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의리는 KBO 리그 KIA 타이거즈 소속의 야구 선수이다. 2021년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그해 신인왕을 수상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다. KBO 리그 통산 76경기에서 25승 22패, 평균자책점 3.83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수창초등학교 동문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광주수창초등학교 동문 - 고재득
고재득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민주당 주요 요직을 역임하고 민선 성동구청장 4선을 달성하는 등 다양한 정치·행정 경력을 쌓았으며 현재 서울특별시구청장협의회 고문 및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특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관한 - 최지훈 (야구 선수)
최지훈은 KBO 리그 SSG 랜더스 소속 외야수로, 2020년 데뷔 후 뛰어난 수비와 준수한 타격 능력을 보여주며 5시즌 동안 통산 타율 0.282, 23홈런, 187타점, 8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에 관한 - 양일환
양일환은 삼성 라이온즈에서 사이드암 투수로 7시즌 동안 활동하며 31승을 기록했고,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투수 코치와 2군 감독 대행을 거쳐 현재는 KIA 타이거즈에서 지도자로 활동 중인 프로야구 선수 출신이다. - KBO 신인상 수상자 - 오승환
오승환은 대한민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투수로서 KBO, NPB, MLB에서 활약했으며, KBO 통산 300세이브를 최초로 달성하고 한미일 통산 400세이브를 기록했다. - KBO 신인상 수상자 - 이정훈 (1963년)
전 KBO 리그 야구 선수이자 감독인 이정훈은 1987년 빙그레 이글스에 입단하여 신인왕을 수상하고, 1991년과 1992년에는 2년 연속 타격왕에 올랐으며, 은퇴 후에는 여러 팀의 코치와 감독을 역임하며 선수 시절 '악바리'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이의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이름 | 이의리 |
로마자 표기 | I Ui-ri |
한글 | 이의리 |
한자 | 李義理 |
포지션 |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생년월일 | 2002년 6월 16일 () |
출생지 | 광주광역시 |
신장 | 186cm |
체중 | 90kg |
클럽 정보 | |
소속 구단 | KIA 타이거즈 |
등번호 | 48 |
프로 입단 연도 | 2021년 |
드래프트 순위 | 2021년 KBO 리그 1차 지명 (KIA 타이거즈) |
연봉 | 1억 7,000만원 (2024년) |
KBO 리그 기록 | |
데뷔 | 2021년 4월 8일 |
데뷔 팀 | KIA 타이거즈 |
통산 승패 | 26승 22패 (2024년 4월 10일 기준) |
통산 평균 자책점 | 3.85 (2024년 4월 10일 기준) |
통산 탈삼진 | 424 (2024년 4월 10일 기준) |
수상 | |
주요 수상 | KBO 리그 신인상 (2021년) |
국가대표 | |
대표팀 | 대한민국 |
올림픽 |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2021년)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23년)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023년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
2. KIA 타이거즈 시절
2021년 1차 지명으로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했다. 2022년에는 29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3.86, 10승 10패를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고, 2023년에는 28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3.96, 11승 7패를 기록했다.
2. 1. 2021 시즌
2021년에 1차 지명을 받고 계약금 3억원, 연봉 3000만원에 KIA 타이거즈에 입단하였다.[3] 4월 8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해 5.2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4월 29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 선발 등판해 6이닝 무실점, 10탈삼진을 기록하며 데뷔 첫 승을 기록했다.[4] 시즌 후 신인왕으로 선정되며 해태 타이거즈를 포함하여 36년 만에 팀의 역대 2번째 신인왕을 수상했다. 6월 16일에는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출되었고, 11월 29일에는 한국야구위원회(KBO) 최우수 신인(신인왕)으로 선정되었다.2. 2. 2022 시즌
29경기에 등판하여 10승 10패, 평균자책점 3.86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1]2. 3. 2023 시즌
28경기에 등판하여 11승 7패, 평균자책점 3.96을 기록했다.3. 국가대표 경력
2020년 도쿄 올림픽, 2023년 WBC, 2023년 APBC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했다. 2021년 6월 16일, 2020년 하계 올림픽 야구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선출되었다.[1]
3. 1. 2020 도쿄 올림픽
2020년 도쿄 올림픽 첫 경기에서 5이닝 3실점 9탈삼진을 기록했다. 총 2경기에 등판하여 10이닝 동안 18탈삼진을 기록하며 뛰어난 투구를 선보였다.[1]3. 2.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2023년 WBC에 출전하여 1경기에 등판해 0.1이닝 동안 1탈삼진을 기록했다.[1]3. 3.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APBC)
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에 국가대표팀 일원으로 참가했다.[1]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통산 | 3시즌 | 3.83 | 76 | 0 | 0 | 25 | 22 | 0 | 0 | 0.532 | 1674 | 380⅓ | 300 | 28 | 223 | 19 | 410 | 185 | 162 |
---|
- KBO 리그 통산 기록이며, 2020년 하계 올림픽과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기록은 포함되지 않았다.
5. 1. KBO 리그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5. 2. 올림픽
맞는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