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일은 1929년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로, 1948년부터 씨름 선수로 활동하다가 1957년 역도산의 문하생으로 레슬링을 시작했다. 1963년 역도산 사망 이후 박치기를 주특기로 극동 헤비급 챔피언, 올아시아 헤비급 챔피언, 세계 헤비급 챔피언 등을 차지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미국과 일본을 오가며 활동했으며, 안토니오 이노키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1995년 은퇴 후 사업 실패와 질병으로 투병 생활을 하다 2006년 만성 신부전증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에서 일본으로 이민간 사람 - 오선화
    오선화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평론가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호스티스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 데뷔 후 한일 관계와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했다.
  • 대한민국에서 일본으로 이민간 사람 - 최영의
    최영의는 한국계 일본인으로 극진가라테를 창시하고 무술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다양한 무술 수련과 전일본 가라테 선수권 우승, 극진가라테 창시, 전설적인 일화, 저술 활동 등으로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이왕표
    '박치기왕' 김일의 제자였던 프로레슬링 선수 이왕표는 1975년 데뷔하여 WWA 헤비급 챔피언을 지냈고 격기도 창시, 영화 감수 등 다양한 활동을 하다 담낭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프로레슬러 - 윤강철
    윤강철은 프로레슬러이자 종합격투기 선수로, 신한국 프로레슬링 세계 챔피언을 거쳐 ACF 베어너클 무차별급 챔피언, NKPWA 세계 헤비급 선수권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합기도 선수로도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 이정재 (1917년)
    이정재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폭력배이자 정치 깡패로, 경찰 출신으로 동대문 상인 연합회 회장을 역임하며 자유당과의 유착을 통해 정치 테러에 가담했으나, 4·19 혁명과 5·16 군사정변을 거치며 사형당해 권력과 배신의 삶을 마감했다.
  • 대한민국의 씨름 선수 - 이봉걸
    이봉걸은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씨름계를 대표하는 선수로 활약한 씨름 선수이자 현재 에너라이프 타이거즈 씨름단 감독이며, 은퇴 후 씨름 발전 기여, 사회 활동 참여, 배우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김일 (프로레슬링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2년 오키 긴타로
본명김태식
출생일1929년 2월 24일
출생지고흥군 금산면 어전리(일제강점기 전라남도)
사망일2006년 10월 26일
사망 장소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링네임김일
기타 링네임오키 긴타로
곤고 긴타로
데쓰로 사토
별명한국의 맹호
프로레슬링 정보
신장185cm
체중120kg (전성기)
스포츠 경력씨름
트레이너역도산
미스터 모토
요시노 사토
데뷔1959년 11월
은퇴1982년

2. 생애

1957년 역도산 체육관 문하생으로 입문하면서 프로레슬링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57] 1963년 스승인 역도산이 사망하자, 박치기를 특기로 극동 헤비급 챔피언, 올아시아 헤비급 챔피언, 세계 헤비급 챔피언 등에 오르며 1972년까지 활약했다. 장영철, 천규덕 등과 함께 한국 프로레슬링 1세대 주역으로 활동하다 1995년 은퇴했다.[57] 현역 시절 안토니오 이노키와 라이벌 관계였으며, 김일이 병환으로 입원했을 때 이노키가 문병하기도 했다.[57]

이후 일본에서 여러 사업을 했지만 모두 실패했고, 선수 생활 후유증과 배우자 사망, 1987년부터 시작된 각종 질병으로 1994년 1월 귀국했다. 서울 을지병원에서 투병 생활을 하다 2006년 10월 26일 만성신부전증 및 심장혈관 이상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57] 제자로는 이왕표가 있다.[57]

2. 1. 어린 시절과 씨름 선수 활동 (1929~1957)

1929년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어전리에서 태어났다.[57] 1948년부터 1957년까지 씨름 선수로 활동했다.[57] 1958년 고향 선배인 역도산을 동경하여 일본으로 밀항을 시도했으나, 1959년 출입국관리법 위반으로 체포되기도 했다.[20]

소년 시절, 진돗개일본군에 징발당했던 아픈 경험이 있으며, 1994년에는 애견의 석비를 세우고 비문에 반전(反戰)과 반외세(反外勢)의 염원을 담았다.

