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철 (183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철은 덕흥대원군의 12대손으로, 1835년에 태어나 1894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1859년 증광시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가 건원릉, 홍릉, 예릉, 융건릉 등의 참봉을 역임했다. 이후 여러 현감과 군수를 거쳐 온양 군수를 지냈으며, 1891년 진상된 전복 부패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1900년 고종의 특명으로 무옥에 희생된 이명좌의 봉사손이 되었다.
1835년(헌종 1) 11월 22일 진사 이익의 아들로 태어났다. 1859년(철종 10) 증광시 생원 1등 2위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2. 생애
초기에는 건원릉 참봉, 홍릉 참봉, 예릉 참봉 등 주로 왕릉을 관리하는 직책을 맡았다. 1868년(고종 5년)에는 이름을 철주(哲周)에서 재철(載哲)로 바꾸었다.
1875년(고종 12) 돈녕부 참봉, 종묘 부봉사를 거쳐 1876년(고종 13) 상서원 부직장, 직장, 사옹원 주부, 호조 좌랑 등 중앙 관직을 역임했다. 1877년(고종 14)에는 거독옥책안 집사와 거옥책안 집사로 봉무하여 각각 아마 1필과 상현궁 1장을 하사받았다.
1878년(고종 15) 건릉 령을 시작으로 1879년(고종 16)에는 건릉 동지제에서 대축을 대행하는 사건이 발생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1881년(고종 18) 영희전 령, 휘릉 령, 수릉 령 등 다시 왕릉 관리직을 맡았다.
1882년(고종 19)부터는 지방관으로 나가 충청우도 신창 현감, 낭천 현감, 임피 현령, 전의 현감, 온양 군수, 고창 현감, 서산 군수 등을 역임했다. 1891년(고종 28) 서산 군수 재직 시절에는 진상한 전복이 부패하는 사건으로 곤욕을 치렀다.
1894년 1월 4일 60세로 사망하였다. 사후 1900년(광무 4) 고종의 특명으로 임인사화 때 희생된 도정궁 이명좌의 봉사손(奉祀孫)이 되었다.
2. 1. 가계와 배경
덕흥대원군의 12대손이며, 응천군 이돈의 9대손이고, 충정공 이홍술의 7대손이며, 무옥(임인사화)에 희생된 도정궁 제6.5대 이명좌의 봉사손이다. 아버지는 진사 이익이고, 계모는 부사 진천인 송재의의 딸 진천 송씨, 생모는 순천인 박해익의 딸 순천 박씨이다. 부인은 군수 은진인 송석로의 딸 영인 은진 송씨이다.
구 분 | 내용 |
---|---|
증조부 | 이황 |
조부 | 이조식 |
생부 | 이익(1813년 - 1851년) |
계모 | 진천 송씨(1809년 - 1831년), 부사 진천인 송재의의 딸. |
생모 | 순천 박씨(1813년 - ?년), 순천인 박해익의 딸. |
여동생 | 해평인 윤무선에게 출가. |
부인 | 영인 은진 송씨(1833년 - 1895년), 군수 은진인 송석로의 딸. |
양자 | 이만용(1882년 - 1924년), 삼종제 이재영(1855년 - 1900년)의 2남. |
장녀 | 승지 은진인 송종만에게 출가. |
2. 2. 관직 생활
1859년(철종 10) 증광시 생원 1등 2위에 급제하여 1864년(고종 1) 건원릉 참봉에 제수되었다가 홍릉 참봉을 역임하였다.1868년(고종 5년) 이름을 철주(哲周)에서 재철(載哲)로 개명하고, 1869년(고종 6) 예릉 참봉에 제수되었다.
1875년(고종 12) 돈녕부 참봉에 제수되었다가 이해 3월 1일 종묘 부봉사에 제수되었다.
1876년(고종 13) 상서원 부직장에 제수되고, 이해 7월 16일 상서원 직장, 사옹원 주부, 호조 좌랑에 제수되었다.
1877년(고종 14) 거독옥책안 집사로 봉무하여 아마 1필을 하사받고, 이해 1월 11일 거옥책안 집사로 봉무하여 상현궁(시위를 얹은 상품의 활) 1장을 하사받았다.
1878년(고종 15) 건릉 령에 제수되었다.
1879년(고종 16) 민영규가 건릉 동지제의 헌관 이돈상의 서계를 보고, 전사관 겸 대축 이병고가 오지 않아 이재철을 대축으로 대행시킨 일에 대해 황공하여 아뢰길, 해당 대축을 엄중히 감죄해야 하고, 살피지 않고 채워 차출한 이조 당상도 경책하지 않을 수 없으니 엄하게 추고 할것을 아뢰었고, 대축은 해부를 시켜 나문하여 엄히 감죄하고 이조 참의에게는 견파하는 법을 시행하며, 헌관은 대죄하지 말라는 전교를 받았다.
1881년(고종 18) 영희전 령에 제수되었다가 이해 3월 21일 휘릉 령에 제수되고, 이해 10월 4일 수릉 령에 제수되었다.
1882년(고종 19) 충청우도 신창 현감에 제수되었다.
1885년(고종 22) 낭천 현감에 제수되었다가 이해 11월 22일 임피 현령에 제수되었다.
1886년(고종 23) 전의 현감에 제수되었다가 이해 7월 18일 온양 군수에 제수되었다.
1888년(고종 25) 고창 현감에 제수되고, 1890년(고종 27) 서산 군수에 제수되었다.
1891년(고종 28) 충청 감사 송세헌이 진상한 날전복이 전부 부패되어 제대로 봉하여 올리지 못한 해당 봉진관인 수사 민치일, 태안 부사 이봉호, 서산 군수 이재철, 결성 현감 김영준, 남포 현감 민영헌, 비인 현감 홍우룡 등을 현고를 받고 파출하도록 아뢰었는데, 이용선에게 대죄하지 말라고 회유하라는 전교를 받았다.
2. 3. 진상 전복 부패 사건
1891년(고종 28) 충청 감사 송세헌(宋世憲)은 진상한 날전복이 모두 썩어, 제대로 봉하여 올리지 못한 봉진관인 수사 민치일(閔致一), 태안 부사 이봉호(李鳳鎬), 서산 군수 이재철, 결성 현감 김영준(金永駿), 남포 현감 민영헌(閔泳憲), 비인 현감 홍우룡(洪祐龍) 등을 현고(現告)를 받고 파출(罷黜)하라고 장계를 올렸다. 이에 대해 고종은 이용선에게 대죄하지 말라고 회유하라는 전교를 내렸다.2. 4. 사망과 봉사손
1894년 1월 4일 향년 60세로 별세하였다. 1900년(광무 4) 고종의 특명으로 임인사화 때 희생된 도정궁(都正宮) 제6.5대 이명좌(李明佐)의 봉사손(奉祀孫)이 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증조부 | 이황 |
조부 | 이조식 |
생부 | 이익 |
계모 | 진천 송씨 (송재의의 딸) |
생모 | 순천 박씨 (박해익의 딸) |
여동생 | 해평 윤씨 (윤무선에게 출가) |
부인 | 은진 송씨 (송석로의 딸) |
양자 | 이만용 (삼종제 이재영의 2남) |
장녀 | 송종만에게 출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