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정빈 (153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정빈(1539년)은 조선 중기의 인물로, 명종 때 권신 이량의 아들이다. 1539년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전주, 자는 경관이다. 1563년 알성문과에 장원 급제하였으나, 아버지 이량이 시험 문제를 미리 알고 답을 대신 작성해 준 것으로 알려져 부정 과거 의혹을 받았다. 관직 생활 중 아버지의 실각으로 인해 삭탈당했으며, 임진왜란 중 1592년 9월 7일 경기도 가평군에서 왜군에게 살해당했다. 사후 아들들이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이르러 의정부 영의정에 증직되었으며, 묘소는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에 있다.

2. 가계

1539년(중종 34년)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경관(景觀)이다. 효령대군의 6대손이자 이량의 아들이다.

2. 1. 혈통

효령대군의 6대손이고, 보성군 이합의 5대손이며, 여양군 이자겸의 증손자이자 증 전성군 이대의 손자로, 명종 때의 권신 이량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함안 윤씨로 첨정 윤지청(尹之淸)의 딸이며, 폐비 윤씨의 친정오빠 참판 윤구(尹遘)의 손녀딸이었다.

부인은 증 정경부인 청주 한씨로 사헌부감찰 한수(韓洙)의 딸이며 예종비 안순왕후의 친정아버지 한백륜의 4대손이다.

2. 2. 혼인

부인은 증 정경부인 청주 한씨로 사헌부감찰 한수(韓洙)의 딸이며, 예종 비 안순왕후의 친정아버지 한백륜의 4대손이다.

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전성군 이대(全城君 李薱, 1488년 ∼ 1543년)
할머니동래 정씨정종보(鄭宗輔)의 딸
아버지이량(李梁)
어머니함안 윤씨윤지청의 딸,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의 조카손녀
계모파평 윤씨윤지양(尹之讓)의 딸, 자녀 없음
서모이름 미상아버지 이량의 첩, 슬하에 서제 1명
부인청주 한씨(? ~ 1592년 11월 9일)
아들이충
아들이명
손자이민수(李敏樹, 1594년 ~ 1661년)
아들이개
아들이파
사위이성원
사위최엄


3. 생애

1563년 8월 아버지가 심의겸, 기대항 등의 공격을 받고 삭직, 유배되자 그도 관직에서 물러났다. 1592년 (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그해 9월 7일 경기도 가평군 산곡(山谷)에서 왜군에게 피살되었다. 사후 아들 이명과 이충이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이르러 증 의정부영의정에 증직되었다.

3. 1. 초기 생애

1539년(중종 34년) 8월 18일에 태어났으며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경관(景觀)이다. 효령대군의 6대손, 보성군 이합의 5대손, 여양군 이자겸의 증손자이자 증 전성군 이대의 손자였다. 명종 때의 권신 이량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정부인 함안 윤씨로 첨정 윤지청(尹之淸)의 딸이자 폐비 윤씨의 친정오빠 참판 윤구(尹遘)의 손녀였다.

부인은 증 정경부인 청주 한씨로 사헌부감찰 한수(韓洙)의 딸이며 예종비 안순왕후의 친정아버지 한백륜의 4대손이다.

1561년(명종 16) 명종이 녹음대(綠陰臺)에 나아가 유생(儒生) 40명에게 강경 시험을 할 때 병과 2등을 하였다.

1563년(명종 18) 유학(儒學)으로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갑과로 장원 급제하였으나, 학문적 소양이 없었던 이정빈 대신 아버지 이량이 시제(試題)를 미리 알고 답을 작성해 주었다고 한다.[1]

1563년(명종 18) 3월 성균관전적, 4월 병조좌랑, 6월 사간원정언을 거쳐, 그해 7월 과거 급제 4개월만에 이조좌랑이 되었다. 그러나 아버지 이량이 이조판서가 되자 상피제(相避制)에 따라 사간원정언으로 전직되었다. 이때 이정빈은 자신의 후임으로 친구인 류영길(柳永吉)을 추천하여 대간의 심한 반발을 받았으나, 오히려 대간이 삭직 및 외직으로 전출되었다. 1563년(명종 18) 7월 다시 사간원정언이 되었다가 봉훈랑, 이조좌랑 지제교가 되었다.

3. 2. 관직 생활

1561년(명종 16) 명종이 녹음대(綠陰臺)에 나아가 유생(儒生) 40명에게 강경 시험을 할 때 병과로 2등하였다.

1563년(명종 18) 유학(儒學)으로 알성문과(謁聖文科)에 갑과로 장원 급제하였으나, 이는 그 자신은 학문적 소양이 없었는데 아버지 이량이 시제(試題)를 미리 알고서 답을 대신 작성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

1563년(명종 18) 3월 성균관 전적, 4월 병조좌랑, 6월 사간원정언을 거쳐, 그해 7월 과거 급제 4개월 만에 이조좌랑(吏曹佐郞)이 되었다. 그러나 아버지 이량이 이조판서가 되자 상피제(相避制)에 따라 사간원 정언으로 전직되었다. 이때 이정빈은 자신의 후임으로 친구인 류영길(柳永吉)을 추천하여 대간의 심한 반발을 받았으나, 오히려 대간이 삭직 및 외직으로 전출되었다. 1563년(명종 18) 7월 다시 사간원정언이 되었다가 봉훈랑이 되고 이조좌랑 지제교가 되었다.

그 뒤 1563년 8월 아버지가 심의겸, 기대항 등의 공격을 받고 삭직, 유배되자 그도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4. 사후

이정빈의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아천리(현,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9-4번지) 아치울마을 뒷산인 아차산 곤좌에 안장되었으며, 후일 이민수의 묘도 인근에 조성되었다. 묘 옆에는 묘갈과 1984년 10월 후손들이 세운 신도비가 있다.

4. 1. 죽음과 순절

이정빈이 살해되자 부인 청주 한씨 역시 각식(却食)하다가 1592년 11월 9일 사망했다.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아천리(현,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9-4번지) 아치울마을 뒷산인 아차산 곤좌에 안장되었으며, 후일 이민수의 묘도 인근에 조성되었다. 묘 옆에는 묘갈, 1984년 10월 후손들이 세운 신도비가 있다.

4. 2. 묘소

그의 부인 청주 한씨는 1592년 11월 9일 사망했다.

그의 묘소는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아천리(현,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산9-4번지) 아치울마을 뒷산인 아차산 곤좌에 안장되었으며, 후일 이민수의 묘도 인근에 조성되었다. 묘 옆에는 묘갈과 1984년 10월 후손들이 세운 신도비가 있다.

5. 평가 및 의혹

(빈 문자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