2. 2. 일본 프로레슬링 입문과 역도산과의 만남 (1957~1963)

1957년 역도산 체육관 문하생으로 입문하면서 레슬링을 시작했다.[57] 1958년, 역도산을 동경하여 어선으로 일본에 밀입국하여 프로레슬링 입문의 기회를 엿보았지만, 1959년에 출입국관리법 위반으로 체포되었다.[20] 역도산이 신원 보증인이 되어, 일본 프로레슬링코미셔너인 오노 반보쿠 대의원을 움직인 것으로 석방되어, 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였다.[20] 그해 11월 "'''오키 긴타로(大木金太郎)'''"라는 링네임으로 조 히구치를 상대로 데뷔했다.[20] 이듬해 자이언트 바바와 안토니오 이노키가 데뷔하면서 역도산의 뒤를 이을 유망주로 주목받았다.[3]

2. 3. 미국 무대 진출과 활약 (1963~1972)

1963년, 김일은 더 큰 무대에서 활동하기 위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하는 월드 와이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션(WWA)를 비롯한 여러 단체에서 활동하며 국제적인 경험을 쌓았다.[21] 특히, 미스터 모토와 태그팀을 이루어 1963년 12월 10일에 US 태그 선수권(이후 WWA 월드 태그 선수권)을 획득하기도 했다.[21]

1964년에는 텍사스주 휴스턴에서 루 테즈의 N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에 도전했다.[22] 이 경기에서 김일은 테즈에게 원자탄 박치기를 퍼부었으나, 테즈의 반격에 레퍼리 스톱 패배를 당하고 얼굴에 24바늘을 꿰매는 큰 부상을 입었다.[22]

1967년 4월 29일, 김일은 서울에서 마크 루윈을 꺾고 W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을 획득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최고 스타로 떠올랐다.[25] 그러나 3개월 후, 로스앤젤레스에서 마이크 데비아스에게 타이틀을 빼앗겼다.[25]

2. 4. 한국 프로레슬링의 부흥과 전성기 (1963~1995)

1963년 스승인 역도산이 사망하자 김일은 한국 프로레슬링 발전을 위해 귀국했다.[57] 그는 극동 헤비급 챔피언, 올아시아 헤비급 챔피언, 세계 헤비급 챔피언 등 여러 타이틀을 석권하며 한국 프로레슬링의 전성기를 이끌었다.[57] 장영철, 천규덕 등과 함께 한국 프로레슬링 1세대 주역으로 활약하며, 1995년 은퇴할 때까지 한국 프로레슬링의 부흥기를 이끌었다. [57]

현역 시절 일본안토니오 이노키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는데, 김일이 병환으로 입원했을 때 이노키가 문병을 오기도 했다.[57] 이노키는 김일이 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했을 때부터 절친한 사이로 김일의 권유로 프로레슬링에 입문하게 되었다.

김일은 1964년1965년에는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의 빅 타임 레슬링에서 "킨타로 오키"로, 도리 펑크의 웨스턴 스테이츠 스포츠 프로모션에서 "테츠로 사토"로 아마릴로에서 활동했다. 그는 1970년 "김일"이라는 링네임으로 아마릴로로 돌아왔고, 달라스 투어를 한 번 더 했다.

1972년 이노키와 자이언트 바바는 각각 전일본 프로레슬링신일본 프로레슬링 프로모션을 설립하기 위해 JWA를 떠났고, 김일은 JWA의 최고 스타가 되어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73년 4월 JWA는 폐쇄되었고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흡수되었으며, 김일은 새로운 조직을 위해 잠시 활동했지만 일본에서는 프리랜서로, 대한민국에서는 메인 이벤트 스타로 활동하며 1974년과 1975년에 이노키와 바바와 경기를 펼쳤다. 그는 인터내셔널 레슬링 엔터프라이즈와 대한민국에서 NWA가 1981년에 타이틀을 반납하라고 명령할 때까지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십을 방어했다.[3]

이후 김일은 1995년 4월 2일 도쿄 돔에서 열린 ''주간 프로레슬링'' 잡지 후원 쇼에서 공식 은퇴식을 가졌다. 루 테즈는 일본에서의 마지막 공식 석상에서 김일을 도왔다. 김일은 당시 휠체어를 타고 있었다.

