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왕표는 1954년 충청남도 천안 출생으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이자 프로레슬러이다. 1975년 프로레슬러로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3회, G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을 1회, NWA 오리엔탈 헤비급 챔피언을 1회 등을 차지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을 대표했다. 밥 샙과의 경기에서 1승 1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3년 담도암 판정을 받고 2015년 은퇴했으며, 2018년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그는 격기도를 창시하고, 영화, 방송,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김일은 씨름 선수 출신으로 역도산의 제자가 되어 프로레슬링 선수로 데뷔, "원자폭탄 박치기"로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을 차지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은퇴 후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의 업적을 기려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윤강철
윤강철은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로, 신한국 프로레슬링 세계 챔피언을 거쳐 ACF 베어너클 무차별급 챔피언, NKPWA 세계 헤비급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합기도 선수로도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도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대한민국의 성결교도 - 김민석 (정치인)
김민석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1996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으나, 2020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현재 제22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남자 태권도 선수 - 문대성
문대성은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며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고, 이후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국회의원, IOC 선수위원을 역임했으나 논문 표절 논란으로 국회의원직과 IOC 위원직에서 직무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태권도 선수 - 이준기
이준기는 2001년 모델로 데뷔하여 2005년 영화 《왕의 남자》의 공길 역으로 스타덤에 오른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이왕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왕표 |
다른 이름 | 재규어 리 릭 원슈 이 히 |
신장 | 1.90 m (6 ft 3 in) |
체중 | 120 kg (264 lb) |
출생일 | 1954년 6월 11일 |
출생지 | 천안시, 대한민국 |
사망일 | 2018년 9월 4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사망 원인 | 담낭암 |
국적 | 대한민국 |
링네임 | 슈퍼 드래곤 (Super Dragon) |
트레이너 | 김일 |
데뷔 | 1975년 |
은퇴 | 2015년 |
활동 기간 | 1975년 ~ 2015년 |
한국어 이름 | |
한글 | 이왕표 |
로마자 표기 | Yi Wang-pyo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i Wangp'yo |
2. 생애
1954년 6월 11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다.[36][1] 어린 시절 텔레비전에서 본 '박치기왕' 김일의 경기에 감명받아 프로레슬러의 꿈을 키웠다.[1][36]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다가 1975년 김일의 1기 제자로 프로레슬링계에 입문하여 같은 해 데뷔했다.[36][1][25] 이후 전일본프로레슬링, 신일본프로레슬링 등 일본의 주요 단체에서도 활동하며 경험을 쌓았고,[25] 세계프로레슬링기구(WWA) 헤비급 챔피언에 오르는 등 한국 프로레슬링을 대표하는 간판선수로 활약했다.[36] 1980년대 중반 이후 국내 프로레슬링의 인기가 예전 같지 않은 상황에서도 꾸준히 활동을 이어갔으며, 한국프로레슬링연맹 수석부총재를 역임하기도 했다.
2008년에는 미국의 격투기 선수이자 프로레슬러인 밥 샙과 경기를 가져 대중의 큰 관심을 받았다.[36][27] 2013년 담도암 판정을 받고 투병 생활을 시작했으며, 2015년 장충체육관에서 40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하는 공식 은퇴식을 가졌다.[28] 이후 암 투병을 이어가다 2018년 9월 4일 담낭암으로 인해 향년 6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36]
