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 (1542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이우(李瑀, 1542년 ~ 1609년)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서화가입니다. 자는 계헌(季獻), 호는 옥산(玉山), 본관은 덕수(德水)입니다.
생애 및 활동:
- 아버지는 이원수(李元秀),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申師任堂)이며, 율곡 이이(李珥)의 동생입니다.
- 1567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비안현감, 괴산군수, 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에 이르렀습니다.
- 시(詩), 서(書), 화(畫), 금(琴)에 모두 능하여 '4절(四絶)'이라 불렸습니다.
- 어머니 신사임당의 화풍을 따라 그림을 그렸으며, 초충(草蟲), 사군자, 포도 등을 잘 그렸습니다.
- 임진왜란 때 괴산군수로 재직하며 장정을 모집하여 왜적과 항전하여 큰 공을 세웠습니다.
- 벼슬에서 물러난 후 처가인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예강리에 살았습니다.
작품:
- 회화: 「설중매죽도(雪中梅竹圖)」, 「수과초충도(水瓜草蟲圖)」, 「포도도(葡萄圖)」, 「옥산국화도첩」
- 글씨: 「옥산서병(玉山書屛)」 (초서)
- 문집: 『옥산시고(玉山詩稿)』
기타:
- 아들 이경절(景節)도 서(書), 화(畫), 금(琴)에 능하여 3절(三絶)이라 불렸습니다.
- 송시열은 이우의 글씨에 대해 "필법이 정묘하고 웅건하여 용이 천문으로 날아오르고 범이 봉각에 누워 있는 듯하며 학이 하늘에서 노는 듯하다"라고 평했습니다.
- 경상북도 구미시의 무동서원(茂洞書院)과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의 귀천서원(龜川書院)에 제향되었습니다.
이우 (154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이우 |
출생 | 1542년 |
사망 | 1609년 |
직업 | 문신 |
사조 | 동인 |
스승 | 조식 |
배우자 | 정부인 안동 권씨 |
자녀 | 5남 |
부모 | 아버지: 이희안 어머니: 숙부인 경주 이씨 |
묘소 |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외사리 |
생애 및 활동 | |
생애 | 이우(李堣, 1542년 ~ 1609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성주 이씨이며, 자는 중회(仲晦), 호는 망우당(忘憂堂)이다. |
관직 | 1573년(선조 6)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를 거쳐 예조좌랑, 사헌부 지평, 홍주판관 등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왕을 호종하여 종성부사를 지냈다. 1604년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
주요 업적 | 홍주판관 재임 중 선정으로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다. 임진왜란 중 왕을 호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희안(李希顔) |
어머니 | 숙부인 경주 이씨(淑夫人 慶州李氏) |
배우자 | 정부인 안동 권씨(貞夫人 安東權氏) |
자녀 | 5남 |
형제 | 형: 이기(李垍) 아우: 이서(李墅) |
기타 정보 | |
선무원종공신 등급 | 1등 |
본관 | 성주 이씨 |
자 | 중회(仲晦) |
호 | 망우당(忘憂堂)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