'''주요 경기 기록'''

날짜상대단체비고
1964년 10월 16일루 테즈텍사스주휴스턴NWA 세계 헤비급 선수권 도전, 패배[22]
1967년 4월 29일마크 루윈대한민국 서울WWA 세계 헤비급 선수권 획득[25]
1968년 11월 9일버디 오스틴대한민국 서울아시아 헤비급 선수권 획득[27]
1972년 12월 1일보보 브라질일본 프로레슬링"박치기 세계 제일 결정전", 인터내셔널 헤비급 선수권 결정전, 패배
1972년 12월 4일보보 브라질일본 프로레슬링인터내셔널 헤비급 선수권 획득
1974년 10월 10일안토니오 이노키신일본 프로레슬링 구라쿠엔 코쿠기칸싱글 매치, 이노키 승리[32]
1975년 10월 30일자이언트 바바전일본 프로레슬링 구라쿠엔 코쿠기칸싱글 매치, 바바 승리
1976년 10월 28일자이언트 바바 & 점보 츠루타전일본 프로레슬링파트너 김덕, 인터내셔널 태그 선수권 획득[36]
1979년 10월 5일마이티 이노우에 & 애니멀 하마구치국제 프로레슬링 고라쿠엔 홀파트너 우에다 마노스케, IWA 세계 태그 선수권 도전, 패배
1980년 3월 31일닉 복윈클국제 프로레슬링 고라쿠엔 홀AWA 세계 헤비급 선수권 도전[38]


2. 5. 일본 프로레슬링 단체들과의 관계 (1972~1981)

안토니오 이노키와 자이언트 바바가 1972년에 각각 신일본 프로레슬링전일본 프로레슬링을 설립하면서 일본 프로레슬링계는 큰 변화를 맞았다. 김일은 일본 프로레슬링에 남아 최고의 스타로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1973년 4월, 일본 프로레슬링은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흡수되었고, 김일은 잠시 전일본에서 활동했지만, 곧 프리랜서로 전향하여 대한민국에서 주로 활동했다. 1974년과 1975년에는 이노키, 바바와 경기를 치르기도 했다.

NET 텔레비전은 사카구치 세이지를 중재자로 하여 일본 프로레슬링과 신일본 프로레슬링의 합병을 추진했다. 선수회는 합병에 동의했지만, 당시 한국에 있던 김일은 이에 반대하며 선수회 총의를 뒤집었다. 결국 합병은 무산되었고, 일본 프로레슬링은 붕괴되었다.

이후 김일은 인터내셔널 레슬링 엔터프라이즈와 대한민국에서 활동하며 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십을 방어했다. 1981년, NWA는 김일에게 타이틀 반납을 명령했다.[3]

2. 6. 은퇴와 투병 생활 (1995~2006)

1995년 4월 2일, 도쿄 돔에서 주간 프로레슬링 잡지 주최로 열린 올스타전에서 김일의 은퇴식이 성대하게 거행되었다. 휠체어를 타고 입장했지만, 링에 오를 때는 씩씩하게 일어서서 루 테즈와 함께 링에 올랐다. 그는 팬들에게 감사와 사과의 말을 전하고, 역도산과의 추억을 이야기하며 은퇴 텐 카운트를 들으며 눈물을 흘렸다.[57]

은퇴 후 일본에서 여러 사업을 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선수 시절의 후유증과 배우자의 사망, 그리고 1987년부터 각종 질병에 시달렸다.[57] 1994년 1월에 귀국하여 서울 을지병원에 입원하여 투병 생활을 했다.[57] 2005년 9월에는 머리 박치기 후유증으로 인한 뇌혈관 질환과 고혈압, 심부전, 하지 부종을 앓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41]

2006년 9월 9일, 서울특별시 잠실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세계 프로레슬링 협회(WWA) 2006 서울 대회"에 모습을 드러내 후배들을 격려하고 프로레슬링에 대한 지속적인 성원을 당부했다. 만년에는 안토니오 이노키가 김일의 자택을 방문하여 젊은 시절의 추억을 나누기도 했다.