2. 1. 어린 시절 및 프로레슬링 입문
1954년 6월 11일 충청남도 천안의 한 작은 마을에서 네 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36][1] 어릴 적부터 키가 컸다.[1]초등학교 시절, 선배에게 칼에 찔리는 사건을 겪었다. 이왕표는 훗날 인터뷰에서 이 사건에 대해 "선배는 힘으로 나를 이길 수 없어 비겁한 수단을 썼다"라고 주장했다.[1]
프로레슬러가 되기로 결심한 계기는 초등학교 3학년 때 텔레비전으로 본 김일의 경기였다. 당시 '박치기왕'으로 불리던 김일의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1][36]
태권도 선수로 활동하며 이름을 알린 후,[25] 1975년 김일이 운영하는 레슬링 체육관에 입문하여 프로레슬링 훈련을 시작했다.[1][25] 김일은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직접 훈련시키며 1기 수제자로 삼았다.[1][36] 같은 해 프로레슬러로 데뷔했다.[36]
데뷔 이후 전일본프로레슬링에 유학생 신분으로 참가하여 경험을 쌓았고,[25] 1983년에는 ジャガー|자거일본어라는 링네임으로 신일본프로레슬링 무대에 서기도 했다.[25]
2. 2. 프로레슬링 선수 경력
1954년 6월 11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났다.[36] "박치기왕"으로 불린 프로레슬러 김일의 1기 제자로, 1975년 김일이 설립한 대한프로레슬링협회(KWA)를 통해 프로레슬러로 데뷔했다.[36][7] 김일의 계승자이자 최고의 제자로 여겨졌다.[7]선수 생활 동안 주로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했으며, 전일본 프로레슬링, 신일본 프로레슬링 등 여러 단체에서 경기를 가졌다.[8][25] 1985년에는 대한프로레슬링협회(KWA, 이후 KPWA로도 알려짐)의 대표가 되었고, 2000년에는 단체명을 세계 프로레슬링 협회(WWA)로 변경하며 한국 프로레슬링계를 이끌었다.[7][9]
세계 프로레슬링 협회(WWA) 헤비급 챔피언을 포함하여 다수의 타이틀을 획득했으며,[36][10] 1980년대 중반 이후 프로레슬링 인기가 하락한 시기에도 한국을 대표하는 프로레슬러로 활동을 이어갔다.[36] 2008년에는 미국의 밥 샙과 종합격투기(MMA) 스타일의 경기를 치러 주목받기도 했다.[15][16][27]
2013년 담도암 판정을 받았고, 40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감하며 2015년 장충체육관에서 공식 은퇴식을 가졌다.[28] 투병 끝에 2018년 9월 4일 담낭암으로 향년 64세에 세상을 떠났다.[36]
2. 2. 1.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약
이왕표는 그의 경력 동안 주로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했다.[7] 1975년 김일 문하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한 후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유학생 신분으로 참가하는 등 일본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혔다.[25][8] 1978년에는 일본의 국제프로레슬링과 대한프로레슬링협회가 공동 주최한 '한일 3개 대항전' 프로레슬링 경기에 출전했다.[8]1982년에는 '재규어 리'(Jaguar Lee)라는 링네임으로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했으며,[8][25] 1990년에는 프론티어 마샬 아츠 레슬링 참가를 위해 다시 일본으로 건너갔다.[8] 1992년 7월에는 다른 한국 선수들과 함께 오리엔탈프로레슬링 창립에 참여하기도 했다.[25] 또한, 스승 김일의 도쿄돔 은퇴식(꿈의 현수교)에 매니저로 참가했다.[26]
1995년에는 도쿄 프로레슬링에서 김덕과 함께 '리 히'(Lee Hi)라는 이름의 한국인 콤비로 활동한 것을 마지막으로[25] 일본에서의 선수 활동은 마무리하고, 이후 한국에서의 활동에 집중했다.[26]
2. 2. 2. 한국 프로레슬링의 리더
프로레슬러 "박치기왕" 김일의 1기 제자로, 1975년 김일이 1961년 설립한 대한프로레슬링협회(KWA)를 통해 프로레슬링에 데뷔했다.[36][7] 당시부터 현재까지 한국 최고의 프로레슬링 단체로 평가받는 KWA에서 이왕표는 김일의 계승자이자 최고의 제자로 여겨졌다.[7]선수 생활 동안 주로 한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했다. 1978년에는 일본 국제프로레슬링(IWE)과 KWA가 공동 주최한 '한일 3개 대항전'에 출전했으며,[8] 전일본 프로레슬링(AJPW) 무대에도 섰다. 1982년과 1983년에는 신일본 프로레슬링(NJPW)에 '재규어 리'(ジャガー, Jaguar Lee)라는 링네임으로 참전했고,[25] 1990년에는 프론티어 마샬 아츠 레슬링(FMW)에서 활동했다. 1992년에는 다른 한국 선수들과 함께 오리엔탈프로레슬링 창립에 참여했으며,[25] 1995년에는 도쿄 프로레슬링(TPW)에서 '리 히'(Lee Hi)라는 이름으로 김덕과 한국인 콤비로 활동했다.[25] 이를 마지막으로 일본에는 방문하지 않았다.[26]
1985년에는 대한프로레슬링협회(KWA, 한국 프로레슬링 협회 KPWA로도 알려짐)의 대표가 되었다. 1993년에는 KPWA에서 GWF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했다.[30] 1999년 12월 13일에는 노지심과 팀을 이루어 제이슨 더 테러블과 원맨갱에게 GWF 세계 태그 챔피언십 경기에서 패배했다.
