수앱지스는 2016년부터 한국 선천성대사질환 협회를 매년 후원하고 있다.

7. 사업장 위치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712번길 22 C동 5층 (글로벌R&D센터)에 위치해 있다. 연구소는 본사와 같은 건물의 4층에 자리하고 있다. 공장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중앙로 16번길 16-25 2층 (대우프론티어밸리 1차)에 위치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