2006년 10월 26일, 서울특별시노원구의 을지병원에서 만성 심부전과 신장 혈관 이상으로 인한 심장 마비로 사망했다.[42][43]

3. 프로레슬링 스타일 및 기믹

김일은 '박치기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주특기는 '''원자폭탄 박치기'''였다. 이 기술은 한 손으로 상대의 머리를 잡고 한쪽 다리로 버티며 머리를 부딪히는 기술이다.[3] 링 가운에는 원자 폭탄 투하 시의 버섯구름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보보 브라질과의 경기는 머리 박치기 대결로 유명했다. 김일의 박치기 기술은 후지와라 요시아키에게 전수되었다.[3]

그 외에도 피겨 포 레그록, X 굳히기(변형 만자 굳히기), 급소 치기, 브레인 버스터 등 다양한 기술을 구사했다. X 굳히기는 상대의 목에 다리를 걸지 않고 뒤통수를 무릎으로 밀어 넣어 탈출을 어렵게 하는 기술이다.[3] 급소 치기는 아토믹 드롭과 반대 방향으로, 상대에게 더블 레그 다이브로 들어올려 한쪽 무릎을 꿇고 허벅지에 상대의 급소를 때려 박는 기술이다.

4. 평가 및 영향

김일은 한국 프로레슬링의 선구자이자 전설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활약은 한국 프로레슬링의 발전과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3] 김일은 '돌머리'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그의 독특한 박치기 기술은 '원자폭탄 박치기'로 불리며 많은 인기를 얻었다. 특히 보보 브라질과의 박치기 대결은 명장면으로 꼽힌다. 그의 박치기 기술은 후지와라 요시아키에게 계승되기도 했다.[51]

연도내용
1996년레슬링 옵저버 명예의 전당 헌액
2018년대한체육회 스포츠영웅 명예의 전당 헌액
2020년국가보훈처는 김일의 공적을 인정하여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



김일은 현역 시절 극동 헤비급 챔피언십, 전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 전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NWA 텍사스 태그팀 챔피언십,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 등 다양한 타이틀을 획득하며 최고의 프로레슬러로 활약했다.[3]

5. 수상 내역

단체챔피언횟수날짜
전일본 프로레슬링올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2회1966년, 1972년
전일본 프로레슬링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2회1972년 - with 김덕
일본 프로레슬링 연맹올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2회1965년
일본 프로레슬링 연맹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4회1966년 - with 요시무라 미치아키 (3회), 안토니오 이노키 (1회)
일본 프로레슬링 연맹NWA 인터내셔널 헤비급 챔피언십1회1972년
일본 프로레슬링 연맹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2회1967년 - with 세이지 사카구치 (1회), 우마노스케 우에다 (1회)
대한 프로레슬링 협회극동 헤비급 챔피언십1회1965년
월드 클래스 챔피언십 레슬링WCWA 텍사스 태그팀 챔피언십1회1964년 - with 박송[9][10]
웨스턴 스테이츠 스포츠NWA 웨스턴 스테이츠 태그팀 챔피언십1회1964년 - with 박송
월드와이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츠WWA 월드 헤비급 챔피언십1회1967년
월드와이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츠WWA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1회1964년 - with 미스터 모토
월드와이드 레슬링 어소시에이츠WWA 인터내셔널 텔레비전 태그팀 챔피언십1회1963년 - with 미스터 모토
도쿄 스포츠투혼상1회1975년[11]
도쿄 스포츠공로상1회2006년
전일본 프로레슬링챔피언 카니발 파이팅 스피릿 상1회1976년[4]
전일본 프로레슬링세계 최강 태그 결정전 페어 플레이 상1회1977년 – with 김덕[5]
전일본 프로레슬링세계 최강 태그 결정전 노력상1회1978년 – with 김덕[6]
전일본 프로레슬링세계 최강 태그 결정전 팀 플레이 상1회1979년 – with 김덕[7]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명예의 전당-1996년
대한체육회대한체육회 명예의 전당-2018년
대한민국 정부국민훈장 석류장-1994년
대한민국 정부체육훈장 맹호장-2000년