2000년, 이왕표는 KPWA의 이름을 세계 프로레슬링 협회(WWA)로 변경하고, 과거 로스앤젤레스 기반의 월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과의 연관성을 주장했다.[7][9] 같은 해 커건을 꺾고 새롭게 만들어진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올랐다.[10] 또한, 과거 1983년까지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와 제휴했던 KWA/KPWA의 뒤를 이어, 이왕표가 이끄는 WWA는 'NWA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NWA에 재가입했으나, WWA 명칭은 계속 사용했다.[7]
2003년 1월 23일에는 스승 김일과 함께 서울에서 열린 WWE Raw 쇼에 참석하기도 했다.[11] 같은 해 3월 21일, 서울에서 1,500명의 관중 앞에서 혼키 톤크 맨을 물리치고 WWA 세계 헤비급 타이틀을 다시 획득했다.[12] 이는 그 해 두 선수 간의 대립의 일부였다.[12]
2008년에는 한국에서 열린 WWA 경기에서 커트 앵글을 상대로 승리했으며,[13] 같은 해 11월 12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육관에서 열린 '포에버 히어로' 이벤트에서 밥 샙을 암바 서브미션으로 꺾고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십을 차지했다. 이 경기는 종합격투기 스타일로 진행되었다.[14][15][16][17][27] 하지만 2009년 10월 26일, 서울 올림픽펜싱경기장에서 열린 밥 샙과의 재경기에서 패배하며 타이틀을 잃었다.[15]
1980년대 중반 이후 프로레슬링의 인기가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왕표는 한국프로레슬링연맹 수석부총재를 역임하는 등 한국 프로레슬링계를 이끌며 왕성하게 활동했다. 2015년, 40년간의 선수 생활을 마치고 장충체육관에서 공식 은퇴식을 가졌다.[28] 2013년 담도암 판정을 받고 투병하던 중, 2018년 9월 4일 담낭암으로 향년 64세에 세상을 떠났다.
'''주요 챔피언십 경력'''
챔피언십 | 횟수 | 비고 |
---|---|---|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 | 3회[29] | 2000년 커건, 2003년 혼키 통크 맨, 2008년 밥 샙을 꺾고 획득 |
GWF 세계 헤비급 챔피언 | 1회[30] | 1993년 획득 |
NWA 오리엔탈 헤비급 챔피언 | 1회[31] | |
NWA 오리엔탈 태그팀 챔피언 | 2회[32] | 파트너: 김광식, 김도유 |
극동 헤비급 챔피언 | 1회[33] | |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 | ?회[34][35] | 횟수 불명확 |
2. 2. 3. WWA 챔피언 등극과 밥 샙과의 대결
2000년, 이왕표는 자신이 대표로 있던 대한프로레슬링협회(KWA, 이전 명칭 KPWA)의 이름을 세계 프로레슬링 협회(WWA)로 변경했다. 이는 과거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활동했던 동명의 단체(월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와의 연관성을 주장한 것이었다.[7][9] 이 새로운 WWA는 'NWA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내셔널 레슬링 얼라이언스(NWA)에 다시 가입하기도 했지만, WWA라는 이름은 계속 사용했다.[7]같은 해, 이왕표는 캐나다 출신 레슬러 커건(Robert Maillet|Kurrgan)을 꺾고 새롭게 만들어진 WWA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올랐다.[10] 이후 2003년 3월 21일에는 서울에서 1,500명의 관중 앞에서 미국의 유명 레슬러 혼키 톤크 맨(The Honky Tonk Man|Honky Tonk Man)을 물리치고 다시 한번 WWA 세계 헤비급 타이틀을 차지했다.[12] 이는 그 해 두 선수 간의 대립의 일부였다.[12] 2008년에는 미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 프로레슬러 커트 앵글(Kurt Angle)과 WWA 경기를 치러 승리하기도 했다.[13]
이왕표의 선수 경력 후반기 가장 주목받았던 대결 중 하나는 미국의 격투기 선수이자 프로레슬러인 밥 샙(Bob Sapp)과의 경기였다.[27] 2008년 11월 12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육관에서 열린 '포에버 히어로'(Forever Hero) 이벤트에서 이왕표는 밥 샙과 종합격투기(MMA) 스타일의 경기를 벌여 암바 기술로 승리하며 WWA 세계 헤비급 타이틀을 방어했다.[14][15][16][17] 그러나 약 1년 뒤인 2009년 10월 26일, 서울 올림픽펜싱경기장에서 열린 재경기에서는 밥 샙에게 패배하여 타이틀을 잃었다.[15] 이로써 밥 샙과의 상대 전적은 1승 1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2. 2. 4. 은퇴와 사망
2013년에 담도암 판정을 받고 투병 생활을 시작했다. 2015년 장충체육관에서 공식 은퇴식을 가졌으며, 5년간의 투병 끝에 2018년 9월 4일 담낭암으로 인해 향년 64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28]2. 3. 격기도 창시 및 무술인으로서의 활동
그는 태권도, 유도, 합기도를 포함한 다양한 무술을 수련했다.[1]이왕표는 자신의 레슬링 기술을 바탕으로 한 정통 무술인 '격기도'를 창시했다.[1]
그는 한국무술지도자협회의 회원이자 '한국군사무술 명예총장'이었다.[3]
3. 기타 활동
