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양우 (1346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양우는 전주 이씨 출신으로, 시호는 안소이며 완풍대군 이원계의 아들이자 조선 태조 이성계의 이복 조카이다. 고려 말에 관료로 활동하다가 조선 건국 후 영안군, 영안후, 영안군, 완원부원군에 봉해지고 정사공신에 올랐다.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후작 - 화의군
    화의군 이영은 세종의 아들로 태어나 화의군에 봉해졌으나, 문란한 사생활과 단종 복위 운동 가담으로 고초를 겪었지만, 단종에 대한 충절을 인정받아 사후에 재평가되었다.
  • 조선의 후작 - 심종
    심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인물로, 태조 이성계의 사위가 되어 청원군에 봉해지고,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회안군 이방간과 내통한 죄로 폐서인되어 사망했다.
  • 1346년 출생 - 조준
    조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개국공신으로, 이성계를 지지하며 조선 건국에 핵심 역할을 하고 경제육전 편찬과 과전법 시행 등 국가 기틀을 다지는 데 공헌했으며, 왕자의 난에서 이방원을 지지하여 권력 획득에 기여, 사후 청백리로 기록되고 종묘에 배향되는 등 조선 초기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46년 출생 - 류관 (문간공)
    류관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조선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세종 때 우의정까지 지낸 청백리 명재상으로, 한양 천도를 주장한 상소와 《태조실록》 편찬, 《고려사》 수정에 참여했다.
  • 1417년 사망 - 루이 2세 당주
    앙주 공작 루이 1세의 아들인 루이 2세 당주는 앙주 가문의 유산을 상속받아 프로방스 백작이 되었고 나폴리 왕국 계승권을 주장하며 경쟁했으나 왕위 획득에는 실패했으며, 엑상프로방스에 대학교를 설립하고 프랑스 궁정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 1417년 사망 - 조온
    조온은 조선 초 개국공신, 정사공신, 좌명공신에 책록되고 한천부원군에 봉해졌으며, 문하부참찬사, 의정부찬성사 등을 역임하고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이양우 (1346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完原府院君 李良祐
양우 (良祐)
작위후(侯), 군(君), 부원군(府院君)
별칭호(號)는 산엽(山葉), 시호(諡號)는 안소(安昭), 작위는 영안후(寧安侯), 영안군(寧安君),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
출생일1346년
출생지원 간섭기 고려 함경도 함주군 함흥목
사망일1417년 (72세)
사망지조선 함길도 화령
종교불교 → 유교(성리학)
배우자초배 부부인 봉화 정씨, 계배 삼한국대부인 영해 박씨
자녀장남 선평군 이흥발(봉화 정씨 소생), 차남 선성군 이흥제(영해 박씨 소생), 3남 선산군 이흥로(영해 박씨 소생)
아버지완풍대군 이원계
어머니개성 김씨 부인(생모), 경주 김씨 부인(계모), 남평 문씨 부인(계모)
친인척완산부원군 이천우(이복 아우), 완남평부원군 이조(이복 아우), 완령군 원윤 이백온(이복 아우), 환조 이자춘(친조부), 후궁 한산 이씨(친조모), 의혜왕후 영흥 최씨(적조모), 정안옹주 김씨(서조모), 영성대군 이천계(동복 숙부), 조선 태조 이성계(이복 숙부), 진안대군(사촌 아우), 조선 정종 이경(사촌 아우), 익안대군(사촌 아우), 회안대군(사촌 아우), 조선 태종 이방원(사촌 아우), 양녕대군(5촌 조카), 효령대군(5촌 조카), 세종(5촌 조카), 의안대군 이화(이복 숙부), 대흥군 이연계(7촌 재종숙부)

2. 생애

(내용 없음)

2. 1. 가계와 초기 활동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시호는 안소(安昭)이다. 완풍대군(完豊大君)으로 추증된 이원계의 아들이며, 이천우, 이조, 이백온의 형이다. 태조 이성계와는 이복형제 관계인 아버지 이원계 덕분에 태조의 이복 조카가 된다.

1381년 음서를 통해 고려의 하급 관료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정양부원군 왕우의 보좌역 문관을 지냈다. 1388년 고려 관직에서 물러나 잠시 관직 생활을 떠나 있었다. 이후 1392년 이복 숙부인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왕족 종실로서 다시 관직에 나섰다. 같은 해 '''영안군'''에 봉해졌다가 곧이어 '''영안후'''(寧安侯)로 고쳐 봉해졌으며, 1393년 다시 '''영안군'''(寧安君)으로 개봉되었다. 1394년에는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으로 지위가 높아졌고, 1398년에는 정사공신에 이름을 올렸다.

2. 2. 조선 건국 이후

1392년 이복 숙부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왕족 종실로 등림하였다. 같은 해 '''영안군'''에 책봉되었다가 다시 '''영안후'''(寧安侯)에 책봉되었고, 1393년에는 '''영안군'''(寧安君)에 다시 봉해졌다. 1394년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으로 진책되었으며, 1398년에는 정사공신에 등림하였다.

3. 이양우가 등장하는 작품

(내용 없음)

3. 1. 드라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