6. 기타

김일은 극동 헤비급 챔피언십, 전 아시아 헤비급 챔피언십, 전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십, NWA 텍사스 태그팀 챔피언십, NWA 인터내셔널 태그팀 챔피언십을 각각 4회씩 차지했다.[3]

1995년 4월 2일 도쿄 돔에서 열린 ''주간 프로레슬링'' 잡지 후원 쇼에서 공식 은퇴식을 가졌으며, 루 테즈가 김일의 일본에서의 마지막 공식 석상에 함께 했다. 당시 김일은 휠체어를 타고 있었다.

2006년 10월 26일 서울 을지병원에서 만성 신부전과 신부전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2020년에는 국가보훈처의 승인을 받아 대전현충원에 재안장되었다.

6. 1. 정치 활동

2001년 자유민주연합 스포츠문화행정특보위원을 역임했다.

6. 2. 박정희와의 관계

박정희 전 대통령은 김일의 팬이었으며, 김일의 프로레슬링 흥행을 지원하기도 했다. 김일은 박정희에게 고향(거금도)에 전기를 공급해 줄 것을 요청했고, 이는 실제로 이루어졌다.[47]

6. 3. 일화


  • 1968년 프로레슬링 경기 도중 왼쪽 귀가 절반 정도 잘려나가는 큰 부상을 입었으나, 14바늘을 꿰매고 링에 복귀하는 투혼을 보여주었다.[50]
  • 1970년대 후반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었으나, 후유증에도 불구하고 주특기인 박치기를 포기하지 않았다.
  • 소년 시절 애견인 진돗개일본군에 징발된 아픈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1994년 애견의 석비를 세우고 비문에 "다시는 이 땅에서 풀 한 포기, 개 한 마리도 외세의 희생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는 글귀를 새겼다.[51]
  • 박정희 전 대통령의 팬이었으며, 박정희의 지원으로 고향 거금도에 전기가 개통되도록 하였다.[52]
  • 2003년 디자이너 앙드레 김으로부터 가운을 증정받았다.[53]
  • 2011년 고향 거금도에 김일 기념 체육관이 개관되었다.[54][55]