이왕표는 프로레슬링 선수로서의 활동 외에도 영화 제작에 참여하거나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또한,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3. 1. 영화
- 2000년 반칙왕 - 프로레슬링 감수
- 2009년 스트라이크 러브 [18]
3. 2. 방송
- 2009년 2009 외인구단
- 2011년 주먹이 운다 시즌2
- 2018년 사담기
3. 3. 뮤직비디오
- 2000년 CB 매스 - 진짜
3. 4. 저서
- 2011년 ''이왕표의 종합격투기 격기도''
- 2015년 ''앞치마를 두른 세계 챔피언''
3. 5. CF
4. 수상 경력
5. 주요 기술
- 뒤돌려차기 (태권도식으로 시합에서 자주 사용)
- 토페 수이시다 (탑로프를 넘는 형식)
참조
[1]
웹사이트
중앙일보 - 안내
http://article.joins[...]
[2]
웹사이트
Sapp Ready to Rock
https://www.koreatim[...]
2009-10-19
[3]
웹사이트
Korean Martial Arts Instructors Association
http://www.kmaia.org[...]
[4]
웹사이트
Pro-Wrestling Title Histories: South Korea
http://www.wrestling[...]
[5]
웹사이트
Bob Sapp : Professional Wrestling
http://www.servinghi[...]
[6]
웹사이트
From Korea to Iowa
http://wrestlingclas[...]
[7]
웹사이트
Alliance-Wrestling: Who is NWA Korea?
https://web.archive.[...]
2011-07-07
[8]
웹사이트
IWE 1978 Japan-Korea Triple Competitions
http://www.puroresu.[...]
[9]
웹사이트
Home
http://www.wwatv.com[...]
[10]
웹사이트
WWA World Heavyweight Title (S. Korea)
http://www.wrestling[...]
[11]
웹사이트
Online World of Wrestling
http://www.onlinewor[...]
[12]
웹사이트
Online World of Wrestling
http://www.onlinewor[...]
[13]
웹사이트
Update on Flair's Turned Down Offer, Raven and More - WRESTLESCOOP
http://www.wrestlesc[...]
2008-11-21
[14]
웹사이트
Wrestling.dk - Vis emne - WWA KOREA - Nov 12, 2008
https://web.archive.[...]
2011-07-19
[15]
웹사이트
Alliance-Wrestling: NWA Korea: New WWA World Heavyweight Champion
https://web.archive.[...]
2011-07-07
[16]
웹사이트
http://www.lyrics5.c[...]
[17]
웹사이트
Pro-wrestler Lee Wang-pyo, left, roars after beating...
https://www.koreatim[...]
2008-11-12
[18]
웹사이트
Strike Love Cast (Korean Drama - 2009) - 2009 외인구단
http://www.hancinema[...]
[19]
웹사이트
World Wrestling Association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16
[20]
웹사이트
GWF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16
[21]
웹사이트
Far East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16
[22]
웹사이트
NWA Oriental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16
[23]
웹사이트
NWA Oriental Tag Team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16
[24]
뉴스
스승 곁으로 간 이왕표
https://www.ilyosisa[...]
2018-09-10
[25]
서적
週刊ファイト
新大阪新聞社
1992-08-06
[26]
서적
『必殺!プロレス激本VOL.4』
双葉社
1998-05-15
[27]
웹사이트
【写真】イ・ワンピョとボブ・サップの血戦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23-04-03
[28]
웹사이트
韓国プロレス界の第一人者イ・ワンピョさん、がんで死去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3-03-13
[29]
웹사이트
World Wrestling Association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5-06
[30]
웹사이트
GWF World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5-06
[31]
웹사이트
NWA Oriental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5-06
[32]
웹사이트
NWA Oriental Tag Team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5-06
[33]
웹사이트
Far East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5-06
[34]
일반
[35]
서적
Gスピリッツ Vol.45
辰巳出版
2017-11-05
[36]
뉴스
나의 젊음 나의 사랑 프로레슬러 김일 (8) 동생·사위 합세'레슬링 명가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8-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