참조

[1] 서적 辰巳出版
[2] 뉴스 https://www.joongang[...] 2021-01-28
[3] 웹사이트 Kintaro Ohki https://www.puroresu[...]
[4] 웹사이트 Champion Carnival 1976 http://www.purolove.[...] 2023-03-03
[5] 웹사이트 Open Tag League 1977 « Tournaments Database « CAGEMATCH - The Internet Wrestling Database https://www.cagematc[...]
[6] 웹사이트 Real World Tag League 1978 http://www.purolove.[...] 2023-03-03
[7] 웹사이트 Real World Tag League 1979 http://www.purolove.[...] 2023-03-03
[8] 웹사이트 Far East Heavyweight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4-01-16
[9] 서적 Wrestling Title Histories: professional wrestling champions around the worl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Archeus Communications
[10] 웹사이트 NWA Texas Tag Team Title [E. Texas] http://www.wrestling[...] 2019-12-27
[11] 웹사이트 東京スポーツ プロレス大賞:選考経過(1974~1979) https://www.tokyo-sp[...] 2017-12-14
[12] 서적 Gスピリッツ Vol.56 辰巳出版
[13] 웹사이트 名プロレスラー、故郷に眠る https://jp.yna.co.kr[...] 2006-10-29
[14] 웹사이트 ‘박치기왕’ 김일의 고향 전남 고흥 거금도 https://www.seoul.co[...] 2012-08-23
[15] 뉴스 京郷新聞 1994-04-26
[16] 뉴스 정부, 고 김일씨에게 체육훈장 청룡장 추서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06-10-27
[17] 서적 当然、プロレスの味方です 角川書店 1982-06-20
[18]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2000년 한반도 혈족 410만 총본산 ‘충무로 85억’ https://www.skyedail[...] 2016-04-29
[19] 뉴스 스토리텔링이 있는 힐링여행<61>박치기왕 김일 선수 http://www.gnnews.co[...] 慶南日報 2018-01-07
[20] 서적 THE WRESTLER BEST 1000 日本スポーツ出版社
[21] 웹사이트 WWA United States Tag Team Title (Los Angeles)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9-03-19
[22] 서적 Gスピリッツ Vol.27 辰巳出版
[23] 서적 Gスピリッツ Vol.28 辰巳出版
[24] 웹사이트 極東ヘビー級選手権 https://web.archive.[...] Rodmann's Pro-Wrestling Site 2019-03-19
[25] 웹사이트 WWA World Heavyweight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4-09-23
[26] 서적 Gスピリッツ Vol.15 辰巳出版
[27] 웹사이트 All Asia Heavyweight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9-03-19
[28] 서적 1945-1985 激動のスポーツ40年史 (6) プロレス 秘蔵写真で綴る激動史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9] 간행물 東京スポーツ・2009年12月2日付 6面 「格斗半世紀」第83回
[30] 서적 週刊プロレスSPECIAL 日本プロレス事件史 Vol.2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31] 서적 週刊プロレスSPECIAL 日本プロレス事件史 Vol.9
[32] 웹사이트 【猪木さん死去】坂口征二戦“黄金コンビ”初のシングル対決ほか/名勝負ベスト30&番外編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2-12-20
[33] 웹사이트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ヘビー級選手権 https://web.archive.[...] Rodmann's Pro-Wrestling Site 2019-03-19
[34] 웹사이트 NJPW 1975 The 2nd World League http://www.puroresu.[...] Puroresu.com 2019-03-19
[35] 웹사이트 The NJPW matches fought by Kintaro Oki in 1975 https://www.wrestlin[...] Wrestlingdata.com 2019-03-19
[36] 웹사이트 NWA International Tag Team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9-03-19
[37] 서적 『忘れじの国際プロレス』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4
[38] 서적 『忘れじの国際プロレス』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4
[39] 웹사이트 IWE Dymamite Series 1980 http://www.puroresu.[...] PURORESU.COM 2015-03-10
[40] 서적 『忘れじの国際プロレス』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4
[41] 웹사이트 朴正煕大統領、大木金太郎に「反則禁止令」出していた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5-09-21
[42] 뉴스 聯合ニュース速報(日本語版) http://japanese.yna.[...]
[43] 웹사이트 【訃報】大木金太郎さん77歳=元プロレスラー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10-26
[44] 뉴스 大木金太郎こと金一、韓国国立顕忠院に埋葬 http://www.chosunonl[...] 2020-05-22
[45] 웹사이트 NWA Western States Tag Team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6-09
[46] 웹사이트 All Asia Tag Team Title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7-05-29
[47] 웹사이트 NWA International Heavyweight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7-05-29
[48] 웹사이트 Far East Heavyweight Title http://www.wrestling[...] Wrestling-Titles.com 2017-05-29
[49] 웹사이트 NWA Oriental Tag Team Title https://www.wrestlin[...] Wrestling-Titles.com 2023-06-09
[50] 서적 『忘れじの国際プロレス』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14
[51] 뉴스 박치기왕 임종 이틀 전…“내 머릿속 큰 돌멩이 좀 빼줘” http://news.joins.co[...] 中央サンデー 2018-01-28
[52] 뉴스 '박치기왕' 김일의 고향 전남 고흥 거금도 http://www.seoul.co.[...] ソウル新聞 2012-08-22
[53] 뉴스 한국레슬링의 영원한 영웅 김일-김일 사진전시회 스케치 http://m.ohmynews.co[...] オーマイニュース 2003-03-07
[54] 웹사이트 ◆故金一(キム・イル)氏(プロレスラー)の記念体育館開館◆ {{!}} 鳳仙花 {{!}} ニュース {{!}} 東洋経済日報 http://www.toyo-keiz[...] 2023-06-25
[55] 뉴스 金一の記念体育館が開館 http://www.mindan.or[...] MINDAN 2011-12-21
[56] 서적 Gスピリッツ Vol.56 辰巳出版 2020
[57] 뉴스 내가 가장 아끼던 후계자 이왕표(오른쪽)와 함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8-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